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이란?
- 당 : 세포들이 일할 수 있게 에너지를 공급
- 인슐린 : 췌장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으로 당이 세포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슐린이 필요
췌장이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만들어진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면
당이 세포 안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고
체내의 혈당이 높아지는 당뇨병
당뇨병의 진단 기준
1. 정상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 혈장 혈당 100mg/dL 미만이고 75g 경구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140mg/dL 미만으로 한다.
2. 공복혈당장애는 공복 혈장 혈당 100-125mg/dL이다.
3. 내당능장애는 75g 경구당부하 2시간 후 결장 혈당 140-199mg/dL이다.
4. 다음 중 한 항목에 해당하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4-1. 공복 혈장 혈당 >= 126mg/dL : 이 기준은 명백한 고혈당이 아니라면 다음날에 반복하여 확인해야 한다.
4-2.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 (다뇨, 다음, 설명되지 않는 체중 감소)과 임의 혈장 혈당 >= 200mg/dL
4-3. 75g 경구 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 혈당 >=200mg/dL
4-4. 당화혈 색소 >= 6.5%
5. 당화혈 색소 5.7-6.4%에 해당하는 경우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진단한다.
당화혈색소 (HbA1c)
- 혈당이 8-10주 이상 증가되어 적혈구에 포도당이 붙은 상태
- 8-10주 이전의 평균 혈당 농도를 의미
-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 정도 판정
- 정상 : 4~5.6
- 당뇨병 고위험군 : 5.7~6.4
- 당뇨병 진단 기준 : 6.5 이상
- Sulfonylureas
- Meglitinides
- Biguanide (metformin)
- Thiazolidinediones
- α-glucosidase inhibitors
- DPP-4 inhibitors
- GLP-1 analog
- 인슐린제제
특징
: 주로 공복시 기저 인슐린 분비를 자극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이 거의 없는 경우 혈당강하 효과가 없음.
부작용
: 저혈당 (용량과다, 부적절한 식사나 과도한 신체 활동)
체중증가
경미한 위장관 부작용
Meglitinides
특징
: 식후 혈당 개전 효과
반감기가 짧고 흡수가 빨라 불규칙한 식사 습관이 있는 환자에 유용(식전에 복용하도록 교육)
부작용
: 저혈당
Biguanide (metformin)
특징
: 인슐린 저항성 완화, 체중 감소 혹은 변화없음, 혈청 지질의 교정 효과
장기투여는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
부작용
: 식욕 감소, 구역, 구토, 복통, 소화장애, 복부 팽만감, 설사 및 쇳가루 맛 등의 위장관계 부작용
저혈당 (드물다)
젖산증 (메트포민의 경우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음.)- 신기능이 이상이 있거나 젖산증 위험이 있는 환자인 경우 투여에 주의함.
Thiazolidinediones
특징
: 인슐린 저항성 완화, 혈청 지질의 교정효과
부작용
: 혈장량의 증가 및 부종 (주로 4-12주 후)
체중 증가
골다공증
방광암 증가와 관련될 가능성
α-glucosidase inhibitors
특징
: 식후 혈장 포도당의 증가를 지연
식후 고인슐린혈증의 개선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음.
부작용
: 위장가스, 복부 팽만감 및 설사(탄수화물의 흡수 불량)
Incertin-based therapy
Incretin (인크레틴)
- 체내에서 음식을 먹으면 소장에서 분비되는 물질
-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함.
Glucagon-like peptide-1 (GLP-1)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 (GIP)
출처 :https://twitter.com/natrevneph/status/905420389739880448
DPP-4 inhibitors
특징
: 설폰요소제, 글리나이드 및 인슐린에 비해 저혈당 발생이 적음 (혈당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증가)
체중에 있어서 중립적인 영향
식후 고혈당 개선 효과
부작용
: 두통, 설사
급성췌장염 (드물다)
장기 사용시 안정성 미확보
GLP-1 analog
특징
: 설폰요소제, 글리나이드 및 인슐린에 비해 저혈당 발생이 적음 (혈당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증가)
체중 감소
피하주사 (일 2회)
부작용
: 저혈당
식욕감소, 오심, 구토, 설사, 소화불량
어지러움, 두통
장기 사용시 안정성 미확보
혈당강하제의 작용기전
인슐린 치료의 적응중
1. 충분한 결구혈당강하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3개월 이내에 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조기에 인슐린요법을 고려한다. 최대 용량의 경구혈당강하제나 적절한 경구혈당강하제 병용 투여에도 불구하고 당화혈 색소 7.0 이상이면 인슐린 요법을 시작한다
2. 당뇨병 진단 초기에도 증상이 있거나 당화혈 색소 10% 이상인 경우 인슐린을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3. 성인의 지연형 자가면역당뇨병 및 제1형 당뇨병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인슐린을 사용할 수 있다.
4. 심근경색증, 뇌졸중, 급성질환 발병 시, 수술 시에는 인슐린 요법을 시행한다.
5. 임신을 준비 중인 환자나 임신한 경우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하고 인슐린 요법을 시행한다.
인슐린 종류에 따른 작용시간
출처 : http://healingcomz.tistory.com/19
인슐린 제제
인슐린 사용의 실제
인슐린 치료의 부작용
- 저혈당
- 인슐린 과민성
- 주사 부위의 지방 위축 및 지방 비후
- 인슐린 부종
혈당관리의 목표
1. 혈당조절의 목표는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결정하며, 식전과 식후 2시간 혈당도 함께 사용한다.
2.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미세혈관합병증 및 대혈관합병증의 발생휘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적극적인 혈당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3. 혈당조절의 목표는 환자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저혈당이 오지 않는 상태에서 당화혈색소 6.5% 이내로 한다.
4. 혈당조절의 목표를 정할 때는 환자의 나이, 당뇨 합병증의 진행정도, 동반 질환들, 저혈당 인지능력의 감소 등의 개별적인 위험요소들을 고려해야한다. 위험요소가 없는 당죠병 초기 환자의 경우 집중적인 혈당 조절을 요하나, 위험요소가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혈당조절의 목표를 개별화하고 적극적인 치료로 인한 급격한 혈당변화를 피해야한다.
5. 수술 전후, 심근경색, 임신 및 급성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좀더 엄격한 조절이 필요하며, 심한 저혈당이 있는 경우, 짧은 여명기간, 소아 (<13세)와 노인 (>=65세) 및 타 질환이 동반된 환자에서 조절의 목표를 완화할 수 있다.
'신규간호사 > 약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 약물 Emergency cart(2) (0) | 2023.06.10 |
---|---|
응급 약물 Emergency cart (1) | 2023.06.09 |
고위험 약물 - 헤파린 (2) | 2020.01.09 |
고위험 약물 - 고농도 전해질 (2) | 2020.01.08 |
응급 약물 (0) | 2018.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