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 간호과정 [정신간호학]
불안장애 정의 및 종류
불안장애 간호과정 : 사정
사정지침
• 신체적, 신경학적 검사는 불안이 일차적인지 다른 정신과적 장애나 의학적 상태, 물질에 의한 이차적인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자기 상해의 위험성에 대해 사정하기 위해 자포자기하거나 자살을 시도 할 수 있는 고도의 불안으로 고통 받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 정신사회적 사정을 한다. 항상 대상자에게 "당신은 그렇게 불안한 이유 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와 같은 질문을 한다. 대상자가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문제(힘든 결혼생활, 최근의 상실, 힘든 직장 상황이나 학교 상황)를 파악한다.
• 자살사고를 확인한다.
• 문화적 차이는 불안을 나타내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불안의 내용,심각성 정도 ➡️ 불안 관련 요인 ➡️ 불안 관련 적응적 변화 or 문제 ➡️ 치료나 도움 여부 ➡️ 치료에 대한 반응과 문제점 ➡️ 필요한 자원 및 지지체계의 적절성
행동사정
생리적 반응
심혈관계 : 빈맥, 심계항진, 혈압상승 or 혈압하강, 현기증
호흡기계 : 빠른 호흡, 숨이 참, 흉부 압박감, 목의 이물감, 숨막힘
신경계 : 깜짝 놀람, 눈꺼풀 떨림, 불면증, 전율, 초조, 긴장된 얼굴, 허약감, 다리 떨림
위장계 : 식욕부진, 복통, 복부 불편감, 오심, 속쓰림, 설사
비뇨기계 : 빈뇨
피부 : 안면홍조, 진땀, 가려움, 열감&오한, 창백한 얼굴
행동반응
- 안절부절 및 초조한 행동, 신체적 긴장(경직된 태도), 전율, 날카롭고 짜증 잘 냄.
- 깜짝 놀람, 지나친 조심성, 말이 빠름
- 조절 능력 결여, 사고를 자주 냄, 인간관계를 피함, 과환기
인지반응
- 주의 집중력 빈약, 잘 잊어버림, 판단의 실수
- 몰두, 사고의 중단, 지각적 영역 감소, 창의력 감소, 생산성 감소
- 혼동, 객관성 상실, 조절 능력 상실의 두려움, 두려운 시각상
- 죽음이나 상해에 대한 두려움
- 야경증
정서적 반응
- 신경과민, 긴장, 조바심, 근심, 초조, 불길한 예감
- 두려움, 놀람, 전율
- 무감각, 분노, 우울, 죄책감, 적대감, 수치심
불안사정도구(BAI : 벡 불안척도 Beck Anxiety Inventory)
벡 불안척도와 어린이와 성인의 불안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21개의 객관식 질문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설문지
22점 - 26점 : 불안 상태 (관찰과 개입을 요함)
27점 - 31점 : 심한 불안 상태
32점 이상 : 극심한 불안 상태
불안사정도구(HAS)
대처자원
- 환경 내의 대처자원 활용 ➡️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처 기능
- 개인내적 / 대인관계적 / 사회적요인
대처기전
과제 지향적 반응 ↔️ 자아 지향적 반응
과제지향적 반응
Task oriented reaction(문제해결 중심)
- 공격행위 : 불안을 일으킨 상황에 직면하기 위한 행위 (건설적, 비건설적-분노,적대심)
- 철회행동 : 불안을 일으킨 상황에서 도피하기 위한 행위 (신체적 - 아예 피해버리는 것, 심리적 - 미리 거부를 하는 것, 무관심, 포부를 낮춤)
- 타협 : 공격이나 철회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일 때 필요 (예 : 내 신념을 바꿔버림)
자아 지향적 반응
Ego oriented reaction(정서 중심)
- 자아 방어 기전
- 비교적 무의식 수준에서 작용
- 자기기만, 현실 왜곡 관여
불안장애 간호과정 : 간호진단
사정자료를 보고 원인을 잘 파악해야함.
- 무의식적 갈등과 관련된 불안
- 공포적 자극(예, 높은장소, 광장)과 관련된 두려움
- 혼자 있는 것(어두움, 외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플래시백 등)과 관련된 수면장애
- 집이나 안전한 장소를 떠나 여행하는 것 등의 제한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 가족원의 공포장애 또는 강박행위로 가족원의 적응과 관련된 가족과정의 장해
- 개인의 사고와 행위에 대한 조절력 상실과 관련된 무력감
불안장애 간호과정 : 결과확인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
기대되는 결과 (Outcomes)
|
불안
|
불안 수준을 확인하고 이완술을 사용하여, 환경적 자극을 감소시키고 불안을 조절한다. 역할수행을 한다.
|
비효과적 대처
|
비효과적 대처유형을 확인하고 도움을 요청하며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다양한 대처기전을 확인하고 필요한 생활스타일을 수정한다.
|
만성적 자아존중감 저하
|
자기수용을 표현하고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하며 신뢰감을 증진한다. 자신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표현 한다.
|
부적응적인 불안 대상자의 위한 기대되는 결과 ➡️ ‘적응적인 스트레스 대처행위가 나타날 것이다.’
✔️ 구제적인 행위를 적어야 함
단기목표: 쉽게 성취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 모든 치료모임에 조용히 앉아서 참석할 것이다.
- 간호사와 만날 때 최소 10분간 이야기할 것이다.
- 밤에 최소 6시간/day 수면을 취할 것이다.
✔️ 앞에 기간을 명시 ( 예 : 2주 안에, 1주 이내에 )
✔️ 한 대상자의 단기목표는 여러가지 나타날 수 있음.
불안장애 간호과정 : 간호 계획
- 긴호의 주목표: 불안의 정도에 따라 달라져야 함.
- 심한 불안 or 공포: 즉각적인 불안 감소
- 경미한 수준의 불안: 참고 견딜 수 있는 능력 배양 의식적, 건설적으로 불안을 해결 할 수 있는 능력(불안 대처 능력) 배양
✔️ 경미한 수준의 불안 ➡️ 불안 수준이 어느정도에 따라서 목표를 결정함
불안장애 간호과정 : 간호 수행
- 신뢰관계형성(라포 형성)
불안 대상자에게 주의할 점은 공감거리가 개인차가 있음. 주로 180cm 참고해서 신뢰 관계 형성에 있어서 거리를 점차 좁혀감.
- 간호사의 자아인식
자신의 불안 파악
- 대상자 보호
대상자의 공포, 강박적인 의식행위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황경을 미리 파악
- 불안에 대한 대상자의 자아인식 증진
대상자가 불안에 대한 인지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함 - 자신이 인지를 못함
처음엔 저항, 부정, 분노가 나타날 수 있음.
- 환경변화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지지적인 환경을 만들어 놓음
환경적인 자극은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함
환경에 대해 민감함
- 활동 참여 및 지지
흥미 있는 건설적인 활동을 지지한다.
중등도 대상자
- 안전제공
- 의사소통 : 짧고 단순하고, 간명하게 대화 / 만연체 금지 - 자신의 의사소통을 인지
- 불안 인식
- 원인적 요소 탐색 : 개인의 가치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 위협에 대처
- 인지행동치료
- 이완반응 증진 : 상호억제성 - 이완할 시 불안을 느낄 겨를이 없음.
공포장애 대상자
- 불안 수준에 따라 점진적 탈감작 기법
- 직접적인 이완 기법 교육
- 건전한 대처 방법 사용하도록
- 인지적 재구성 치료
- 정신치료
- 인지재구성(인지치료, 자신감훈련, 역할극, 전환기법)
- 행동치료 : 이완훈련, 모델링, 체계적인 탈감작, 홍수법 , 사고중지 호흡훈련, 안구운동 민감소실과 재처리법
- 바이오피드백 : 화면을 보면서 불안을 중재함 - 생리적인 결과를 직접 볼 수 있음.
- 정신생물학적 치료: 심부뇌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 환경치료
- 상담 : 불안 감소, 대처기전 발달, 의사소통 기술 증진, 위기 중재
- 자가 간호 활동 증진 : 영양 균형이 중요함, 탈수현상이 지속될 수도 있음, 수면장애도 흔함(수면 위생)
불안장애 간호과정 : 간호 수행 - 약물 치료
불안장애 간호과정 : 간호 평가
- 계획수행과 평가가 상호관계가 있는가?
- 간호목표와 행위가 대상자의 불안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에 적절하고 충분한가?
- 부적응반응이 감소되었는가?
- 새로운 적응적 대처 반응을 습득했는가 ?
- 간호사는 관계를 통해 대상자를 받아들이고 개인적인 불안을 조절할 수 있었는가?
중증 및 공황 불안 반응 대상자을 위한 간호 계획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
중증(공황) 수준의 불안 | ||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 | - 대상자의 중증도 불안이 경증으로 감소할 것이다. | ||
단기목표 | 중재계획(Nursing Planning) | 이론적 근거(Rationales) | |
1 . 대상자은 위험으로부터 보호 받을 것이다. | - 제일 처음 대상자의 방어를 공격하기보다는 대상자의 방어를 받아들이도록 지지한다. - 현재 대상자의 대처기전과 관련된 고통의 실체를 인식하고 공포증상, 의식적 행위, 신체적 고통 자체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 신체적 건강은 정서적 건강과 관련이 있다는 겂을 강조하고 이러한 영역의 욕구를 탐색한다 |
1. 중증이나 공황 수준의 불안에서는 문제해결 과정에 참여할수 없으므로 제일 처음 대상자에게 허용적이고 지지적이어야 한다. 만일 대상자가 불안을 감소시킬 수 없다면 더욱 공황 수준으로 불안이 증상되고 조절 능력이 상실 될 것이다. 이때 대상자는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처기전이 없는것이다. |
|
2. 대상자는 불안을 일으키는 환경적인 자극이 적은 상황에 있게 될 것이다. | - 침착한 태도로 대상자와 함께 있는다 - 환경적 자극을 감소시킨다 - 불안의 접촉성 전염을 최소화 하기 위해 타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제한한다 - 대상자에게 불안을 일으킨 상황을 확인하고 조정한다. - 온수 목욕이나 마사지와 같은 지지적인 물리적 방법을 수행한다. (이완요법) |
2. 대상자의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대상자의 행동이 변화 할 수 있다. |
|
3. 대상자는 일상적 활동계획에 참여할 것이다 | - 체일 처음에는 지지를 제공하고 사회적으로 건설적인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대상자와 함께 활동을 수행한다. - 신체적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매일 수행할 수 있는 활동목록으로 계획한다. - 가능한 한 가족이나 타 지지체제를 많이 포함시킨다. |
3. 외부활동을 지지함으로써 간호사는 비 건설적인 대처기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하고 즐거운 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린다. | |
4. 중증의 불안증상이 감소 될 것이다. |
- 대상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약물을 투여한다. - 약물의 부작용을 관찰하고 관련된 건강교육을 실시한다. |
4. 고통스런 증상을 약물로 조절할 수 있다면 치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기본적인 활동에 관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