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1. 개인
<1> 간호력
① 일반정보(General Information)
환자이름: OOO 나이: 성별: M 직업: 자유업
병동: 00병원 SICU 병실: 08번
입원날짜: 20XX-05-15 면담날짜: 201XX-06-03
종교: 기독교 교육정도: 대졸
주호소: chest tightness, dyspnea
약 2주전부터 시작된 가슴답답한 느낌 주호소로 내원, 환자 활동량에 따라 증상 경감 보인다고 했으며 전일 보건증 때문에 보건소 들렸다가 r/o Tb 소견으로 CT상 cardiomegaly 발견하고 금일 local병원 방문 후 전원옴
과거병력: HTN/DM(15년), PPPD(pylorus-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위유문보존 췌장십이지장 절제술)(10년)
알러지유무: 무
출혈 경향 혹은 욕창부위 유무:
6/2 CABG 시행후 chest tube- wall suction-both pleural spaces
-natural drainage(pericardial/mediastinal spaces)
건강과 관련된 정보:
ㄱ. 수면습관: 평소 잠이 들고 깨는데 어려움 없음
약물복용: 수면제 복용 안함
수면시간: 8hrs/days
ㄴ. 개인위생
샤워 1회/1일 함
면담시 관찰내용: 면담시 물컵이 오픈 되어 있어 먼지가 들어갈까봐 물을 계속 안에 있는 물을 버리고 다시 떠 달라고 하거나 실습지침서를 넘기는 과정에서 “저기 멀리 가서 넘겨요.” 등 먼지 및 병원 환경에 민감한 모습 보임.
② 간호 사정도구(Nursing Assessment Tools)
의사소통: 메시지 전달과 관련된 양상
국문해독능력(O표 할 것): 읽기/쓰기/이해하기 모두 가능
외국어 사용 능력: 못함
가치: 상대적 가치 부여와 관련된 양상
종교: 기독교
중요하게 여기는 종교의식: SICU 전 일반병실에 있을 때 병원 내 예배드리러 다님
종교인과의 상담: 아니오
관계형성: 유대관계를 맺는 양상
자세한 사항을 사정하긴 어려웠으나 자녀(아들)분이 면회 오셔서 차분하게 대상자에게 수술 후에 상태를 설명하며 마사지를 해주는 것을 봐서 가족간에 긍정적인 상호교류가 있다고 예상됨.
역할: 가장
결혼상태: 유
보호자(영향력 있는 타인)의 나이 및 건강상태: 배우자 50세, 건강상태 양호
자녀 수 자녀의 나이: 1명(M/24)
가정에서의 역할: 가장
수입원/경제수준: 부부가 같은 자영업 운영함/경제수준-중산층
직업
직업 만족도 및 직업에 대한 관심도: 하는 일이 고되고 힘드나 오랜 시간 하다보니 익숙하고 큰 어려움은 없다고 함.
사회화
타인과의 관계
중요한 타인들(보호자)의 진술: 평소에 예민하지만 좋은 아버지이라 표현함
의료진의 대인관계 양상관찰: SICU 환경상 자세히 확인되기 어려움.
언어적으로 표현된 문제들: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대한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음, 다만 오랜 만성질환(DM/HTN)으로 예민한 편으로 예상됨
고립감에 대한 감정의 언어적 표현: 표현없음
지식: 정보와 관련된 의미를 포함시키는 양상
현재의 건강문제: pain, dyspnea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DM, HTN medi(local 15년)
과거 질병력/입원력/수술력: 과거병력: HTN/DM(15년), PPPD(10년)/입원,수술(-)
다음내용에 대한 과거력: 환자(+) 가족구성원: 가족력(-)
당뇨/고혈압(15년)
알콜(-)/흡연(-)
지남력
의식수준: alert
지남력: 사람(+) 장소(+) 시간(+)
적절한 행동 및 의사소통: 의사소통에 무리 없음
기억력
적절한 기억력 보유: 예
감정: 정보의 주관적 인지와 관련된 양상
안위
통증/불편감: (+)
통증개시: post OP 기간
통증부위: 수술부위(흉통)
강도 방사여부: 흉통으로 인해 양쪽 어깨로 방사되는 통증 호소
NRS 4점 호소
“너무 아파요. 진통제 주세요.”
운동: 활동과 관련된 양상
활동
신체적 장애의 과거력: (-)
보장구의 사용: (-)
일상생활수행정도의 제한: (-)
피로감에 대한 언어적 표현: “아프고 중환자실이 밝고 시끄러워서 잠을 못잤어요. 피곤해요.”
운동습관: 평소 운동을 즐겨 하지 않음
물리치료 의뢰: (-)
휴식
수면환경: 수면시간 평소 8시간/일
수면 문제 없음
자가간호
ADL의 수행능력: 문제없음 독립적
지각: 정보 수용과 관련된 양상
자아개념
외관: “삐쩍 마르고 이제 아프고 늙었어,”라고 표현함
자신에 대한 묘사: 질병으로 인해 부정적이긴 하지만 대체로 양호함
질병/수술 등의 영향: CABG 및 15년 HTN로 인해 앞으로 일상생활습관의 변화상이 있음
의미감
절망감의 언어적 표현
조절능력 상실에 대한 지각과 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들
감각/지각
시각장애: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CABG 시행후 안과 레이져 시술 시행할 예정임
그 외 이상없음
교환: 상호작용과 관련된 양상
순환
뇌:
신경학적 변화/증상
동공: 좌; 3P/우; 3P (midposition)
반응: 정상
언어적 반응/운동 반응: 말하거나 발음하는 것에 문제 없음
심장:
심박동기(회사명, 빈도, 모드)
심박동 리듬: EKG상 sinus rhythm with frequent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es
심음/심박동 잡음
혈압: NBP: 95/65mmHg
ABP: 101/67mmHg
맥박: 72회/분
피부온도: 손등으로 확인시 차가운 느낌/ 피부색: 하얗고 창백
모세혈관의 재충혈: 2초/ 곤봉모양의 말단: (-)
부종: 손, 발에 약간의 부종 보임
신체적 통합성
조직 통합성/변화부위
외과적 절개: 개복술로 인한 절개 부위
외과적 드레싱: 6/3 op후 6/4일 op site Dx(sternum/pleura/pacemaker wire)시행
산소요법
흉곽 검진: sternum으로 chest tube가 insertion되어 있음/척추측만(-)
호흡곤란 호소: dyspnea 호소
기좌호흡: 현재 침상 머리 올려 앉아 있음.
빈도 리듬 깊이: 18회
활동 시 호흡곤란/안정시 호흡곤란: 수술후 ICU care 중으로 ABR중임. 숨쉬기 어려워하며 호흡곤란 호소함
흉곽 팽창: 개복술로 인한 pain있어 호흡시 흉곽 팽창 어려워 심호흡 힘들어함.
pursed lip(-)/ nasal flaring(+-)
기침/가래: (-)
호흡시 지지의 요구:“산소좀 올려주시면 안되요?” O2 FiO2 낮출 때 산소요구도 상승함.
* op후 ventilator weaning하였고 O2 6L simple mask-> 현재 O2 4L/min via nasal prong으로 유지중
동맥혈 가스분압

신체적 조절
면역
임파 결절비대 부위: 확인어려움
[전반적인 Lab data 수치]

영양
식사습관
15년전부터 당뇨진단으로 인해 하루 3끼를 꼬박 잘 챙겨드신다고 함.
식사 장소: 집/가게
선호하는 음식/싫어하는 음식
음식 알러지: (-)
수분섭취: 당뇨로 수분섭취 자주 하는 편임.
식욕의 변화: (-)
연하곤란: (-)
궤양의 유무 속쓰림
식욕부진/오심/구토: (-)
* POD#1 회진시 op후로 DM medi stop상태로 DM control 걱정하며 밥을 안 먹으려고 하여 교수님 및 주치의선생님께서 수술 후 회복에 영양공급에 대한 중요성 설명.
구강 및 목의 상태: 구강 양호/op후 약간의 쓰라림 호소
키 몸무게 정상체중(차이제시): 168.8cm/62.9kg BMI: 22.15(정상)/최근 체중변화없음
식이 의뢰의 필요성: 아니오
현재의 처치 상태: 당뇨식 1800kcal
[ daily I&O ]
경구 | 비경구 | Total | 배뇨 | 배변 | I/O | |
6/1 | 2500 | 200 | 2700 | 2150 | 1회 | 550 |
6/2 | 400 | 400 | 800 | 1000 | -200 | |
6/3 | 1400 | 1400 | 1350 | 50 |
[ BS ]
0am | 2am | 6pm | 10am | 11am | 4pm | 9pm | |
6/1 | 90 | 142 | 190 | 102 | |||
6/2 | 108 | 277 | 273 | ||||
6/3 | 222 | 182 | 126 | 215 | 216 | 120 | 206 |
6/4 | 92 | 169 | 269 | 200 |
배설
위/장관계
평상시 배변 습관: 하루1번, 정상변
변화된 배변습관: (-) 형태 장루: 아니오
복부 신체 검진
신장/요로계
평상시 배뇨습관
정상 습관으로부터의 변화: (-)
소변: yellowish, clean, odorless, 도뇨관: 현재 op위해 foley catheterizaion: 16Fr.
소변 량: 시간당 평균량 70cc
방광 팽만: (-)
생식기계
생식기 문제 없음
선택: 대안 선정과 관련된 양상
대처
Acute status로 인해 사정하지 못했지만 면회 시간에 아들이 면회를 와서 자주 돌봐주고 가족 사이에 애정이 깊고 사이다 돈독한 모습이 보임.
또한 고모역시 수술 당일 날 왔다가고 친척 사이에도 우애가 깊은 것을 보아 지지체계 활용이 가능해 보임.
참여
과거/현재의 건강 치료의 이해정도: HTN/DM(15년전)부터 약복용중이나 꼭 약물을 복용하고 식이조절을 한다고함. 치료의 순응도 높음
미래 건강관리에 순응하고자 하는 열의: 수술 후 들어가는 약물 및 치료방법, DM control등에 대해 관심이 많음.
판단
의사결정 능력: 가족과 의사소통을 하나 가장으로서 스스로 결정하는 경우 많음
<2> 신체검진
<3> 진단적 검사(diagnostic tests)
검사명 | 검사목적 | 검사 전/후 간호 | 정상범위/결과 및 해석 |
chest X-ray | 심장의 음염, 심방과 심실, 대혈관의 음영을 관찰하고, 심장의 크기와 윤곽을 측정한다. | 특별한 간호 필요 없음 | Left pleural effusion |
EKG | 순환기 질환의 진단에 많은 검사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심전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며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 | 특별한 간호 필요 없음 | Sinus rhythm with frequent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es |
2-D echocardio gram |
초음파를 이용해 심장 구조, 운동성, 특히 판막의 움직임을 사정한다. | 특별한 간호 필요 없음 검사소요시간: 30~60분 |
chambers, valves, RV function: normal LV function: reginal wall motion: severe LV global hypokinesia sparing basal lateral wall -Global funciton: quantative funtion: 31% |
Brain MRI |
routine 경사자장 외에 매운 강한 한 쌍의 확상 경사자장을 추가로 사용하여 확산에 의한 미약한 신호 감소를 극대화한 영상 | IV line & 조영제 AST 조영제 사용시 검사 후 수분섭취 격려 |
No evidence of infarction, hemorrhage, mass IMP) Normal brain MRI |
Doppler study | 물체의 이동에 따라서 물체의 상대적인 주파수가 변하는 현상으로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것, 우리의 심장내 혈액의 이동 속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기록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혈류역학적인 정보, 심박출량, 혈류량, 판막의 면적 및 심장내 압력 등을 측정 | 특별한 간호 필요 없음 | valvular regurgitation :MR,TR,RR(Trivial), AR(none) Valvular stenosis: none conclusion: r/o ischemic insult in multivessel coronary arteries severe LV systolic dysfuntion |
Coronary angiography |
도자(관)를 경피적 경로를 통해(피부를 통해 혈관으로 도관을 삽입하게 됨) 심장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좌우 관상동맥(심장혈관) 기시부에 관을 위치시킨 후 선택적으로 각 혈관에 방사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모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진단기법 | 정확한 history-taking 및 각종 이학적 검사 시행 femoral artery 주변 제모 |
결과: NSTEMI Left main & LAD: severe and long stenosis(90%) LCX: severe stenosis(80%) RCA: chronic total obstruction(90%), collateral flow from LAD to PDA branch(Grade 2) LIMA: intact rec) CABG |
Chest CT | X선 발생장치가 있는 원형의 큰 기계에 들어가서 촬영하며 인체를 가로로 자른 횡단면상을 획득한다. | IV line & 조영제 AST 조영제 사용시 검사 후 수분섭취 격려 |
1. patch GGO, LUL 2. a small indeterminate nodule RUL posterior segment 3. bilateral pleural effusion 4. Dense calcification along the LAD |
FDG myocardium PET-CT |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이용되는 포도당과 유사한 물질(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의약품)을 주사해 전신의 대사상태의 미세한 변화를 영상 촬영하는 방법 | 6시간 이상 금식, 수분섭취는 충분히 하기 | 1. moderately decreased metabolism in apex 2. Midly decreased metabolism in the rest of area conclusion: r/o balanced ischemic heard disease with moederately decreased myocardial viablity especially in apex. |
<4> 약물치료
약물 | 투약방법 | 효능효과 | 부작용 |
Ulistin10만iu 1A +N/S 1L+ |
120ml/hr IV (via infusion pump) |
급성 순환부전완화 | 쇼크, 백혈구감소증, 때때로 발진 |
perdipine 40mg +N/S 100mL |
3ml/hr IV (via infusion pump) |
수술시 이상고혈압의 구급처치, 응급성 고혈압증 | 빈맥, 심전도변화 |
Tivare 1mg 1V +N/S 100mL |
3ml/hr IV (via infusion pump) |
기계적 환기를 실시중인 중환자의 진통 및 진정(18세 이상) | 골격근강직, 서맥, 저혈압, 고혈압 |
Perlinganit0.1% 10mg/10mL 4A + N/S 100mL |
3ml/hr IV (via infusion pump) |
수술전 후의 혈압조절, acute MI, AP | 빈맥, 부정맥, 오심, 구토 |
Cefamezine 1g | 3V #3 IV | 1세대 세팔로스포린계 (그람 음성, 양성) | 구역, 구토 |
Mucosten 10% 300mg | 4A #2 IV | 진해거담제 기침감기약 |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
Curan 5mg | 4A #2 IV | 소화성궤양용제 |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두통, 피부발진 |
Lanston 15mg | 1 cap PO(아침식전) | 소화성궤양용제 | 오심, 설사, 복통, 식욕증가, 피로, 현기증, 두통 |
aspirin protect 100mg | 1 cap PO(아침식전) | 항혈전,혈소판응집억제제(뇌경색, CABG, PTCA 환자) | 오심, 구토, 소화불량, 상복부불쾌감, 가슴앓이, 위통 |
platless 75mg | 1 cap PO(아침식전) | 항혈전, 혈소판응집억제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
위장장애, 소화불량, 오심, 구토, 피부발진, 소양증, 설사, 위장출혈, 간독성 |
Lipitor 40mg | 1 cap PO(아침식전) | 고지혈증 치료제 | 무력감, 소화불량, 오심, 변비, 설사, 복통, 두통, 불면증, 근육통 |
VastinanMR 35mg | 2T #2 PO | 협심증의 예방, 현기증 및 이명 증상의 보조치료, 혈관성 원인으로 추정되는 시력감소 및 가시영역 장애의 보조 | 구역, 구토 |
Surfolase 100mg | 2T #2 PO | 기도폐쇄성 장애 및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 구역, 위부불쾌감, 복통, 설사, 변비, 피부발진, 두드러기 |
Synerjet | 3T #3 PO | 중등도-중증의 급·만성 통증 | 부정맥, 심계항진, 빈맥, 운동실조, 경련, 긴장항진, 편두통 |
Sigmart 5mg | 3T #3 PO | 관상혈관확장제 ▲ 협심증 |
심계항진, 안면홍조, 두중감, 어지러움, 발진 |
Magmil 500mg | 3T #3 PO | 제산작용 및 증상의 개선: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 변비증 |
설사 |
Selbex 50mg | 3T #3 PO | 위궤양, 급성위염이나 만성위염의 위점막 병변개선 | 간효소수치 상승, 변비, 복부팽만감, 설사, 구역, 복통, 피부발진 |
자료요약(Summary)
상기 환자 M/52로 HTN/DM(15년), PPPD(pylorus-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위유문보존 췌장십이지장 절제술)(10년)으로 local병원에서 medication하는 환자로 2주전부터 시작된 가슴답답한 느낌 주호소로 내원, 환자 활동량에 따라 증상 경감 보인다고 했으며 전일 보건증 때문에 보건소 들렸다가 r/o Tb 소견으로 CT상 cardiomegaly 발견하고 금일 local병원 방문 후 전원 와 일반 병동 입원함.
CK-MB | 4.36 | 1.12 | 0.418 | 0.3-6.22 |
Troponin T high sensitive | 0.355 | 0.027 | 0.418 | 0-0.1ng/mL |
Osmolality | 290 | 290 | 305 |
입원 후 CK-MB, Tromponin 수치 높아 myocardial infarction으로 CABG위한 검사 진행
Coronary angiography상 결과: NSTEMI Left main & LAD: severe and long stenosis(90%) LCX: severe stenosis(80%) RCA: chronic total obstruction(90%), collateral flow from LAD to PDA branch(Grade 2) LIMA: intact rec) CABG |
병동 내에서 DM/HTN control 후 CABG 시행후 경과관찰 위해 SICU 전실함.
전실 후 NRS 4점의 op-site pain호소하고 있으며 Chest tube
- both pleural spaces(W/S) -pericardial/mediastinal(N/D) 유지중임.
Hb 11.3->8.4로 수술 후 떨어져 PRBC/FFP 수혈시행함.
현재 수술후 1일째로 EKG, V/S 확인하면서 경과관찰중임.
순위별 간호문제 목록
1) 6/2 CABG op후 op site pain호소: NRS 4점
2)
op전 | op후 | |
Hb | 11.3 | 8.4 |
Hct | 32.6 | 23.7 |
3) dyspnea: angina pectoris& 절개부위 통증 및 chest tube(+)
4) unstable blood sugar: DM control 문제
5) 심혈관계 문제와 그에 따른 op와 경과, 앞으로의 일상생활의 변화 등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음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급성통증

다량의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