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정신간호학

우울증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정신건강간호학]

RNSONG 2023. 12. 27. 08:27
반응형

우울증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우울증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DSM-5에서의 진단 분류  : 우울 장애(Deressive Disorder)

  •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 파괴적 기분조절곤란 장애(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지속성 우울장애(기분부전장애)(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Dysthymia])
  • 월경전기 불쾌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물질 및 약물로 인한 우울장애(Substance/Medication Induced Depressive Disorder)
  • 기타 의학적 상태와 관련된 양극성 장애(Depressive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우울장애

  • 평생 유병률: 남성 5-12%, 여성 10-25%
  • 평균발병연령; 20대 중반, 모든 연령 가능
  • 청소년의 8%까지우울을 경험
  • 요양원에거주하는노인, 내과적 질환을 가진 대상자들도 고위험군, 독신, 이혼
  • 계절성–봄, 가을호발

간호진단 예시

  • 동생의 죽음과 관련된 부적응적 슬픔
  • 직업 상실과 관련된 절망감
  • 새로운 부모 역할과 관련된 무력감
  • 사산과 관련된 정신적 고통 이성친구의 거절과 관련된 자신에 대한 폭력 위험
  • 자존감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 정신운동 지연과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목욕과 개인위생, 의복과 몸단장)

우울증 케이스스터디 

 

우울증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1] Assessment Date: 20XX. 11. 24~29 Client initials: 정OO Age: 68 Gender: F Allergies: 없음 Admission date: 20XX. 11. 13 (HOD: 19) Admission status: 보통 키, 보통 체구의 분홍색 색안경을 쓰고 초조한 표정으로 눈물 흘리며 이

songnurse.tistory.com

 

 

 

우울증 케이스스터디 - 간호사정 및 간호진단 [정신간호학]

간호사정 1. 일반적인 정보 ▶ 환자 정보 성명: ㅇㅇ □남 ■여 연령: 만 38 주소: ----- 의료보장형태: □보험 ■보호1종 □보호2종 □기타 직업: 무 주거형태: ■ 자가 □ 임대 □ 기타 종교: □개신

songnurse.tistory.com

부적응적 슬픔

정의

사별에 따른 고통의 경험이 사회문화적 기대치를 따르지 못하는 중대한 타인의 사망 후 발생하는 장애.

정의적 특성

  • 불안
  • 삶의 역할 수행 능력 저하
  • 우울 증상
  • 친밀감 수준 감소
  • 불신
  • 과도한 스트레스
  • 고인이 겪었던 증상 경험
  • 분노 표현
  • 압도당하고 있음을 표현함
  • 고인에 대한 괴로움을 표현함
  • 다른 사람으로부터 분리된 느낌 표현
  • 공허한 느낌 표현
  • 기절할 것 같은 느낌 표현
  • 충격 표현
  • 피로
  • 위장 증상
  • 슬픔 회피
  • 병적상태 증가
  • 고인에 대한 그리움
  • 타인에 대한 불신
  •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음
  • 고통스러운 기억의 지속
  • 고인에 대한 생각에 사로잡힘
  • 고인에 대한 소문
  • 고인 찾기
  • 자책

관련요인

  • 동시 다발 위기처리의 어려움
  • 과도한 정서적 혼란
  • 높은 애착 불안
  • 불충분한 사회적 지지 
  • 낮은 애착 회피

부적응적 슬픔 간호목표

환자는 슬픔의 감정을 표현하고 극복할 수 있다. 

환자는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고 상실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처 전략과 기술을 3가지 이상 말 할 수 있고 실천 할 수 있다. .

부적응적 슬픔 간호중재 및 이론적근거 

슬픔 사정 (Assessment of Sadness) 및 감정 지지 (Emotional Support)

- 간호사는 환자의 슬픔 정도와 주요 원인 및 슬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평가합니다환자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기 위해 간호사는 개인 면담을 통해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감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습니다.

-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슬픔을 표현하고 공감하는 환자에 대해 이해와 지지를 제공하여, 환자가 안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간호사는 환자에게 이해와 지지를 제공하여 슬픔을 완화시킵니다간호사는 환자와 소통하고환자의 감정을 수용하며공감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 간호사는 환자에게 자신의 슬픔을 받아들이도록 격려하고, 자신의 슬픔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지시합니다. 

이론적 근거 
-가까운 사람의 죽음은 예상치 못한 상황 속 불공평과 고립 을 경험하게 하며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 공존하여 애도 과정 을 더 어렵게 만든다(Menichetti, Borghi, Cao di San Marco, Fossati, & Vegni, 2021, p.503). 고인의 사망 원인은 복합비 애 발생 위험을 높이는 대표적 요인이다. 사망 원인 중 자살, 살인, 사고, 자연재해, 전쟁 등 외상 사건으로 인해 중요한 사 람을 잃는 경험을 폭력적 상실(violent loss)이라 한다. 이는 질병, 노환 등의 비폭력적 상실과 달리 예상하지 못했던 갑작스럽고 트라우마적인 사망으로 복합비애 발생 위험을 높인다 (Heeke, Kampisiou, Niemeyer & Knaevelsrud, 2017, p.12).
-배우자와의 사별은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 남성은 여성보다 더 큰 우울증을 경험하고 전반적인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젊은 유족은 노년층보다 사별 후 더 많은 결과를 겪습니다. 이러한 연령 관련 증상 차이는 젊은 사람들이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상실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무가이 외, 2022).
-애도 장애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는 내담자에 대한 임상 평가에는 현재 및 평생의 정신과적 장애, 자살 충동, 정신 상태, 의료 및 치료 이력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DSM-5용 미니 국제 신경정신과적 면담과 같은 구조화된 평가를 사용하여 수집할 수 있습니다.
- 슬픔에 빠진 가족 구성원의 반응은 종종 다릅니다. 애도 기간 동안 관찰되는 일반적인 정서적 반응으로는 무감각, 슬픔, 분노, 절망감, 짜증, 부정, 죄책감, 두려움, 불안 등이 있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때 침착함을 유지하고 고인의 가족을 존중하세요(Sedaghati 외, 2023).
-환자는 상실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슬픔을 받아들이도록 권장합니다. 애도를 받아들인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애도 관련 감정을 받아들이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환자가 자신의 슬픔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고통을 포함하여 슬픔을 받아들이도록 돕기 위한 방법으로 자신의 슬픔을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합니다.

 

대화와 상담 (Therapeutic Communication)

- 간호사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환자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하고, 슬픔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환자의 자아존중감을 회복시키기 위해 상담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사랑하는 사람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공유할 때는 이 순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담자가 언제든 슬픔을 표현하면 의료진은 의료진이 내담자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계획 중이거나 수행 중인 일을 중단하고 우선순위를 변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간호기록에 기록하는 것을 중단하고 환자에게 온전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입니다(Iglewicz 외, 2019).

인지-행동적 치료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및 정서 조절 기법 (Emotion Regulation Techniques)

-  CBT는 부적응적인 사고와 행동을 변화시켜 슬픔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간호사는 환자와 함께 슬픔과 관련된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탐색하고이를 긍정적인 사고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줍니다.

- 간호사는 환자에게 정서 조절 기법을 가르쳐줍니다이는 슬픔이 심해질 때 사용할 수 있는 자기관리 전략으로호흡 운동명상근육 이완 등의 방법을 활용합니다.

이론적근거 
- CBT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애도 장애와 함께 발생하는 증상을 목표로 삼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CBT가 우울 증상을 개선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 전략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자기 관리와 사회적 자원에 대한 재참여를 촉진하는 중재 프로그램인 '상실 후 건강한 경험'은 슬픔,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초기 효과를 입증한 바 있습니다.
- 인지행동치료와 대인관계치료는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증거 기반의 심리치료법입니다.

 

활동 유도 (Activity Engagement)

슬픔은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관심사나 취미를 파악하여 그와 관련된 활동을 유도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이론적 근거 
간호사는 간단하고 보람 있는 활동을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 더 나은 건강 관리를 위해 운동에 참여하거나, 당좌 예금 계좌의 잔고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공원을 산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상 방문 시마다 몇 분 정도 시간을 할애하여 이 계획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자기 돌봄 교육 (Self-Care Education) 및 자기 돌봄 강화 (Self-Care Promotion)

- 슬픔은 환자의 자기 돌봄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스트레스 관리, 잠의 중요성, 올바른 영양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자기 돌봄 능력을 향상시키고, 슬픔에 대한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간호사는 환자의 자기 돌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올바른 식단 및 수면 습관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일상적인 활동과 취미를 재창조하여 슬픔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회적 지원 (Social Support) 및 지원 그룹 참여 (Support Group Involvement)

- 간호사는 환자가 사회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환자의 가족친구지인과의 관계를 강화시키고사회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슬픔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간호사는 환자를 지원 그룹에 참여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지원 그룹은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다른 환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서로의 슬픔을 이해하고 지지해줄 수 있는 소중한 자원입니다.

이론적 근거
- 애도 과정에서의 지원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지역사회 그룹에서 같은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있으면 가족이 고통스러운 사건을 극복하고 삶을 이어나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신건강 사례관리자는 고인의 가족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종합적인 정신건강 평가를 실시하여 적극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필요한 개입을 제공해야 합니다.
-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사별준비가 부족하고[12], 복합적 슬픔의 유병률과 관련이 있으며[13], 사별 후 대처수준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복잡성 비애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후 바로 개입할 수 있는 상실․애도 집단프로그램이나 사별자 자조모임 등이 확산될 필요가 있다.(김경희, 유지영, 2019)

 

 

약물 관리 (Medication Management)

필요한 경우, 의사와 협력하여 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약물 복용 여부와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부작용에 대한 관리를 제공합니다.

이론적 근거 
-항우울제와 CBT를 병용하면 동반된 우울증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슬픔과 관련된 증상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장기간의 슬픔 장애에서 약물 치료에 대한 증거 기반 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종류의 약물을 단독으로 또는 치료와 함께 사용할 때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와 간단한 심리 치료(인지 행동 치료, 대인 관계 치료)만으로도 우울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하면 우울증 증상 개선율이 훨씬 더 높고, 삶의 질이 향상되며, 치료 순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또한 CBT가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경험적 근거도 있습니다.

 

 환자 교육 (Patient Education)

-간호사는 환자에게 슬픔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슬픔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도움을 줍니다. 환자가 슬픔을 정상적으로 경험하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론적 근거 
암환자 배우자를 대상으로 사별 전부터 사별준비에 대한 중요성을 교육하고, 사별로 인한 삶의 변화 속에서 자신이 가진 긍정적인 대처전략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우며, 사별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김소명, 권소희, 2018)

 

참고문헌

9. Horowitz MA, Taylor D. Tapering of SSRI treatment to mitigate withdrawal symptoms. Lancet Psychiatry. 2019 Jun;6(6):538-546.

10. Knappe S, Einsle F, Rummel-Kluge C, Heinz I, Wieder G, Venz J, Schouler-Ocak M, Wittchen HU, Lieb R, Hoye J, Schmitt J, Bergmann A, Beesdo-Baum K. [Simple guideline-oriented supportive tools in primary care: Effects on adherence to the S3/NV guideline unipolar depression]. Z Psychosom Med Psychother. 2018 Sep;64(3):298-311

12. Tsai WI, Prigerson HG, Li CY, Chou WC, Kuo SC, Tang ST. Longitudinal changes and predictors of prolonged grief for bereaved family caregivers over the first 2 years after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eath. Palliative Medicine. 2016;30(5):495-503. https://doi.org/10.1177/0269216315603261

13. Allen JY, Haley WE, Small BJ, Schonwetter RS, McMillan SC. Bereavement among hospice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one year following loss: Predictors of grief, complicated grief, and symptoms of depression.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3;16(7):745-751. https://doi.org/10.1089/jpm.2012.0450

14. Chang SJ. Psychological well-being of widowed in later life: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5;35(3):589-608

- 김경희 and 유지영. (2019).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9(1), 21-3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