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간호사 /약물6 응급 약물 Emergency cart(2) 항 부정맥제(Antiarrhythmic agents) 심실성 부정맥 치료제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프로케이나마이드 심실상성 부정맥 치료제 아제노신 베라파밀 딜티아젬(herben) 아이모다론(Amiodarone : cordarone) 나트륨,칼륨 및 칼슘통로와 알파 및 베타 교감신경 차단 작용을 가진 항 부정맥제 장기간 사용 시 치명적인 폐 섬유화와 갑상선 기능장애 발생으로 샤용 제한 최근 제세동에 반응하지 않는 심실 세동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제세동 성공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새롭게 각광 항 부정맥 작용 심방과 심실세포의 탈분극 기간과 불응기 연장 phase 0의 속도 감소 동방결절의 phase 4 지연 방실결절의 전도 속도 지연 ➡️ 심실세동, 심실 빈맥 등 심실성 부정맥 치료와 심실상성 부정맥 치료에.. 신규간호사 /약물 2023. 6. 10. 응급 약물 Emergency cart 응급 약물 Emergency cart 응급약물-Epinephrine 강력한 카테콜라민 : 알파교감신경과 베타교감신경 모두 흥분❗️❗️ Epi 투여 시 1. 말초 혈관 저항 증가 2.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상승 3. 심근의 전기적 흥분성 증가 4. 관상동맥 및 뇌혈관으로 혈류 증가 5. 심근수축력 증가 6. 심근의 자율성 증가 7. 심근의 산소소모량 증가 말초혈관 수축 ➡️ 관상동맥, 뇌 관류압 증가 알파교감신경 흥분 ➡️ 심실세동 환자의 제세동의 역치 감소 심정지 환자의 에피네프린의 효과는 알파교감신경 흥분작용에 의한 것임. 심정지 상태와 같은 극심한 허혈상태 알파 1 수용체의 기능마비 알파 2 수용체로 인한 혈관 수축 알파교감신경흥분제 (metoxamine, phenylephrine) ➡️ Epine.. 신규간호사 /약물 2023. 6. 9. 고위험 약물 - 헤파린 고위험 약물의 정의 고위험군 약물은 조제/ 투약 오류에 의해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적어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이 큰 약물 종류 : ① 고농도 전해질 주사제 ② 헤파린 주사제 ③ 주사용 항암제 고위험 약물의 일반관리 지침 고위험 약물의 구분 고위험 약물에는 ‘고위험’ 라벨(주황색)을 부착하고 ‘반드시 희석 후 사용 ’ 이 표시된 경고문을 부착한다. 보관장소 다른 의약품과 구분하여 보관한다. 고위험 약물 - 헤파린(Heparin) 헤파린의 종류 약품코드 약품명 성분명 총함량 Volume 처방단위 XHPR2 HEPARIN 20,000IU 20ML(중외) Heparin Sodium 20000IU 20mL Vial, IU XHPR25 HEPARIN 25,000IU 5ML(한림) H.. 신규간호사 /약물 2020. 1. 9. 고위험 약물 - 고농도 전해질 고위험 약물의 정의 고위험군 약물은 조제/ 투약 오류에 의해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적어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이 큰 약물 종류 : ① 고농도 전해질 주사제 ② 헤파린 주사제 ③ 주사용 항암제 고위험 약물의 일반관리 지침 고위험 약물의 구분 고위험 약물에는 ‘고위험’ 라벨(주황색)을 부착하고 ‘반드시 희석 후 사용 ’ 이 표시된 경고문을 부착한다. 보관장소 다른 의약품과 구분하여 보관한다. 고위험 약물 - 고농도 전해질 고농도 전해질이란 조제/투약 오류에 의해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이 큰 전해질로서 등장농도 이상의 것을 말한다 투여 및 처방시 주의사항 원액투여는 절대 금기이며, 반드시 희석하여 정맥 주입 하고, 근육.. 신규간호사 /약물 2020. 1. 8. 응급 약물 Drugs Therapy in Cardiac Arrest- Epinephrine- Vasopressin- Amiodarone- Lidocaine- Magnesium sulfate- Sodium bicarbonate Bradycardia Algorithm Drug Therapy in Bradycardia- Atropine- Dopamine- Epinephrine- Isoproterenol Tachycardia Algorithm Drugs Therapy in SVT- Adenosine- CCBs : Verapamil, diltiazem- 베타 -Blockers : Esmolol- Amiodarone- Digoxin Drugs Therapy in VT- Amidarone- Lidocaine- Procainam.. 신규간호사 /약물 2018. 10. 18. 당뇨약물 당뇨병이란?- 당 : 세포들이 일할 수 있게 에너지를 공급- 인슐린 : 췌장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으로 당이 세포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슐린이 필요 췌장이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만들어진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면 당이 세포 안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고 체내의 혈당이 높아지는 당뇨병 당뇨병의 진단 기준1. 정상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 혈장 혈당 100mg/dL 미만이고 75g 경구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140mg/dL 미만으로 한다. 2. 공복혈당장애는 공복 혈장 혈당 100-125mg/dL이다. 3. 내당능장애는 75g 경구당부하 2시간 후 결장 혈당 140-199mg/dL이다. 4. 다음 중 한 항목에 해당하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신규간호사 /약물 2018. 10.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