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약물의 정의
고위험군 약물은 조제/ 투약 오류에 의해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적어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이 큰 약물
종류 :
① 고농도 전해질 주사제
② 헤파린 주사제
③ 주사용 항암제
고위험 약물의 일반관리 지침
고위험 약물의 구분
고위험 약물에는 ‘고위험’ 라벨(주황색)을 부착하고 ‘반드시 희석 후 사용 ’ 이 표시된 경고문을 부착한다.
보관장소
다른 의약품과 구분하여 보관한다.
고위험 약물 - 고농도 전해질
고농도 전해질이란 조제/투약 오류에 의해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이 큰 전해질로서 등장농도 이상의 것을 말한다
투여 및 처방시 주의사항
원액투여는 절대 금기이며, 반드시 희석하여 정맥 주입 하고, 근육주사나 일시 정맥주사는 피한다.
고농도 전해질의 종류
약품코드 |
약품명 |
성분명 |
총함량 |
Volume |
농도 |
처방단위 |
XKCL |
K-40 20ML(중외) |
Potassium Chloride |
40mEq |
20mL |
2mEq/mL |
AMP, mEq |
XNACL |
NA-40 20ML (중외) |
Sodium Chloride |
11.7%/40mEq |
20mL |
0.117g/2mEq/mL |
AMP, mEq |
XMGS5 |
MAGNESIN 50% 20ML(대원) |
Magnesium Sulfate |
50%/81mEq |
20mL |
0.5g/4.05mEq/mL |
AMP, ML |
XPO4 |
PHOSTEN 20ML(중외) |
KH2PO4 |
40mEq |
20mL |
2mEq/mL |
VL, ML |
과량투여 시 처치방법
고농도 전해질 과량 투여 발견 시 간호사는 주입하던 수액을 즉시 멈추고, 주치의에게 알리면 주치의는 필요한 의학적 처치를 시행한다.
고농도 전해질 과량 투여 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성분명 : Potassium chloride
처치방법 :
배설기전 장애 또는 정맥내 칼륨이 급속 또는 과량 투여 시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발생 후 즉시 투여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시행
1) 칼륨 함유 음식이나 약물 제한 또는 배제.
칼륨보존성 이뇨제가 투여되고 있는 경우에는 투여중지
2) 칼슘제의 투여
3) 포도당-인슐린 요법
4) 고장성 나트륨액의 투여
5) 탄산수소나트륨의 투여
6) 이온교환수지의 투여
7) 투석요법
성분명 : Sodium chloride
처치방법 :
과량투여 또는 그로 인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 환자상태를 재평가하고 적절한 처치시행
성분명 : Magnesium sulfate
처치방법 :
대량투여에 의해 마그네슘중독을 일으켜 열감, 갈증, 혈압저하, 중추신경 억제, 심박동 수억제, 호흡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음. 해독에는 칼슘제 정맥주사 시행
성분명 : KH2PO4
처치방법 :
과량투여 시 인산과 칼륨의 중독증상이 나타나므로 과량 투여시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저하된 혈중칼슘의 보존 및 상승된 인산 및 칼륨농도의 저하를 위한 적절한 처치 시행
'신규간호사 > 약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 약물 Emergency cart(2) (0) | 2023.06.10 |
---|---|
응급 약물 Emergency cart (1) | 2023.06.09 |
고위험 약물 - 헤파린 (2) | 2020.01.09 |
응급 약물 (0) | 2018.10.18 |
당뇨약물 (0) | 2018.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