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역할 장애의 위험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부모 역할 장애의 위험 간호진단
정의
- 주 돌봄제공자가 아동에게 최적의 성장과 발달에 도달하기 위한 환경을 만들거나 유지, 회복에 대한 무능력으로 아동의 안녕에 위협이 될만큼 취약한 상태
위험요인
영아 또는 아동
- 지각능력 변화
- 행동 장애(예: 주의력 결핍, 반항성)
- 발달 지연
- 까다롭고 신경질적임
- 장애가 있는 상태
- 원하는 성별의 자녀가 아님
- 다태아 출산
- 조산
- 부모와 오랫동안 떨어져 있음
- 부모의 기대와 다른 성격에서 비롯한 갈등
지식
- 인지기능변화
- 의사소통 기술 부족
- 부모가 되기 위한 인지적 준비가 불충분함
- 아동 발육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
- 아동 건강관리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
- 양육기술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
- 영아가 요구를 전달하는 단서에 불충분하게 반응
- 낮은 교육수준
- 체벌 선호
- 비현실적 기대
생리적
- 신체적 질병
심리적
- 연이은 임신
- 우울
- 어려운 분만과정
- 장애가 있는 상태
- 여러번의임신
- 정신질환의 과거력
- 물질 남용의 과거력
- 비회복성 수면양상(돌봄 책임감, 부모역할, 함께 잠을 자는 사람 때문에 발생)
- 수면결핍
- 부모 연령이 어림
사회적
- 가족단위의 변화
- 열악한 가정환경
- 부부 갈등
- 경제적으로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함
- 관여하지 않는 아동의 아버지
-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음(예: 신체적, 심리적, 성적)
- 아동을 돌보는 시간 배분이 부적절함
- 비효과적 대처 전략
- 자원에 부적절하게 접근
- 가족 응집력 부족
- 불충분한 부모 역할모델
- 불충분한 산전 간호
- 불충분한 문제해결 능력
- 불충분한 자원(예: 재정, 사회적, 지식)
- 불충분한 사회적 지지
- 불충분한 교통수단
- 부모역할에대한가치부여결여
- 늦은 태아기 관리
- 법적 어려움
- 낮은 자존감
- 관여하지 않는 아동의 어머니
- 부모-자녀 분리
- 이사
- 편부모
- 사회적 고립
- 실직
- 계획하지 않은 임신
- 원하지 않은 임신
- 근무의 어려움
부모 역할 장애의 위험 간호과정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출산 후 1주일 이내에 아기와의 긍정적 애착 행위를 2가지 이상 시행한다. (예: 눈 맞춤, 미소, 촉각 자극, 말하기, 안아주기 등)
- 대상자는 출산 후 2주일 이내에 스트레스 관리 방법 1가지를 적용하고 그 효과를 인지한다.
- 대상자 부부는 출산 후 1주일 이내에 양육 역할 분담 계획을 세우고 실천한다.
- 대상자 부부는 출산 후 2주일 이내에 적절한 지지 체계를 1개 이상 구축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아기와 안정적이고 건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다.
- 대상자는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갖추고 긍정적인 정신 건강을 유지한다.
- 대상자 부부는 협력적으로 양육 역할을 수행하고 부부 만족도를 높인다.
- 대상자 부부는 필요에 따라 지지 체계를 활용하여 어려움을 극복한다.
간호 중재
1) 애착 행위 증진 중재:
아기와의 상호 작용 기회 제공:
아기 돌봄 활동 (기저귀 갈아주기, 모유 수유 등)을 대상자와 함께 수행하도록 한다.
아기와의 놀이 활동을 함께 하도록 지지하고 참여를 독려한다.
아기의 울음, 신호,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교육한다.
피부 대 피부 접촉 증진:
아기를 자주 안고 피부 대 피부 접촉을 하도록 권장한다.
캥거루 케어, 아기 마사지 등 피부 접촉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교육한다.
아기와의 의사 소통 촉진:
아기에게 부드럽고 다정한 목소리로 말하고, 눈 맞춤을 한다.
아기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반응하며, 적극적인 의사 소통을 유도한다.
아기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아기와의 상호 작용 기회 제공
- 아기 돌봄 참여는 부모와 아기 사이의 애착 형성을 촉진한다. (Feldman, 2002; Lamb, 2010)
- 특히, 피부 대 피부 접촉, 눈 맞춤, 말 등이 애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Klaus & Kennell, 1976; McDonald, 2002)
- 아기 돌봄 활동을 통해 부모는 아기의 신호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배우고, 아기와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 (Erickson & Brown, 1990)
- 놀이는 아기와 부모 사이의 상호 작용을 증진시키고, 애착 형성을 촉진한다. (Brazelton & Tronick, 1988; Papousek & Papousek, 1996)
- 놀이를 통해 부모는 아기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돕고, 아기와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 (Bakken & Bee, 2002)
- 아기와의 놀이는 아기의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amis-LeMonda & Borke, 2010)
- 아기의 울음과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애착 형성의 중요한 요소이다. (Ainsworth, 1979; Bowlby, 1969)
- 아기의 신호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부모는 아기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아기의 신뢰 형성을 촉진한다. (Schaffer & Emerson, 1964)
- 아기의 반응에 대한 부모의 민감한 반응은 아기의 감정 조절 능력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Tronick & Weinberg, 1997)
피부 대 피부 접촉 증진
- 피부 대 피부 접촉은 아기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면역력을 강화한다. (Field, 1986; Klaus & Kennell, 1976)
- 피부 대 피부 접촉은 아기와 부모 사이의 애착 형성을 촉진하고, 친밀감을 증진시킨다. (Ainsworth & Bell, 1970; Montagu, 1986)
- 피부 대 피부 접촉은 아기의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신경계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Marazzini et al., 1996)
- 캥거루 케어는 조산아 또는 저체중아의 발달에 효과적이며, 부모와 아기 사이의 애착 형성을 촉진한다. (Kangaroo Care Research Group, 2000; Ren et al., 2005)
- 아기 마사지는 아기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운동 능력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Field et al., 2006; Giuffre et al., 2009)
아기와의 의사 소통 촉진
-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부모의 목소리와 얼굴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 작용은 아기의 언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eCasper & Spelke, 1986; Stern, 1985)
- 부드러운 목소리와 눈 맞춤은 아기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전달한다. (Brazelton & Tronick, 1988; Papousek & Papousek, 1996)
- 아기와의 의사 소통 촉진은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Bakken & Bee, 2002)
- 아기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반응하는 것은 아기의 자존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Greenspan & Brooks, 2002; Siegel, 1999)
- 적극적인 의사 소통은 아기와 부모 사이의 관계를 강화하고, 애착 형성을 촉진한다. (Erickson & Brown, 1990)
- 아기와의 의사 소통 능력은 아기의 언어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amis-LeMonda & Borke, 2010)
- 아기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것은 아기의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unn & Brown, 1994; Thompson, 1994)
- 아기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돕는 부모는 아기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정서 조절 능력 발달을 촉진한다. (Tronick & Weinberg, 1997)
- 아기의 감정 표현 능력은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Greenspan & Brooks, 2002)
2) 스트레스 관리 중재:
스트레스 요인 파악 및 관리 방법 교육:
출산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개인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함께 탐색한다.
심호흡, 명상, 운동 등 다양한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실천하도록 지지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권장하고, 건강한 식습관 유지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사회적 지지 활용 돕기:
가족, 친구, 지역사회 서비스 등을 소개하고, 지지 체계 구축을 돕는다.
동아리 활동,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등을 통해 다른 부모들과의 교류를 촉진한다.
전문가 상담 (심리 상담, 부부 상담 등)을 필요에 따라 연결해준다.
이론적 근거
- 스트레스는 부모의 정신 건강을 악화시키고, 애착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cEwen & Seeman, 2009; Murray et al., 2010)
- 출산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은 다양하며,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Hahn et al., 2005; Staley et al., 2004)
-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방법을 교육하는 것은 부모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고, 정신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Chien et al., 2010)
- 심호흡, 명상, 운동 등의 스트레스 관리 방법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감소시키고, 심박수와 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Benson, 2009; Kabat-Zinn, 1994; Taylor et al., 2003)
-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실천하는 것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우울, 피로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Chien et al., 2010; Moyer et al., 2004)
- 다양한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실천하도록 지지하는 것은 부모가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충분한 휴식과 수면은 스트레스 회복에 필수적이며, 정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 (National Sleep Foundation, 2014; Patel & Hu, 2008)
- 건강한 식습관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20; Willett, 2002)
- 충분한 휴식, 수면,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부모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양육 역할 참여 증진 중재:
양육 역할 및 책임에 대한 교육:
양육의 중요성과 부모의 역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아기 돌봄, 가사 분담, 정서적 지원 등 양육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양육 역할 분담을 위한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을 교육한다.
남편의 양육 참여 독려 및 지원:
아기 돌봄 활동에 남편이 함께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참여 방법을 교육한다.
가사 분담 및 아내의 휴식 시간 확보를 위한 남편의 노력을 장려하고, 지지한다.
이론적 근거
- 양육은 아동의 건강한 발달에 필수적이며, 부모의 참여는 아동에게 안정감과 사랑을 제공한다. (Bronfenbrenner & Morris, 1998; Lamb & Easterbrooks, 2001)
- 양육 역할에 대한 교육은 부모가 양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양육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Belsky et al., 1984; Crnic & Meece, 1993)
- 양육 역할에 대한 교육은 부모-자녀 관계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McEwen & Shonkoff, 2000)
- 구체적인 양육 정보는 부모가 양육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Kazdin, 2007; Patterson, 1982)
- 아기 돌봄, 가사 분담, 정서적 지원 등 다양한 양육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모는 양육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할 수 있다. (Egeland & Katz, 1995; Lamb & Easterbrooks, 2001)
- 구체적인 양육 정보는 부모의 스트레스 감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효과적인 의사 소통은 부부 간의 갈등을 줄이고, 협력적인 양육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 (Gottman & Silver, 2000; Johnson & Whiffen, 2003)
- 양육 역할 분담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부모는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양육 책임을 공유할 수 있다. (Belsky et al., 1984; Crnic & Meece, 1993)
- 효과적인 의사 소통은 부모-자녀 관계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 남편의 양육 참여는 아동의 건강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부 관계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Lamb & Easterbrooks, 2001; McHale & Lamb, 2000)
- 아기 돌봄 활동에 남편이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참여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부모는 양육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할 수 있다. (Egeland & Katz, 1995; Lamb & Easterbrooks, 2001)
- 남편의 가사 분담은 아내의 스트레스 감소와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Hoaglund et al., 2002; Pressman & Amato, 2005)
- 아내의 휴식 시간 확보는 아내의 정신 건강 증진과 애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elsky et al., 1984; Crnic & Meece, 1993)
- 가사 분담 및 아내의 휴식 시간 확보를 위한 남편의 노력을 장려하고 지지함으로써 부모는 양육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하고, 부부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
4) 지지 체계 구축 중재:
가족 및 친구들의 지지 활용:
가족과 친구들에게 대상자의 상황을 알리고, 필요한 도움을 요청하도록 지지한다.
가족 간의 갈등 해결 및 협력 증진을 위한 상담을 제공한다.
지역사회 서비스 이용 정보 제공:
산후 조리 서비스, 아동 돌봄 서비스, 가족 상담 서비스 등 다양한 지역사회 서비스를 소개한다.
지역사회 서비스 이용 신청 및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전문가 상담 연결:
필요에 따라 심리 상담, 부부 상담 등 전문가 상담을 연결해준다.
상담을 통해 대상자가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부부 관계를 개선하며, 양육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관리, 정신 건강 증진, 어려움 극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hen & Wills, 1985; House et al., 1988)
- 가족, 친구, 지역사회 서비스 등의 사회적 지지 체계는 부모에게 필요한 도움과 지원을 제공한다. (Hazzard et al., 2007; Nicholson et al., 2007)
- 사회적 지지 체계 구축을 돕는 것은 부모가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애착 형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동아리 활동,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는 다른 부모들과 경험을 공유하고, 서로 지지와 격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Brown & Harris, 1978; McKenry & McKay, 1994)
- 다른 부모들과의 교류는 부모의 외로움과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정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 (Dennis & Hodkinson, 2003; Jordan & Walker, 1998)
- 동아리 활동 및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는 것은 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 전문가 상담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다.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2020)
- 전문가 상담은 부부 관계 개선, 양육 역할 조율, 효과적인 의사 소통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Gottman et al., 2005; Karpel & Rosenbaum, 1993)
- 전문가 상담을 통해 부모는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애착 형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지속적인 양육 능력 발달을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참고자료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Loss. New York: Basic Books.
McCaffery, M., & Pasero, C. (1999). Pain: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St. Louis, MO: Mosb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Managing chronic pain with medication: Summary of recommendations of the WHO Expert Committee on the Selection, Use and Dosimetry of Essential Medicines (20th report). Geneva: W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