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역사회 간호사정은 생략한 지역사회 간호진단입니다. 과제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지역사회간호진단
1) 지역사회간호문제 진단
인구집단과 위험상황 | 관련요인 | 증거 |
1. 성인 인구 집단의 저하된 건강증진을 위한 자가관리능력의 위험성 | 1) 낮은 운동 실천률 2) 운동프로그램의 낮은 인지도 3) 운동프로그램의 낮은 참여도 |
1) Q. 신체활동을 위해 조성된 장소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Q. 주민센터 내의 신체활동/운동관련 프로그램을 몇 개 알고 계십니까? ![]() Q. 주민센터의 운동프로그램에 얼마나 참여하십니까? - 조사대상의 주민센터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는 30명 모두가 아니오 라고 대답하였다. 2) OO 뉴타운의 한 가운데에 쓰이지 않는 부지가 있다. “약 800평의 안 쓰는 땅이 있는데, 이것을 활용했으면 좋겠어요.”by. 복지협의체 ![]() 3) 아파트 세대 대비 부족한 공공 체육시설 및 프로그램(테니스, 배드민턴 등등 야외체육시설의 부재) 단지 내에 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의 부지도 작았고 단지 곳곳에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운동기구만 있었기 때문에 지나다니면서 마땅히 짐을 보관할 간이 의자 등의 설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해 보였다. ![]() |
2. 12~18세 인구집단의 건강행태실천부족의 위험성 |
1) 건강행태실천의 자원(학교시설, 공공의료기관)의 부족 | 1) · OO1동 연령별 인구 수 · 주민요구도 “젊은엄마들 사이에서는 학교가 너무 부족하다는 얘기도 많이 나와요.”by. 복지협의체 ![]() 2) ![]() 칼슘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은 70.3%로 여자(74.9%)가 남자(65.7%)에 비해 9.2%p 더 높았고, 12~18세(84.3%)와 65세 이상(81.4%)에서 특히 높았다. 3) ![]() OO1동에서 □□구 보건소 까지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택시를 이용하여도 약 4km의 거리이며, 대중교통 이용 시 최단거리 및 최단시간으로 가는 방법을 이용해도 약 30분 걸리며, 버스를 갈아타야 함으로,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 이나 장애인 내지는 유모차를 이용하는 모성에게는 공공 의료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OO1동에서 □□구보건소까지의 셔틀버스가 운행하지 않음으로 OO1동 주민들의 □□구보건소 이용을 위한 접근성이 떨어진다. |
3. 취약계층의 낙상위험성 | 1) 낙상예방과 관련된 자원의 부족 | “여기 임대아파트에 장애인과 노인분들이 많이 살고 계시는데, 그래서 전동휠체어를 이용하시는 분들도 여기 언덕길 내려갈 때 무서워서 못다니겠다고 말씀하세요.”by. 방문간호사 아파트 단지 중에서 가장 고지대 및 후미진 곳에 임대아파트 위치하고 있어, 급한경사로를 거쳐야 함. ![]() |
4. 아동의 건강관련 복지의 취약성 | 1) 건강관련 복지의 자원의 부족(공공의료기관의 낮은 접근성, 인구대비 교육기관의 부족) | 1) “유치원의 수가 적어서 줄서서 기다리고 그래요.” by. 복지협의체 총무 OO 1동에는 공립유치원2개, 사립유치원4개로 총 6개의 유치원과, 3개의 공립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2) OO1동에서 구 보건소 까지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택시를 이용하여도 약 4km의 거리이며, 대중교통 이용 시 최단거리 및 최단시간으로 가는 방법을 이용해도 약 30분 걸리며, 버스를 갈아타야 함으로,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 이나 장애인 내지는 유모차를 이용하는 모성에게는 공공 의료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OO1동에서 □□구보건소까지의 셔틀버스가 운행하지 않음으로 OO1동 주민들의 □□구보건소 이용을 위한 접근성이 떨어진다. |
5. OO 1동 주민들의 부적절한 쓰레기관리 | 1) 쓰레기관리와 관련된 자원의 부족 | 1) ![]() 2) 쓰레기 더미 사진 ![]() 3) 인터뷰 “OO역 옛날 7번출구있는 곳이 우리 OO1동 초입인데, 거기 시장도 있고, 아직 개발 안 된 곳도 있어서.. 그리고 쓰레기들도 많아요. 입구가 깔끔해야 우리 동네도 좋게 보이는데.. 그 앞에 쓰레기 치우고 치워도 그렇게 항상 있어요.“ |
2) 우선순위 설정
문제의 크기 | 문제의 심각도 | 사업의 기술적 해결 가능성 | 주민의 관심도 | 총점 | |
1. 성인 인구 집단의 저하된 건강증진을 위한 자가관리능력의 위험성 | 10 | 20 | 20 | 25 | 75 |
2. 12~18세 인구집단의 건강행태위험성 | 15 | 15 | 25 | 5 | 60 |
3. 취약계층의 낙상위험성 | 20 | 20 | 15 | 10 | 65 |
4. 아동의 건강관련 복지의 취약성 | 5 | 10 | 15 | 20 | 50 |
5. OO 1동 주민들의 부적절한 쓰레기관리 | 5 | 5 | 15 | 15 | 40 |
보건프로그램 기획 시 우선순위를 설정 하는 척도이며 주민의 관심도가 중요하다고 생각 하기 때문에 Bryant 모델을 사용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