급성 혼돈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급성 혼돈 간호진단 : Acute confusion
정의
단기간 동안 의식수준, 주의력, 인지 및 지각의 가역적인 혼란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것
관련 요인
-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
- 탈수
- 신체 기동성 장애
- 부적절한 억제대 사용
- 영양실조
- 통증
- 감각 소실
- 물질 남용
- 요정체
급성 혼돈 간호진단의 중요성
급성 혼돈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급성 혼돈 환자는 낙상, 자상, 의료기기 셀프 제거 등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입원 기간 연장, 치료 비용 증가, 사망률 증가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 혼돈 환자를 조기에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급성 혼돈 간호진단 예시
수면 양상 장애와 관련된 급성 혼돈
통증과 관련된 급성 혼돈
탈수와 관련된 급성 혼돈
섬망과 관련된 급성 혼돈
간호목표
장기 목표:
환자는 급성 혼돈 증상이 완화되고 인지 기능이 회복된다.
환자는 급성 혼돈의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을 예방한다.
단기 목표: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방향 감각, 시간 감각, 인지 능력, 기억력, 판단력 등의 급성 혼돈 증상이 개선된다.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불안, 우울, 환각, 망상 등의 급성 혼돈 증상이 감소된다.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급성 혼돈의 원인을 파악한다.
환자는 72시간 이내에 급성 혼돈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급성 혼돈 간호중재
1. 환경 조성 및 감 자극 제공
- 개인 맞춤 환경 조성: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조명, 온도, 소음 등을 조절하고, 좋아하는 음악, 향기 등을 활용하여 편안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 감각 자극 제공: 시각적 자극 (시계, 달력, 그림, 가족 사진 등), 청각적 자극 (라디오, 익숙한 음악, 자연 소리 등), 촉각적 자극 (마사지, 따뜻한 물수건, 부드러운 담요 등)을 제공하여 환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혼돈을 완화합니다.
- 정서적 안정감 제공: 환자와의 대화, 가족과의 소통 기회 제공, 애완동물 방문 허용 등을 통해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 규칙적인 일과 유지: 환자와 함께 일과 계획을 세우고, 식사, 수면, 활동 시간 등을 규칙적으로 유지하여 환자의 시간 감각과 방향 감각을 회복하도록 도와줍니다.
- 충분한 휴식과 수면 촉진: 침실 환경 조성, 숙면 유도 음악 제공, 편안한 자세 유지 등을 통해 환자의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촉진합니다.
이론적 근거:
조용하고 안전하며 편안한 환경은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혼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Arendt, 2011)
밝고 환기가 잘 되는 환경은 환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5)
청각적 자극은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혼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McFarland & Reeder, 2011)
촉각적 자극은 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혼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환자의 익숙한 물건들은 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혼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McFarland & Reeder, 2011)
규칙적인 일과는 환자의 시간 감각을 회복하고 혼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충분한 휴식과 수면은 환자의 인지 기능을 회복하고 혼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Guyton & Hall, 2011)
2. 안전 관리
- 낙상 위험 요인 평가 및 제거: 환자의 낙상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침대 난간 설치, 미끄럼 방지 바닥재 사용, 안전 신발 착용 등을 통해 낙상 위험을 예방합니다.
- 환경 위험 요소 파악 및 제거: 환경 내 위험 요소 (낙하 가능성이 있는 물건, 날카로운 물체, 불안전한 바닥 등)를 파악하고 제거하여 환자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 안전한 이동 방법 교육: 환자의 상태에 맞는 안전한 이동 방법 (보행 보조기 사용, 휠체어 이용, 간병인 동반 이동 등)을 교육하고, 환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지속적인 관찰 및 모니터링: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모니터링하여 이상징후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론적 근거:
낙상은 급성 혼돈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5)
환경에서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cFarland & Reeder, 2011)
안전한 이동 방법 교육은 환자의 낙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급성 혼돈 간호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Arendt, 2011)
3. 의사소통
- 환자 중심적 의사소통: 환자의 눈높이에 맞춰 천천히, 명확하게, 간결하게 말하며, 환자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하려 노력하며 환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여 질문하고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개인 맞춤 의사소통: 환자의 인지 수준, 청력, 시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고, 환자의 의견을 존중하며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도록 합니다.
- 비언어적 의사소통 활용: 제스처, 표정, 그림, 글쓰기 등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이해를 돕고 혼돈을 감소시킵니다.
- 가족과의 협력: 환자의 상태 및 치료 계획에 대한 정보를 가족에게 제공하고, 가족과의 협력을 통해 환자의 의사소통을 돕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합니다.
이론적 근거:
명확하고 간결한 의사소통은 환자의 혼돈을 감소시키고 불안감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Guyton & Hall, 2011)
환자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 것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는 데 중요하다. (Arendt, 2011)
환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의사 표현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McFarland & Reeder, 2011)
쉬운 단어와 문장을 사용하는 것은 환자의 이해를 돕고 혼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5)
환자의 감정을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파악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은 환자와의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Ekman, 1992)
가족을 치료 과정에 참여시켜 환자의 문제 해결을 돕습니다. (Minuchin, 1974)
5. 환자 및 가족 교육
- 급성 혼돈 증상 및 치료방법, 관리방법 교육: 환자와 가족에게 급성 혼돈 증상 및 관리방법(환경조성, 감각 자극 제공, 의사소통, 안전관리 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교육합니다.
- 재발 예방 방법 교육: 환자와 가족에게 급성 혼돈의 재발을 예방하는 방법을 교육합니다.
- 지속적인 지원 제공: 교육 이후에도 환자와 가족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혼돈 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이론적 근거:
개인 맞춤 교육: 환자와 가족의 교육 수준,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다양한 교육 방법 (강의, 시청각 자료, 실습 등)을 활용하여 교육 효과를 높여야 합니다. (Parmelee et al., 2018)
급성 혼돈에 대한 정보 제공: 급성 혼돈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예방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혼돈 관리 방법 교육: 환자와 가족에게 혼돈 증상 관리 방법 (환경 조성, 감각 자극 제공, 의사소통, 안전 관리 등)을 교육해야 합니다. (NICE, 2014)
재발 예방 방법 교육: 급성 혼돈의 재발 예방 방법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약물 치료 준수 등)을 교육해야 합니다. (Kolanowski et al., 2018)
지속적인 지원 제공: 교육 이후에도 환자와 가족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혼돈 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Hwang & Chang, 2018)
6. 그 외
- 개인 맞춤 영양 관리: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개인 맞춤 영양 계획을 수립하여 환자의 영양 섭취를 최적화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촉진: 환자에게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촉진하고, 수분 섭취량을 모니터링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 권장: 환자의 상태에 맞는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환자의 인지 기능 향상, 불안감 감소, 숙면 유도 등을 돕습니다.
- 통증 관리: 환자의 통증을 평가하고, 약물 치료, 비약물 치료 등을 통해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합니다.
- 불안 및 우울 관리: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을 평가하고, 심리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합니다.
- 약물 치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 치료를 제공하고, 약물 부작용을 모니터링합니다.
이론적 근거:
기본적인 욕구 충족은 환자의 안녕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Guyton & Hall, 2011)
영양분이 풍부하고 균형 잡힌 식사는 환자의 인지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 (Arendt, 2011)
충분한 수분 섭취는 환자의 탈수를 예방하고 인지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5)
규칙적인 운동은 환자의 인지 기능 향상, 불안 및 우울 감소, 숙면 유도에 도움이 된다. (McFarland & Reeder, 2011)
통증 관리, 불안 및 우울 관리, 약물 치료는 급성 혼돈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참고문헌
Arendt, M. L. (2011). Confusion and delirium: A nursing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1(6), 41-48.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5).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9th ed.). Wolters Kluwer.
Ekman, P. (1992).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1), 385-415.
Guyton, A. C., & Hall, J. E. (2011).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2th ed.). Saunders Elsevier.
Hess, U., & Bourgeois, M. S. (2019).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healthcare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8(13-14), 2382-2393.
Hwang, S. Y., & Chang, Y. J. (2018).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cute confusion on their knowledge, self-efficacy, and anxi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4), 451-461.
Kitson, A., Marshall, M., & McCaughan, D. (2013). Co-creating health: A new paradigm for 21st century healthcare. Routledge.
Kolanowski, A. M., & Truman, C. D. (2018). Delirium: A practical guide for nurses. American Nurses Association.
McFarland, M. R., & Reeder, P. G. (2011). Nursing diagnosis and intervention: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s (8th ed.). Mosby.
Minuchin, S. (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Harvard University Press.
NICE. (2014). Delirium: Assess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Parmelee, P. A., & Katz, I. R. (2018). Delirium in older adults: A practical guid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Stacey, R., & Berendsen, R. (2017). Shared decision-making in the healthcare set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ntrolled trial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100(1), 17-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Management of delirium in older adults.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Delirium. World Health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