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역사회간호진단(1)에 따른 사업 계획입니다. 학부때 작성한 과제니 참고로만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역사회간호사업
사업명
□□ 동행(同行)
추진 배경 및 목적
□□ 1동의 사회적인 문제로서 □□1동 65세이상 주민들의 높은 우울감 경험률과 자살률이 있다. 2016년 지역사회 건강통계에 의하면, ◌◌구의 자살 사망자수는 104건, 10만명당 자살률은 23.3명로 서울시 평균 23명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구 동별 자살률 현황에 따르면 □□1동이 자살률이 가장 높아 취약지역으로 해당된다. 또, □□1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3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그 중 대다수가 우울 및 자살 예방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적이 없다고 나타났고, 우울 및 자살 예방 교육이 있다면 참여할 의지가 있다는 질문에 절반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우울감 경험률, 자살률과 같은 정서적 문제는 적절한 중재를 통해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부분이고 최근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 1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우울감, 자살 생각을 낮출 수 있는 예방 및 관리 사업을 실시하고자 한다.
목적 :
□□1동 65세 대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률 및 우울감 관리의 필요성과 관련 지식을 습득시키고,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자살률 및 우울감 경험률를 낮춰 □□1동 65세 이상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노인에 있어서 신체 활동의 감소는 자신감의 결여, 우울증의 증가 및 자살 충동을 증가 시킬 수 있다. 걷기 운동은 우울 성향이 있는 노인들에서 우울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울감 경험률과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걷기 운동 프로그램을 추진하고자 한다.
사업목표
사업분류목표 | 목표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
6월 | 7월 | 8월 | 9월 | ||
장기목표 | 우울감 경험률 | ≤ 7% | ≤ 6.75% | ≤ 6% | ≤ 5.75% |
자살률 (10만 명당) |
≤ 23.0 | ≤ 22.6 | ≤ 22.2 | ≤ 21.8 | |
단기목표 | 행사 참여율 | ≥ 8% | ≥ 10% | ≥ 12% | ≥ 14% |
행사 만족도 | ≥ 6점 | ≥ 7점 | ≥ 8점 | ≥ 9점 |
※ 우울감 경험률, 자살률: □□1동의 우울감 경험률, 자살률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 수치가 없으므로, ◌◌구 전체의 통계 수치로 대체함
※ 행사 참여도: □□1동 65세 이상 인구 2377명을 기준으로 참여율 측정
※ 행사 만족도: 행사 종료 후 5개의 설문 문항으로 측정. 각 문항은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으로 구성.
주요내용

코스 : 미아리고개 소공원 ~ 개운산 둘레길
약 2.5km, 1시간 소요
미아리고개 소공원 (집결) → 개운산둘레길 → 산마루 북카페 (도착)
행사내용 : 부스별 우울 자살 진단 및 치료, 걷기운동
<부스1>
■ 우울 자가 진단
①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GDSSF-K)을 사용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우울 진단을 실시한다.
② ‘정상집단, 중증도의 우울증상, 우울증상’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다.
③ ‘중증도의 우울증상’ 이상의 노인에게는 정신건강센터의 심리상담가 2명에게 인계한다.
④ 심리상담가에게 인계되면 간단한 상담을 실시하고, 우울의 조기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킨다.
⑤ 정신건강센터 위치, 목적, 시간, 프로그램 등에 대해 안내하고, 등록을 권유한다.
⑥ 우울 예방, 관리에 대한 정보가 담긴 팜플렛을 제공한다.
■ 자살 경향성 평가
① M.I.N.I 자살경향성 평가를 사용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경향성 평가를 실시한다.
② 자살 위험을 ‘낮음, 중간, 높음’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다.
③ ‘중간’ 이상의 노인에게는 정신건강센터의 심리상담가 2명에게 인계한다.
④ 심리상담가에게 인계되면 간단한 상담을 실시하고, 자살 예방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킨다.
⑤ 정신건강센터 위치, 목적, 시간, 프로그램 등에 대해 안내하고, 등록을 하여 조기 관리할 것을 권유한다.
⑥ 자살 예방, 관리에 대한 정보가 담긴 팜플렛을 제공한다.
<부스2>
■ 생명의 전화 홍보
(☎1588-9191)
① 전문상담기관으로서의 생명의 전화 설명
② 지역사회 자살예방교육 일정 홍보
③ 생명의 전화 주관 자살예방세미나와 격월회보 홍보
④ 생명의 전화 전화번호 적혀있는 볼펜 배부
■ ◌◌구 자살예방센터 홍보
(☎ 02-0000-0000)
① 비공개 무료상담 신청서 배부 및 접수
② 마음돌봄프로젝트(주1회 이상의 안부전화 및 월1회 가정방문) 설명
③ 인식개선 홍보 캠페인
④ 센터 사업 안내 브로셔 배부
<부스3>
■ 미술치료-나만의 가방 만들기
① 심리치료사는 에코백을 하나씩 배부한 후 본인이 원하는 그림을 그리거나 다양한 색을 활용하여 꾸밀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의자를 5개 준비하여 의자에 앉고 대학생 5명이 개인적으로 그림을 완성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③ 어르신들이 그림을 완성하는 동안 음악을 틀어놓는다.
④ 물감이 잘 마른 후 사용해야함을 설명한다.
추진일정
프로젝트명 | 프로젝트내용 | 추진일정(월)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동행(同行) | 프로그램 운영 계획안 작성 |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관계자의 사전 미팅 (◌◌구 보건소, □□1동 주민센터) |
|||||||||||||
부스별 업무추진 계획서 작성/제출 | |||||||||||||
부스별 업무 준비 및 추진 | |||||||||||||
부스별 업무 중간 점검(현장 및 준비물) | |||||||||||||
프로그램 실시 | |||||||||||||
평가 및 분석 |
자원투입 계획
1. 인력 투입계획
구분 | 담당/소속기관 | 인원 수 |
부스 및 행사 진행담당 | OO대학교 사회봉사단 | 30명 |
물품관리 및 구비담당 | 보건소 | 3명 |
미술치료 전문가 | 임기직 고용 | 1명 |
생명의 전화 홍보담당 | 생명의 전화 | 2명 |
심리상담가 | ◌◌구 정신보건센터 | 2명 |
행사 총괄담당 | 보건소 | 2명 |
2. 예산 투입계획(단위: 천원)
구분 | 예상 투입예산 | ||
인력고용 | 임기직 | 1명*100 | 910 |
공무원 | 9명*90 | ||
미술치료 부스 예산 | 에코백 | 250개*1 | 300 |
아크릴물감 | 18개*2.3 | ||
헝겊 | 18개*1 | ||
코팅지 | 10장*0.5 | ||
센터홍보 부스 예산 | 홍보 볼펜 | 250개*0.5 | 175 |
홍보팜플렛 | 250장*0.2 | ||
정신건강 진단 부스 예산 | 팜플렛 250장*0.1 | 25 | |
행사 홍보비용 | 400 | ||
시설 및 장비 | 800 | ||
총 예상비용 | 2,610 |
자체 평가 방안
평가영역 | 평가항목 | 평가 지표 | 평가기준 | 배점 | |
구조 | 사업 수행을 위한 자원 확보 | 대학생 도우미 수 | 30명 20~29명 20명 미만 |
10 5 1 |
|
시설 및 장비 확보 | 부스 설치(3군데) 및 본부석 완비 완비 부족 |
10 5 |
|||
예산 확보율 | 요구예산 90% 이상 요구예산 80-89%확보 요구예산 80% 미만 |
10 5 1 |
|||
과정 | 사업수행 과정 | 부스 1 | 참석자 수 | 200명 이상 100-199명 100명 미만 |
10 5 1 |
교육 횟수 (부스별) |
50회 이상 30~49회 30회 미만 |
10 5 1 |
|||
부스 2 | 참석자 수 | 200명 이상 100-199명 100명 미만 |
10 5 1 |
||
교육 횟수 | 50회 이상 30~49회 30회 미만 |
10 5 1 |
|||
부스 3 | 참석자 수 | 200명 이상 100-199명 100명 미만 |
10 5 1 |
||
교육 횟수 | 50회 이상 30~49회 30회 미만 |
10 5 1 |
|||
홍보과정 | 팜플렛 배부수 | 250부 이상 150~249부 150부 미만 |
10 5 1 |
||
설치 현수막 수 | 5개 3~4개 0~2개 |
10 5 1 |
|||
SMS 홍보 횟수 | 총 200명 전송 총 100~199명 전송 총 100명 미만 전송 |
10 5 1 |
|||
목표설정 타당도 | 기초자료에 근거한 목표수립 여부 | 수립 미수립 |
10 5 |
||
평가지표 활용도 | 활용 미활용 |
10 5 |
|||
보건사업 연계 | ◌◌구 보건사업 연계실시여부(정신건강증진과 자살예방사업) | 실시 미실시 |
10 5 |
||
결과 | 결과평가 | □□1동 65세이상 우울감 경험률 | 5.75% 이상 감소 1~5.75% 미만 감소 미감소 |
10 5 1 |
|
□□1동 65세 이상 자살률 | 21.8명 이상 감소 1~21.8명 미만 감소 미감소 |
10 5 1 |
|||
영향평가 | 행사 만족도 조사(10문항) | 8~10점 3~7점 0~2점 |
10 5 1 |
참고문헌
- 유호신 외, 「지역사회간호학Ⅰ, Ⅱ」, 수문사, 2017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 서울통계 http://stat.seoul.go.kr/jsp3/index.jsp
-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s://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네이버 지도 http://map.naver.com/
- □□1동주민센터
- ◌◌구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 ◌◌구 동별 구민 건강격차 비교분석(2014)
- ◌◌구 통계정보조회 http://stat.seoul.go.kr/host/seongbuk/WWSDS8600.jsp
- 송희승 (2016),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디지털융복합연구,14(8),515-525
- 이동환 (2007), 건강걷기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에서 우울정도 변화,계명대학교 대학원,
- 허정이 외 (2013),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노인의 건강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ealth Characteristics on Depression of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cheme,한국보건간호학회, 27(2),327-337
- 류정자 외 (2000),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및 우울 정서에 미치는 효과,한국미술치료학회,제7차,11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