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

자살 위험성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RNSONG 2024. 3. 12.
반응형

자살 위험성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자살 위험성 간호진단 

자살 행동의 위험 (Risk for Suicide Behavior)

기존 : Risk for Suicide

정의

생명을 위협하는 자해를 일으킬 수 있는 취약한 상태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
중요: 간호사의 적극적인 사정 및 개입 필요

 

위험 요인

행위적

  • 유서를 고침
  • 재산을 나누어 줌
  • 자살 시도 경력
  • 충동성
  • 유서를 작성함
  • 태도가 눈에 띄게 바뀜
  • 행동이 눈에 띄게 바뀜
  • 학교성적이 눈에 띄게 떨어짐
  • 총을 구입함
  • 약을 사서 모음
  • 심한 우울상태에서 갑자기 기분이 좋아짐

 

인구학적

  • 연령(예: 노인, 젊은 남성, 청소년)
  • 이혼
  • 인종(예: 백인, 북미 원주민)
  • 남성
  • 사별
  • 신체적
  • 만성통증
  • 신체적 질병
  • 말기 질환
  • 심리적
  • 자살에 대한 가족력
  • 죄책감
  • 아동기에 학대(예:신체적, 정신적, 성적)의 과거력
  • 청소년의 동성애
  • 정신질환
  • 물질 남용

상황적

  • 총기에 접근 가능
  • 청소년이 비전형적 장소에서 거주함(예: 청소년 보호센터, 감옥, 감호소, 집단 거주지)
  • 경제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함
  • 시설 입소
  • 독거
  • 자율성 상실
  • 독립성 상실
  • 이사
  • 은퇴
  • 사회적
  • 집단 자살
  • 규범적 문제
  • 가족의 파괴
  • 슬픔
  • 무력감
  • 절망감
  • 불충분한 사회적 지지
  • 법적 문제
  • 외로움
  • 소중한 관계의 상실
  • 사회적 고립

언어적

  • 죽고 싶다고 표현함
  • 자살하겠다고 위협함

간호진단 예시

우울감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 

무력감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

사회적 고립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 

 

자살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목표:

환자가 퇴원시까지 자살 생각을 하지 않고 안전하게 생활한다.

환자가 자살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대처 방법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한다.

 

단기 목표:

환자는 24시간 동안 자살 충동을 느낄 때 사용할 대처 방법을 3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환자는 48시간 이내 자살 생각과 계획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안전한 환경에 머물며, 자살 시도를 하지 않는다. 

환자는 일주일 이내 우울증, 불안, 절망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효과적인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수 있다. 

환자는 일주일 이내 가족, 친구, 전문가 등의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활용하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한다. 

 

 

자살 위험성 간호중재

자살위험 사정

자살 위험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자살 위험 정도를 평가한다.

환자의 자살 생각, 계획, 시도 경험, 자살 위험 요인을 파악한다.

환자의 자살 위험 정도가 높다면, 즉각적인 보호 조치를 취한다.

 

이론적 근거
자살 위험 평가 도구는 환자의 자살 위험 정도를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자살 생각, 계획, 시도 경험, 자살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환자의 자살 위험 정도가 높다면 즉각적인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즉각적인 보호 조치는 환자의 자살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Nock et al., 2008; O'Connor et al., 2012)

 

안전한 환경 조성:

환자의 주변에서 위험 물건을 제거하고,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합니다.

환자가 좋아하는 음악, 그림, 책 등을 제공하여 편안함과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환자의 자살 계획 및 시도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위험 물건 제거 범위를 조정한다.

이론적 근거 
자살 예방의 핵심은 환자의 접근 가능한 위험 물건을 제거하여 자살 시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Joiner, 2005; Rudd et al., 2001)
안전한 환경 조성은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제공하여 자살 생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Arendt, 2011)
환자의 자살 계획 및 시도 가능성을 사정하고, 이에 따라 위험 물건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편안하고 안정적인 환경은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감정을 증진하여 자살 생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Arendt, 2011; Beck et al., 1993)
환자의 개인적 선호도를 고려한 환경 조성은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환경에 대한 적응을 촉진하여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감정 표현 촉진

환자의 자살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합니다.

비판, 판단, 평가 없이 환자의 말에 공감하고, 진심으로 이해하려 노력합니다.

환자의 감정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합니다.

건강한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스트레스 및 분노, 슬픔, 불안 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교육합니다.

 

이론적 근거
자살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Beck et al., 1993; Linehan, 1993)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공감을 얻는 경험은 환자의 고통을 완화하고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환자의 감정을 비판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공감하는 것은 환자의 자존감을 높이고, 치료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 (Beck et al., 1993; Rogers, 1959)
공감은 환자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Linehan, 1993)
환자는 자신의 감정을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Linehan, 1993)
건강한 감정 표현 방법을 교육하는 것은 환자의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사회적 지지 강화

환자의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활용하여 가족, 친구, 지인들과의 관계를 강화합니다.

지역사회 자원과 지원 단체를 연결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환자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고,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론적 근거
가족 및 친구와의 강력한 관계는 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지역사회 자원 및 지원 단체에 연결하는 것은 환자의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Beck et al., 1993; Linehan, 1993)
사회적 관계 유지는 환자의 정신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자살 충동 관리

환자의 자살 충동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평가합니다.

환자에게 자살 충동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교육합니다.

환자에게 자살 충동을 느낄 때 사용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훈련합니다.예를 들어, 긴장 완화 기술, 호흡 운동, 긍정적인 자기 대화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자살 충동을 관리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지원합니다.

환자에게 자살 위기 상황 발생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방법 및 자살 예방 핫라인 등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합니다. 

이론적 근거:
자살 충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자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Beck, 1990)
자살 충동 관리 교육은 환자가 자살 충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Rudd, 2006)
대처 방법 훈련은 환자의 자살 충동을 다루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Pompili, 2010)
위기 상황 발생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Seligman, 2002)

 

교육 및 정보 제공

환자에게 자살 위험성, 자살 예방 방법, 정신건강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환자와 가족에게 자살 예방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자원을 안내합니다.

이론적 근거
자살 위험성 및 예방 방법에 대한 교육은 환자와 가족에게 자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살 예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환자와 가족에게 자살 예방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Suicide Prevention Resource Center, 2016)
환자와 가족은 자살 위험 징후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받아야 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여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합니다.

정기적으로 환자의 자살 위험성, 정신 상태, 삶의 변화 등을 평가하고, 중재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한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재 계획을 수정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도움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환자의 변화를 조기에 파악하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16)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는 것은 중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환자의 자살 위험성, 정신 상태, 삶의 변화 등을 평가하여 중재의 효과를 측정해야 한다. (Beck et al., 1993; Joiner, 2005)

 

참고문헌

  • Arendt, R. (2011). The concept of environment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11), 2431-2441.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5).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9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 Barker, S. B., Knisely, J. S., & McCain, N. L. (2003).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on anxiety and pain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6(4), 994-1002.
  •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 D’Zurilla, T. J., & Nezu, A. M. (1985). Social problem solving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ohn Wiley & Sons.
  • Frankl, V. E. (1963). Man’s search for meaning.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 Greenberg, L. S., & Safran, J. D. (1987). Emotion in psychotherapy: Affect, cognition, and behavior. New York: Guilford Press.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