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성인간호학

뇌졸중 환자 간호 [뇌졸중 병태생리, 종류, 치료 등]

RNSONG 2024. 2. 15.
반응형

뇌졸중 환자 간호 [뇌졸중 병태생리, 종류, 치료 등]

뇌졸중 문헌고찰

1. 병태생리 

 뇌의 한 동맥이 손상되어 그 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는 뇌조직의 허혈 현상으로 뇌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허혈은 뇌에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을 초래하여 허혈된 부위의 신   경원과 신경교 세포, 조직을 경색 ․ 괴사시킨다. 뇌졸중 발생 이후의 뇌대사는 침범된 영역   뿐만 아니라 대뇌반구의 반대쪽에도 영향을 미친다.

 

2. 종류

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1) 혈전성 뇌졸중(Thrombotic stroke)

일시적인 언어손상, 편마비, 편측감각이상과 같은 전구증상이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생기지는 않는다. 뇌혈전증이 시작될 때 두통이 생기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현기증, 혼돈, 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2) 색전성 뇌졸중(Embolic stroke)

전은 혈전이나 공기 또는 지방물질이 신체부위에서 떨어져 나와 혈관을 막은 상태를 뜻한다. 색전의 흔한 원인은 심장 문제로 비판막성 심방세동, 허혈성 심질환, 류마티스성심 질환, 심근경색이나 인공판막대치술 후 혈전 등이다.

   색전성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고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이 나타난다. 증상은 빠르게      호전될 수 있다.

 

 2)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뇌조직 안이나 뇌를 싸고 있는 공간(뇌실, 경막하, 지주막하)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다. 뇌조직 안의 출혈은 주로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고, 동맥류의 파열이나 동정맥 기형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3. 원인과 위험요인

 1) 나이, 성별, 과거력

  • 노인

  남성

  • 유전, 가족적 소인

  • 뇌졸중의 기왕력이나 일과성 허혈발작

 

 2) 생활습관 문제

  • 비만, 좌식생활

  • 흡연, 약물남용(특히 코카인), 다량의 알코올 복용

 

 3) 약물복용 또는 중단

  • 경구 피임약 복용

  • 고혈압 약물 복용의 갑작스러운 중단

  • 항히스타민제제인 phenlypropanolamine(PPA) 복용

 

 4) 질병, 비정상적인 혈액상태

  • 당뇨

  • 심장질환 : 심방세동, 심근경색, 류마티스성 심질환, 인공판막 대치술

  • 혈청 콜레스테롤 ․ 지질단백 ․ 중성지방 ․ 저밀도 지단백 증가, 고밀도지단백 감소

  • 과응고상태

  • 편두통

 

4. 임상증상

 1) 초기 경고 증상

 일과성 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허혈성 뇌졸중의 경고증상으로 무증후성 뇌졸중(silent stroke) 또는 가역성 허혈성    신경결손(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이라 한다. 증상이 나타는 시간에 따라 TIA와 RIND를 구분한다. TIA는 증상이 수분에서 몇 시간까지 계속될 수 있으나 24시간 내에 반드시 회복되는 경우를 말한다. RIND의 증상은 24시간 이상 1주 이내에 나타난다.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시각결핍 : 흐린 시야, 복시, 한쪽 실명, 좁은 시야

  • 운동결핍 : 손, 팔, 다리에 일시적 마비, 보행장애(실조성)

  • 감각결핍 : 일시적 무감각증(얼굴, 팔, 손), 현훈

  • 언어결핍 : 실어증, 구음장애 

 

고혈압성 뇌졸중

후두부 또는 목 뒤의 심한 통증, 현기증, 실신, 지각이상, 일시적인 마비, 비출혈과 망막출혈

혈정성 뇌졸중

 일시적인 반신부전마비, 언어장애, 신체 한쪽의 지각이상

 2) 인지, 운동, 감각지각 변화


우뇌 손상 좌뇌 손상
인지변화  • 시간과 장소에 대한 지남력 상실
 • 충동적이고 판단력감소와 함께 인격변화
 • 다양한 음조에 대한 듣는 능력 상실
 실어증, 실독증, 실서증
 • 느린행동, 조심성 증가
 • 기억결핍, 시각적 공간 인지결손
운동변화  • 반대측 신체 마비, 부전마비  • 반대측 신체 마비, 부전마비
감각지각변화  • 편측 무시
 • 시각-공간 관계 장애
 • 편측 무시

 3) 뇌신경 손상

  저작능력(제5뇌신경), 연하 기능(제9, 10뇌신경), 안면마비나 부전마비(제 7뇌신경), 구토반사 상실(제 9뇌신경), 혀 움직임(제 12뇌신경)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4) 배뇨장애

  뇌졸중 후 일시적으로 요실금을 보일 수 있다. 이는 정신 혼돈, 표현 능력 부족, 운동 기능과 자세 조절 기능의 손상, 방광 이완, 외괄약근 조절력의 감소나 상실 때문에 나타난다. 양측 뇌 손상이 있으면 대상자의 지각력이 저하되어 요실금이나 요정체가 지속될 수 있다.

 

 5) 언어소통장애

  (1) 구음장애(Dysarthria)

   발성기관의 근육 마비로 알아듣기 어려운 말을 한다.

  (2) 부전실어증(Dysphasia) 

   말을 표현하거나 이해하지못한다.

  (3) 실어증(Apahsia)

   - 표현성 실어증 : 말을 들을 수 있고, 말을 하는 근육의 마비는 없지만 언어구성에 필요한 잠재기억이 소실되어 말을 할 수 없다.

   - 감수성 실어증 : 언어를 이해하는 기능에 문제가 있고, 말은 유창한 것 같으나 비논리적이거나 작화증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5. 진단검사

뇌졸중 진단검사

 1) 혈액검사

  중증 뇌졸중인 경우 hemoglobin과 hematocrit수준이 증가한다. 항응고제 투여시 PT,

  PTT 시간을 측정한다. 그 외에 전해질, 혈당, 요산, 콜레스테롤치 등을 검사한다.

 

 2) 뇌척수액검사

  요추천자 시 두개내압이 증가된 경우 뇌탈출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금하여야 한다. 

  뇌혈전증에서는 뇌척수액은 정상이나, 지주막학 출혈이 있다면 적혈구를 볼 수 있다. 

 

 3) 혈관조영술(angiography)

  동맥의 협착, 폐색, 출혈 유무의 진단에 중요한 검사이다.

 

 4) 컴퓨터 단층촬영(CT)

  출혈, 색전, 경색, 혈전증을 구별할 수 있다. 응급으로 빠른 시간 내에 시행할 수 있다.

 

 5) 자기공명영상(MRI)

  뇌경색 진단에 가장 예민한 특수검사다. 자기공명 혈관촬영술(MR angiography)을 이용하여 혈관의 협착이나 폐색을 비침습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6) 방사성 핵종 검사

  국소적인 뇌혈류의 감소를 평가할 수 있다. 경색 부위에 동위원소의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망막혈관 압력계

  안동맥 아래쪽에 위치한 경동맥의 폐색을 찾아낼 수 있다. 안동맥압은 경동맥 압을 반영    하는데 정상은 상완동맥에서 측정한 수축기압의 2/3, 이완기압의 1/3 정도이다.

 

 8) 기타 진단검사

  (1) 안검사 

   망막혈관의 혈전 여부를 조사한다.

  (2) 경동맥 초음파 검사, 경두개 도플러 초음파 검사 

   비침습적으로 뇌혈류상태를 알 수 있다.

  (3) 심장성 요인일 경우 심전도, Holter 모니터검사, 심장효소검사, 심초음파검사를 

   시행한다.

 

6. 치료

 1) 비수술요법

  (1) 약물요법

   혈전용해제(rt-PA), 항응고제(Aspirin, heparin, warfarin), 항혈소판 제제(Aspririn, clopidogrel), 두개내압 하강제(mannitol, dexamethasone), 항경련제(phenytoin,gabapentin, diazepam, phenobarbital), 칼슘통로 차단제(nimodipine), 수액요법

  (2) 기타 비외과적 중재

   저체온치료, 소듐통로차단제, 아편 길항제, 칼슘통로 차단제, 세포막 안정제, glutamate 수용기 길항제, free radical scavengers와 같은 세포 보호약물을 시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 수술요법

  (1) 동맥내막절제술

   경동맥 죽종(atherosclerotic plaque)을 제거하여 뇌졸중 진행을 막아준다.

 

  (2) 두개강 내외 우회술

   두피의 동맥을 두개 내의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에 연결해 혈류를 확보해   주는 방법이다. 가장 흔히 사용하는 두가지 방법은 표재성 중측두동맥 ․ 중대뇌동맥 이식술(superficial middle temporal artery-to-middle cerebral artery, STA-MCA)과 후두에서 후하소뇌동맥(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우회술이다. 

 

  (3) 동정맥 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수술

   비정상적인 동맥이나 정맥을 폐색하는 것으로 색전을 만들고자 하는 동 ․ 정맥까지 미세  카테터를 밀어 넣고 색전성 물질을 주사한다.

   AVM이 크다면 점진적으로 동맥을 폐색하여 AVM 주변 뇌조직이 서서히 혈류를 공급받도록 해준다. 혈관의 더 이상 확장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미세수술인 gamma knife로 gamma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여 혈관 내피세포에 딱지를 형성한다.

 

  (4)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수술

   동맥류에 clip을 적용하거나 동맥류 진입 부위의 출혈을 막기 위해 동맥류 기저부위나 경부를 관찰하고 동맥류에 잘룩한 경부가 없다면 동맥벽을 경화시키고 재출혈을 막기 위해 근육이나 플라스틱 코팅으로 싸준다. 중등도-심한출혈의 동맥류 대상자는 수술을 연기한다. 

 

  (5) 기타 수술

   뇌척수액이 축적된 경우 뇌실-심방 우회술, 뇌실-복강 우회술, 체외 뇌실배액(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EVD)등을 실시하여 압력을 완화한다. 출혈성 뇌졸중은 두개절개술로 혈액을 제거한다.

 

7. 뇌졸중 환자 간호

 1) 뇌조직관류 증진

  (1) 두개내압 상의 증상인 서맥, 혈압 상승이 있는지 관찰한다.

  (2) 두부를 약간 높여 경정맥 배액을 돕는다.

  (3) 경부와 둔부의 과도한 회전이나 굴곡은 두개내압을 상승시킨다.

  (4) 배변시 힘주거나 침상에서의 움직임 등의 Valsalva maneuver을 금한다.

  (5) 정서적 스트레스를 피하게 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2) 운동기능 증진

  (1) 발이 이완된 경우 족하수(foot drop) 예방을 위해 발목이 높은 욕창 예방용 신발을 제공한다.

  (2) 통증이나 지속적 경련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동운동을 수행하여 관절구축, 건경축, 근 위축을 예방한다.

  (3) 둔근 힘주기와 사둔근 힘주기 운동을 한다.

  (4) 신체 선열에 맞게 체위를 유지시킨다.

  (5) 손상되지 않는 몸을 이용하여 자가 간호 활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6) 욕창이나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타킹이나 공기 압박부츠를 제공하거나 체위변경이나 자주 움직이도록 하게 한다. 

 

 3) 감각 지각 기능 증진

  (1) 자주 언어적, 촉각적 단서를 제공하고, 모든 일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수행하게 한다.

  (2) 복시일 경우 안대를 대준다.

  (3) 날짜와 병원 환경에 대해 반복적으로 알려주어 기억하게 한다.

 

 4) 편측 지각 기능 증진

  (1) 신체 양측을 사용하도록 교육한다.

 

 5) 언어소통 능력증진

  (1) 대상자와 의사소통을 할 때는 잘 듣고 주의깊게 살펴보고 천천히 또박또박 명료하게 말한다.

  (2) 대상자가 이해하고 반응하기까지의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3) 말을 하도록 격려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한다.

  (4) 얼굴근육운동을 하게 한다.

 

 6) 연하증진

  (1) 얼굴 삐뚤어짐, 침흘림, 허약감과 쉰 목소리 등을 사정한다. 

  (2) 침을 삼키게 하여 후두 돌출 부위가 오르고 내리는지 확인한다.

  (3) 기침반사와 구토반사를 사정한다.

  (4) 바륨검사를 한다.

  (5) 대상자는 똑바로 앉게 하고 머리와 목은 약간 앞으로 구부리는 것이 좋다.

  (6) 연식이나 반연식 혹은 걸쭉한 음식을 제공한다.

  (7) 음식은 구강 안쪽 깊숙이 넣어주고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저작하게 한다.

 

 7) 요실금과 변실금 개선

  (1) 원일을 파악하여 교정해준다.

  (2) 이동 변기에 2시간마다 앉게 하거나 정기적인 배변시간을 정한다.

  (3) 하루에 2000ml이상 되는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4) 방광을 비우게 하기 위해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한다.

 

 8) 합병증 모니터

  (1) 수두증

   두개내압의 상승

  (2) 혈관경련

   의식수준의 감소, 운동과 반사의 변화 등 신경계 결손

  (3) 혈관의 재출혈과 파열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오심, 구토, 의식수준감소, 부가적 신경계 결손

 

출혈이나 뇌혈관 폐쇄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출혈이나 폐쇄 혈관부위
증상
▶ Stroke syndrome
폐쇄













Internal carotid artery 반대측 반신부전, 감각결핍, 반맹증, 흐린 시야,   실명, 실어증(우성대뇌), 두통, 잡음(bruit)
Middle cerebral artery 반대측 반신부전이나 마비(>다리), 반대측 감각결핍, 동측 반맹증, 편측 무시, 실어증, 실독증, 실서증, 실산증, 평형감각 장애, 공간감각 결핍, 인지 결핍, 시각영역 결핍, 의식수준 변화(혼돈에서 혼수까지)
Anterior cerebral artery 반대측 반신부전이나 마비(다리>), 요실금, 인격과 행동변화, 치매, 실어증, 보행기능부전, 건망증, 잡는반사와 빠는반사 양성, 보속증, 하지감각 결핍, 족하수, 기억장애, 실행증 보행
Vertebral artery 두통, 현기증, 동측 운동실조, 동측 안면신경통 안면감각 소실, 반대측온도 통증감각 소실, 안구진탕증, 연하곤란 발성장애
Basilar artery 두통과 현훈, 이명, 청력상실, 안구진탕증, 혼수,기억상실과 혼동, 이완성 마비, 반사 상실, 실행증, 현훈, 뇌신경 기능장애, 비공역성 시선(dysconjugate gaze), 시각 결핍(한쪽), 동측 반맹증, 복시, 감각 상실(저림), 운동실조성 보행 (ataxic gait), 운동조정곤란(dysmetria), 혀의 무감각, 안면운동 부전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동측실행증, 동측 얼굴 마비 감각소실, 몸통과 상하지의 감각변화, 안구진탕증, 호너증후군, 이명, 청력소실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실행증, 후두와 역개의 마비, 동측 얼굴의 감각 소실, 반대측 신체감각 상실, 안구진탕증, 구음장애, 연하곤란 발성장애, 호너증후군, 딸꾹질과 기침
Posterior cerebral artery 중추성 통증, 감각소실, 시각장애, 기억력 손상
출혈







Putaminal hemorrhage 진행성 반신부전 마비, 감각소실, 시야결손, 언어장애, 뇌척수압의 상승, 혼수, 동공산대, 대광반사 소실, 유두부종, 제뇌경직
Thalamic hemorrhage 반대측 팔다리의 마비 감각소실, 저린감, 편시, 동공축소, 안구운동어려움, 실어증
Subcortical hemorrhage 두통, 시야결손 시각결손, 실어증, 기억장애,반신부전마비
Pontine hemorrhage 두통, 구음장애, 의식악화, 뇌신경마비, 이완성마비, 호흡부전 정지
소뇌출혈 어지럼증, 후두통, 구토, 운동 균형 장애
뇌손상
cerebral contusion
국소적 인지기능 및 감각운동기능 장애, 간질위험, 두개내압증가, 뇌부종, 저산소증

EDH
두통, 오심, 구토, 동공산대, 의식변화, 마비

SDH
두통, 구토, 정신착란, 기억력장애, 반신마비, 의식악화

ICH 두통, 오심, 구토, 마비, 의식변화, 시야결손,구음장애, 기억장애 
SAH
두통, 시력변화, 의식소실(혼수), 반신 마비 및 감각장애, 두개내압 상승, 경부강직, kerning's sign, 간질발작

IVH 창백, 빈혈, 경련, 사지의 늘어남, 불규칙한 호흡

 

뇌손상 치료의 일반적 가이드라인

Airway/Breathing (hypoxia 예방)

• 턱과 혀를 앞으로 내밀어 분비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측위나 반복위(semi-prone positoin)가 좋다.

• 흡입 혹은 폐색의 위험을 없애기 위해 인두 분비물은 즉시 제거한다.

• 분비물 흡인(aspiration)을 예방하기 위해 침상머리를 30°로 높인다.

• 인․후두와 기관 상부의 분비물을 흡인(suction)하고 구강간호를 해준다. 이 때, 흡인은 가능한 1회 10초 미만으로 하며 15초를 

  초과하지 않는다.

• 건성 수포음(rhonchi)과 악설음(crackle), 호흡음 소실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폐를 청진한다.

• 필요시 산소마스크나 기관절개술,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고 인공호흡기를 사용한다.

 

cerebral perfusion pressure 유지

•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인 서맥, 혈압 상승이 있는지 관찰한다.

• 두부에서 정맥혈의 배액을 방해하는 활동은 경정맥압과 두개내압을 높이므로 피한다.

• 대상자 머리를 똑바로 가운데 놓이게 하며, 필요 시 경추 collar 부목을 이용하여 경정맥 배액을 돕는다.

• 경정맥이 압박되거나 꼬이면 두개내압이 상승되므로 경부의 과도한 회전이나 굴곡은 금한다.

• 과도한 둔부의 굴곡은 복부와 흉부 내 압력을 높여 두개내압을 상승시키므로 금한다.

• 배변 시 힘은 주거나 침상에서 움직임 등의 Valsalva naneuver를 금한다. 수동적으로 이동해야 하거나 몸을 돌려야 할 때 대상자에게 호기를 하도록(성문이 열리도록)교육한다.

• 등척성 운동은 혈압을 높이고 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한다.

• 흡인을 하기 전에 반드시 ambu bag이나 인공호흡기의 한숨장치(sigh mode)를 이용하여 100% 산소로 과다환기를 한다. 흡인은 가능한 1회 10초 미만으로 하며 15초를 초과하지 않는다.

• 대상자 체위 변경 시 두개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회전침상이나 회전침대보(turning sheet)를 이용할 수 있다. 대상자를 돌리는 동안 대상자의 머리를 손으로 지지한다.

• 중재를 하는 동안 두개내압은 25mmHg 이상 상승하지 않게 하고 5분 이내에 기준선으로 돌아와야 한다.

• 정서적으로 스트레스를 피하게 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 복부 내, 흉곽 내, 두개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복부 팽만은 보고해야 하며 가능한 한 관장과 하제 사용을 피한다.

 

Cerebral edema와 ICP조절

• 수술 : ICP 상승 원인을 수술로 제거한다.

 - 종양이나 혈종의 제거한다.

 - 감압을 위해 측두엽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여, 뇌가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 막혀 있는 뇌척수액은 두개 내에 튜브를 삽입하여 복막강

   (뇌실-복막측로술)이나 우심방(뇌실-심방측로술)으로 배액한다.

 

• 고탄산증과 저산소증의 예방 : 고탄산증과 저산소증은 뇌혈관을 확장하고 ICP를 상승시킨다.

 - 흡인(Suction)은 가능한 한 짧게, 10초미만으로 하여 자극과기침반사를 줄인다. 상황에 따라 흡인(Suction)을 금하는 경우도 있다.

 - 주기적으로 동맥혈가스분석 검사를 시행한다.

 - 저산소증 발생 시 산소를 공급하거나 기관 절개술이나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다.

 

• 수분제한 : 시간당 소변량에 기준을 두어 수분제한을 한다. 

  - ICP를 낮추기 위해 대상자는 약간 탈수상태로 유지한다. 

  - 정맥수액은 일반적으로 식염수나 고농도의 용액(5% dextrose with 0.45% normal saline with KCl 20mEq)을 사용하는데, 

  이는 두개내압을 상승시키지 않고 혈관 안에서 순환하기 때문이 다. 24시간 동안 섭취량은 800㎖로 제한한다. 다른 신체 문제로 

  수분을 더 공급해야 할 경우 폐동맥압을 모니터하면서 체액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 약물요법

 - 이뇨제 : mannitol은 삼투압에 의해서 두개강 내의 용액을 혈관 내로 이동시켜 이뇨작용을 일으킨다. 장기간 투여시 전해질 불균형과 신부전의 위험이 있다. 소변 배설량은 시간당 30㎖로 유지해야 하며 뇌종창이 있으면 furosemide 이뇨제를 투여하여 혈관 정수압을 낮춘다.

 - 항경련제 : phenytoin 또는 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한다.

 - Corticosteroid : 혈관성 부종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혈관-뇌 장벽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세포막을 안정시키고, 뇌척수액의 재흡수를 돕는다. 또한 산화헤모글로빈의 산소를 쉽게 유리시켜 두개 내의 순응도를 높인다. 그러나 세포독성 부종에는 효과가 없다.

 - 제산제와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 steroid 제제로 인한 위장 자극과 출혈 감소와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cushing 궤양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한다.

 - 변 완화제 : 변비로 인한 Valsalva Maneuver를 완화하기 위해 ducosate sodium(Clace)을 투여한다.

 - Acetaminophen(Tylenol) : 두통이나 체온 상승에 사용한다.

 

• Barbiturate 혼수요법

다른 치료로 ICP 조절이 되지 않고 응급 상황 시에 barbiturate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혼수상태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대상자는 

죽음에 직면할 수 있다.

 

두개강내 점거성 병변의 확인 및 제거

• 뇌척수액 검사 : 출혈과 뇌혈전을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검사로, 뇌혈전증에서는 뇌척수액이 정상이나 지주막하 출혈이있다면 뇌척수액에서 적혈구를 볼 수 있다. 두개내압이상승되었을 때 뇌탈출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금한다.

 

• 혈관조영술(Angiography) : 동맥의 협착, 폐색, 출혈 유무진단에 중요한 검사이다.

 

• 컴퓨터 단층촬영(CT) : 출혈, 색전, 경색, 혈전증을 구별한다.뇌출혈의 경우 CT 영상에 고강도의 음영이 관찰되나,뇌경색에서 나타나는 저강도의 병변은 일정 시간(12~24시간)이지나야 확인할 수 있다.

 

• 자기공명영상(MRI) : 뇌경색 초기(6~12시간)에 어느 정도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뇌간, 소뇌, 측두엽 부위에 발생한뇌경색을 쉽게 발견하고, 작은 혈관에 나타나는 허혈성 변화를조기에 발견하고 공간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자기공명혈관촬영술(MR angiography)을 이용하여 혈관의 협착이나폐색을 비침습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 방사선 핵종(Radionuclide)검사 : 국소적인 뇌혈류 감소를 평가할 수 있다. 혈관 병변일 경우 연속성 동위원소 조사를 하면경색 부위에 동위원소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망막혈관 압력계(Ophthalmodynamometer) : 안동맥 아래쪽에위치한 경동맥의 폐색을 찾아낼 수 있다.

 

• 약물요법

- 혈전용해제(Thrombolytic therapy) :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 사용하며, 뇌색전을 예방하고 뇌동맥 폐색을 완화하여 혈류를방해하지 않게 한다. 정맥용 혈전용해제(thrombolysis)인tissue plasminogen activator(rt-PA)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치료제로 발병 후 0.9㎎을 3시간 이내에 투여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 항응고제(Anticoagulants) : 대표적 약물로는 Aspirin,Heparin, low-molecu-lar weightheparin[(enoxaparin(Lovenox)], warfarin (Coumadin)이 있다.  혈전용해제 치료 후 다음 단계로 혈관용 항응고제를 일반적으로 처방한다. 급성기에는 heparin을 쓰고, 장기간 사용해야 할 때는 warfarin sodium(Coumadin)을 사용한다. TIA나 뇌졸중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특히 sodium heparin(Hepalean)을 투여한다.

- 항혈소판(Antiplatelet)제제 : 대표적 약물로 Aspirin을 들 수있다. 이는 재발성 뇌졸중이나 색전성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이용한다. 기타 항혈소판제에는 ticlopidinehydrochloride(Ticlid), clopidogrel(Plavix), dipyridamole(Persantine, Apo-Dipyridamole) 등이 있다. 효과가 매우 높은 약물은 Aspirin과 glycoprotein Ⅱb/Ⅲaantagonist(Abciximab)이다.

- 두개내압 하강제 : 두개내압의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삼투성 이뇨제인 mannitol과 steroid 제제인 dexamethasone(Decadron)을 투여한다. 출혈 증상이 동반되지 않으면 요소용액 (urea solution)을 정맥 내에 주입하기도 한다.

- 수액요법 : 허혈 부위에 충분한 혈량을 공급하여 혈관 내 용량을 증가시키고, 혈액을 희석해 점성도를 떨어뜨려 뇌혈류를 원활하게 해준다. 이때 포도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생리식염수를 원칙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허혈 부위에 과도한 포도당이 공급되면 혐기성 대사로 국소적 대사성 산증이 생겨 허혈성 뇌손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수술요법

 - 동맥내막절제술(Endarterectomy) :

일과성 허혈발작(TIA)이나 경동맥협착증을 지닌 대상자의 경동맥 죽종(atherosclerotic

   plaque)을 제거하여 허혈 부위의 동맥을 개방하고 혈류를 증가시켜 뇌졸중 진행을 막아준다.

 - 두개강 내외 우회술(Extracranial-intracranial bypass) : 

두피의 동맥을 두개 내의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에 연결해 막힌 동맥 주변과 침범된 영역에 혈류를 확보해 주는 방법이다.

 - 동정맥 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수술 : 

비정상적인 동맥이나 정맥을 폐색하는 것이다. 경동맥이나 대퇴동맥을 의해 색전을 만들고자 하는 동․정맥까지 미세 카테터를 밀어 넣고 백금 코일(platinum coil), 분리 가능한 실리콘 풍선(silicone balloon), 액체성 아크릴 수지(liquid acrylic),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과 같은 색전성 물질을 주사한다.

 -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수술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되면 두개절제술을 이용해 뇌동맥류를 수술한다. 동맥류에 잘룩한 경부가 없다면 동맥벽을 강화시키고 재출혈을 막기 

위해 근육이나 플라스틱 코팅으로 싸준다.

 

뇌졸중 간호진단 및 케이스스터디

 

뇌졸중 간호진단 및 케이스스터디 - 송데이미

뇌졸중 간호진단 및 케이스스터디 (객단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부동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등) 뇌졸중 관련 케이스스터디입니다.

songday.me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