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혈액투석 간호 [성인간호학]

RNSONG 2022. 11. 26.
반응형

인공신장실에 대한 소개

1. 병동에 대한 구조 및 기능

인공 신장실은 외래환자 및 입원환자를 위한 혈액 투석시설을 갖추고 있다. 혈액투석실 병상과 격리실 병상으로 나누어 있었으며, 혈액투석실 병상은 3구역으로 나누어있었다. 그리고 투석시간이 지루하지 않도록 각 베드마다 천장에 TV를 설치해 놓여저 있었다. OO병원 인공신장실에서는 혈액투석만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신대체요법 중 복막투석 및 신장 이식은 각 각의 분야별로 복막 투석실 및 신장이식센터로 나누어 환자들 처치가 이루어져 있었다. 투석은 오전 7:00~11:00 , 오후 13:00~17:00 이렇게 오전 오후 나누어서 진행되며 아래의 병상 사진은이해를 위해 OO병원 인공신장실 사진을 첨부하였다.

2. 투석 시 필요한 물품의 관리와 보관

투석에 필요한 여과기, 삽입 카테터, 튜브, 투석 액, 드레싱 세트 등은 카트와 물품보관실에 보관중이었으며, 감염예방을 위해 침습적 처치가 필요할 때는 무균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투석이 끝난 후에는 물품을 정리하고, 투석기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3. 투석중인 환자의 상태 관찰

투석 중인 환자는 대부분 만성 신부전 환자로써 고혈압이나 당뇨 등 신부전을 야기할만한 증상과 질병을 만성적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다. 따라서 투석 중 투석으로 인한 합병증이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실제로도 인공신장실에서는 매우 빈번하게 환자의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 I/O 등을 체크 하고 있었다. 환자의 활력징후 같은 경우는 투석시작 전, 투석시작 후 30분 전 그 이후론 1시간 간격으로 체크하고 있었고, 또 투석 시작 전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Dry body weight를 정하여 투석을 시작하고 투석이 끝난 후 다시 체중을 측정하여서 투석 전/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 

1. Renal failure 및 Uremia의 병리

- 신장의 배설 기능, 물·전해질·산-염기평형의 조절기능, 내분비기능이 상실되고 단백질 대사산물의 축적 및 전해질 이상이 생겨 내부 환경이 유지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신부전은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되며, 신장의 구조적·기능적 단위인 네프론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된 것을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ARF)이라 한다

 

- Acute Renal Faliure (ARF)

-급성신부전은 원인의 존재 부위에 따라 신전성, 신성, 신후성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임상증상(요독증상)이 나타나는 질병과정의 말기까지 인지하지 못하여 ER로 입원하시는 경우가 많다. 신성 급성신부전의 경우 신장실질의 손상이 치유되지 않는 한 회복되지 않으며, 회복이 가능하다고 해도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대체로 예후가 나쁘며 일부는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다. 신전성 원인은 신장 혈류를 감소시켜 사구체의 관류와 여과를 감소시키는 신장의 외적요인이다.(체액량 감소, 심박출량 감소, 말초혈관 저항 감소) 말초혈관 폐색은 혈액순환의 저하를 초래한다. 신장 허혈기간이 길어지면 신전성 상태가 신장성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신전성 상태는 신장성 질병 사례의 약 60~70%의 원인이다. 신장성 원인은 네프론 기능의 손상을 야기하면서, 직접적으로 신장조직에 손상을 주는 질병을 포함한다.

 

-Chronic Renal Faliure (CRF)

-만성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 기능의 손상으로 현재 신장 손상이 있거나 또는 3개월 또는 그 이상 기간 동안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이하인 것으로 정의된다.

신장은 현저한 기능적인 예비력을 갖고 있어 신체기능의 명백한 변화가 없이도 사구체여과율의 80%까지 손상 될 수 있다. 사람은 2백만 개의 네프론을 가지고 태어나고, 네프론의 90%가 손상될 때까지도 투석 없이 생존 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은 만성 신질환의 초기에는 질병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것이다. 사구체신염이 가장 흔한 만성신부전의 원인이나 최근 당뇨병성 신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 외 고혈압성 신경화증, 세뇨관 및 간질성 신염등이 주 원인질환이다.

 

Acute Renal Failure Chronic Renal Failure
- 급성 신부전은 진행성 질소혈증으로 신장 기능이 급속히 쇠퇴되는 특징을 가진 임상 증후군
-핍뇨와 연관(일일 소변량이 400ml이하로 감소하는 것)
- 핍뇨의 유무와 관계없이 수 시간 혹은 수일에 걸쳐서 혈중 요소질소(BUN), creatinine과 칼륨의 점진적인 증가가 나타남
- 심각하고 장기적인 저혈압이나 저혈량 또는 신독성 제제에 노출되어 가장 흔히 발생함
- 만성 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 기능의 손상 혹은 3개월 이상의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 이하인 것
- 투석이나 이식 등의 신대체요법(renal replacement thrapy)이 요구됨
- 예후와 경과는 병인, 환자의 상태와 연령, 적절한 추후 관리에 따라 다양
- 주요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

 


- Uremia 요독증

다양한 원인질환에 의해 신장의 기능이 감소하여 정상적으로 신장을 통하여 소변으로 배출되어야 할 노폐물(요독 – BUN, Creatinine 등)이 배설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들을 의미한다. 더불어 신장기능인 조혈호르몬의 분비나 비타민 D 활성화 기능의 감소로 나타나는 증상 역시 Uremia에 포함된다.

 

 

 

2. Hemodialysis의 indication

(1) 사구체 여과율이 약 10ml/min이하 (CKD stage 5)

(2) 탄산나트륨으로 교정하기 어려운 시한 대사성 산증


(3) 이뇨제에 반응이 없는 체액과다 (특히 울혈성 심부전이나 고혈압을 초래하는 체액과다)


(4)진행적 질소혈증 증상 (혈청 Creatine 10mg/dl 이상, BUN(혈중요소질소) 100mg/dl 이 상, CCR(Creatinine clearance) 0.1ml/min/kg 미만)


(5) 긴급투석 적응증 (사구체 여과율이 높더라도 시행)

- 요독증세 (오심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골이영양증, 발육부진 등의 증상, 특히 심낭염, 출혈, 운동성 신경병증 및 의식장애가 있을 때)

- 보존요법으로 교정이 어려운 심한 고칼륨혈증

 

3. Hemodialysis의 치료원리


1) Method - 혈액투석에는 3가지 원리가 있다. 확산, 초여과, 대류.

혈액투석에서 용질의 제거는 확산과 대류에 의해 이루어지고, 체액의 제거는 초여과에 의해 이루어 진다. 우선 확산(diffusion)이란 혈액과 투석액 사이에 반투막을 두고 요소나 칼륨 같은 용질이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는 반투막 면적과 투과성,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농도차 및 유속, 분자 크기 등이 영향한다. 다음으로 대류(convection)란, 반투막을 통해 체액이 이동할 때 상당량의 용질이 용매끌기 (solvent drag)라고 불리는 마찰력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통 혈액 투석으로는 대류에 의한 용질 이동이 적으나 초여과율이 높은 high-flux dialyzer에서는 그 역할이 크다.

혈액 투석을 하기 전, AV fistula, AV graft 등의 시술을 하여 artery와 vein 두 개의 혈관을 주사기로 연결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 물론 fistula를 시술하였다고 해서 바로 투석을 시작할 수 있는 것 은 아니다. Vein 부분이 artery와 같이 두꺼워지기를 기다려야 하고 이에는 약 3개월에서 6개월 정도가 걸린다.

투석을 할 때에는 체외로 혈액이 나와 투석기로 들어갈 fistula의 원위부는 주사 침을 팔의 원위부로 향하게 하여 삽입하고 근위부에는 주사 침이 심장 방향으로 되도록 삽입한다. 이는 투석기로의 혈류가 잘 흐르게 하고, 투석되고 나온 혈액이 다시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체외로 순환하는 혈액 은 인공신장기의 dialyzer를 통과한다. dialyzer의 안쪽은 반투과막으로 이루어진 실이 여러 개가 존재 한다. 이 실의 안은 반투과막으로 안과 밖으로 나뉘어 있는데 안쪽으로는 혈액이 흐르고 바깥쪽으로는 투석액이 흘러 막을 사이에 두고 확산작용이 일어난다. dialyzer를 통과한 혈액은 다시 체내로 돌아가 고 투석액은 배수관을 통해 빠져나간다.

 

2) System Components

(1) Dialyzer

혈액부분과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위와 투석액 부분과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위가 있다. 최근에는 섬관형 투석기를 많이 사용하며, 플라스틱 원통안에 속이 빈 가는 섬유신장기(hollow fiber)들이 수천 개씩 있다. 이 곳으로 혈액이 통과하여 투석액과 접촉하면서 노폐물, 과다한 전해질, 수분이 혈액에서 투석액 쪽으로 이동한다.

(2) Vascular access

혈액 투석시에는 200-300ml/min 의 많은 혈류량을 유지하기 위한 혈관통로가 필요하다. 단위시간당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다시 정맥으로 유입가능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일시적인 접근 방법: 쇄골하정맥, 내경정맥, 대퇴정맥에 카테터를 삽입, 기흉, 혈흉, 부정맥, 감염, 출혈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다.
.

-영구적인 접근방법: 동정맥루와 합성이식물질이나 자기혈관을 이식하는 동정맥이식

 

(3) Dialysate
투석액은 환자의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고 노폐물을 배설해 줄 수 있는 구성비율로 이루어진다.

 

(4) Anticoagulation

투석에 anticoagulatant agent로는 heparin을 주로 쓴다. 헤파린을 쓰지 않는 환자는 priming시에 헤 파린으로 관을 코팅해준다. bleeding이 심하지만 혈액 응고의 가능성도 있는 환자에겐 헤파린보다 약한 제제를 쓴다.

 

3) Treatment Procedure

(1) 혈액 투석관을 투석기에 setting하고 priming한다. priming에 saline은 보통 700ml를 사용한다. priming을 하는 이유는 첫째, tube 안의 소독제를 씻어주기 위함이다. 둘째, 튜브 에 leakage가 있는지 확인한다. 셋째, 튜브안의 air를 빼주기 위함이다. 넷째는 heparin을 쓰지 않는 환자의 한에서 튜브를 heparin으로 코팅해주기 위함이다.

(2) 환자의 혈관통로를 준비한다. 바늘은 보통 15~16G가 효율이 좋다고 한다. lab을 나간다 면 혈액을 채취하고, 혈관통로를 투석기에 연결하기 전에 금기가 아니라면 heparin을 투여 한다.

(3) 혈압을 측정하고, 먼저 동맥쪽의 혈관을 투석기에 연결하여 bleed한다. 이 때 혈압을 monitoring하 면서 혈압이 좋은 환자의 경우엔 total bleed를 하고 혈압이 낮은 환자일수 록 bleed의 양을 줄인다.

(4) 혈관통로를 모두 연결하고 투석을 시작한다. 시작과 동시에 혈압을 재고, 환자의 건체중 에 맞춰 환 자의 몸에서 제거해줄 수분의 양 또는 보충해줄 수분의 양을 설정한다. 만약 heparin을 투여하는 환자 의 경우에는 마지막에 관을 씻어낼 200ml의 saline양을 추가로 제거해주도록 설정하고, heparin을 쓰지 않는다면 투석 중에 쓰이는 saline 800ml를 추가 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5) 투석관을 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잘 고정시켜준다.


(6) 투석 중에는 환자의 상태를 monitoring하고 저혈압에 빠지지 않는지 관찰한다.

(7) 투석이 끝나면 200ml의 saline을 동원하여 dialyzer와 관 내에 있는 혈액을 환자의 몸 으로 넣어준 다. 환자의 몸무게를 재고 post chest X-ray를 찍는다.

 

4) Hemodialysis시 일반적인 간호 (인공신장실 간호사의 역할)

- Hemodialysis Vascular Access: fistula/graft 팔을 투석 전후로 사정한다. 혈관이 제대로 뛰고있는지 만져보고 청진기로 들어본다. 혈관에 clotting이 많이 생겨 혈관이 딱딱해지면 투석의 효율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 Hemodialysis adequacy: 환자의 건체중에 맞게 체중이 조절되는지, 환자의 폐에 물이 차있진 않은지, 최근 들어 건체중 수치가 바뀌진 않았는지 그럼으로써 혈액 투석이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 Hemodialysis treatment and complications: 환자가 혈액 투석 중후로 저혈압이 생기진 않는지, 저체 온이 나타나진 않는지 관찰한다.

- Infection: 피부 발적이나 열감등이 일어나는지 관찰한다.

- 혈액 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평생 혈액투석을 하기 때문에 우울한 환자가 많다. 환자가 우울하지 않 게 간호사가 친근하고 친절하게 대해주고 환자를 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간혹 혈액 투석을 하지 않고 죽음을 시도하는 환자도 있으므로 혈액투석 교육을 하도록 한다.

- 혈액 투석에 있어 간호사의 조그만 실수는 환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고, 환자와의 신뢰관계가 깨 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인공신장실 간호사는 해박한 지식과 숙련된 혈액투석 기술이 필요하다.

 

5) Hemodialysis 환자의 음식과 수분관리

혈액투석 환자에서 체중 조절, 혈압조절, 적당한 영양 섭취를 통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투석 생활 및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이 매우 중요하다. 매달 혈액검사를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는 식이와 영양관리를 계획하고 실천해야 한다.

 

2. Hemodialysis의 indication

(1) 사구체 여과율이 약 10ml/min이하 (CKD stage 5)

(2) 탄산나트륨으로 교정하기 어려운 시한 대사성 산증


(3) 이뇨제에 반응이 없는 체액과다 (특히 울혈성 심부전이나 고혈압을 초래하는 체액과다)


(4)진행적 질소혈증 증상 (혈청 Creatine 10mg/dl 이상, BUN(혈중요소질소) 100mg/dl 이 상, CCR(Creatinine clearance) 0.1ml/min/kg 미만)


(5) 긴급투석 적응증 (사구체 여과율이 높더라도 시행)

- 요독증세 (오심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골이영양증, 발육부진 등의 증상, 특히 심낭염, 출혈, 운동성 신경병증 및 의식장애가 있을 때)

- 보존요법으로 교정이 어려운 심한 고칼륨혈증

 

3. Hemodialysis의 치료원리

1) Method - 혈액투석에는 3가지 원리가 있다. 확산, 초여과, 대류.

혈액투석에서 용질의 제거는 확산과 대류에 의해 이루어지고, 체액의 제거는 초여과에 의해 이루어 진다. 우선 확산(diffusion)이란 혈액과 투석액 사이에 반투막을 두고 요소나 칼륨 같은 용질이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는 반투막 면적과 투과성,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농도차 및 유속, 분자 크기 등이 영향한다. 다음으로 대류(convection)란, 반투막을 통해 체액이 이동할 때 상당량의 용질이 용매끌기 (solvent drag)라고 불리는 마찰력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통 혈액 투석으로는 대류에 의한 용질 이동이 적으나 초여과율이 높은 high-flux dialyzer에서는 그 역할이 크다.

혈액 투석을 하기 전, AV fistula, AV graft 등의 시술을 하여 artery와 vein 두 개의 혈관을 주사기로 연결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 물론 fistula를 시술하였다고 해서 바로 투석을 시작할 수 있는 것 은 아니다. Vein 부분이 artery와 같이 두꺼워지기를 기다려야 하고 이에는 약 3개월에서 6개월 정도가 걸린다.

투석을 할 때에는 체외로 혈액이 나와 투석기로 들어갈 fistula의 원위부는 주사 침을 팔의 원위부로 향하게 하여 삽입하고 근위부에는 주사 침이 심장 방향으로 되도록 삽입한다. 이는 투석기로의 혈류가 잘 흐르게 하고, 투석되고 나온 혈액이 다시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체외로 순환하는 혈액 은 인공신장기의 dialyzer를 통과한다. dialyzer의 안쪽은 반투과막으로 이루어진 실이 여러 개가 존재 한다. 이 실의 안은 반투과막으로 안과 밖으로 나뉘어 있는데 안쪽으로는 혈액이 흐르고 바깥쪽으로는 투석액이 흘러 막을 사이에 두고 확산작용이 일어난다. dialyzer를 통과한 혈액은 다시 체내로 돌아가 고 투석액은 배수관을 통해 빠져나간다.

 

2) System Components

(1) Dialyzer

혈액부분과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위와 투석액 부분과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위가 있다. 최근에는 섬관형 투석기를 많이 사용하며, 플라스틱 원통안에 속이 빈 가는 섬유신장기(hollow fiber)들이 수천 개씩 있다. 이 곳으로 혈액이 통과하여 투석액과 접촉하면서 노폐물, 과다한 전해질, 수분이 혈액에서 투석액 쪽으로 이동한다.

(2) Vascular access

혈액 투석시에는 200-300ml/min 의 많은 혈류량을 유지하기 위한 혈관통로가 필요하다. 단위시간당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다시 정맥으로 유입가능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일시적인 접근 방법: 쇄골하정맥, 내경정맥, 대퇴정맥에 카테터를 삽입, 기흉, 혈흉, 부정맥, 감염, 출혈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다.
.

-영구적인 접근방법: 동정맥루와 합성이식물질이나 자기혈관을 이식하는 동정맥이식

 

(3) Dialysate
투석액은 환자의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고 노폐물을 배설해 줄 수 있는 구성비율로 이루어진다.

 

(4) Anticoagulation

투석에 anticoagulatant agent로는 heparin을 주로 쓴다. 헤파린을 쓰지 않는 환자는 priming시에 헤 파린으로 관을 코팅해준다. bleeding이 심하지만 혈액 응고의 가능성도 있는 환자에겐 헤파린보다 약한 제제를 쓴다.

 

3) Treatment Procedure

(1) 혈액 투석관을 투석기에 setting하고 priming한다. priming에 saline은 보통 700ml를 사용한다. priming을 하는 이유는 첫째, tube 안의 소독제를 씻어주기 위함이다. 둘째, 튜브 에 leakage가 있는지 확인한다. 셋째, 튜브안의 air를 빼주기 위함이다. 넷째는 heparin을 쓰지 않는 환자의 한에서 튜브를 heparin으로 코팅해주기 위함이다.

(2) 환자의 혈관통로를 준비한다. 바늘은 보통 15~16G가 효율이 좋다고 한다. lab을 나간다 면 혈액을 채취하고, 혈관통로를 투석기에 연결하기 전에 금기가 아니라면 heparin을 투여 한다.

(3) 혈압을 측정하고, 먼저 동맥쪽의 혈관을 투석기에 연결하여 bleed한다. 이 때 혈압을 monitoring하 면서 혈압이 좋은 환자의 경우엔 total bleed를 하고 혈압이 낮은 환자일수 록 bleed의 양을 줄인다.

(4) 혈관통로를 모두 연결하고 투석을 시작한다. 시작과 동시에 혈압을 재고, 환자의 건체중 에 맞춰 환 자의 몸에서 제거해줄 수분의 양 또는 보충해줄 수분의 양을 설정한다. 만약 heparin을 투여하는 환자 의 경우에는 마지막에 관을 씻어낼 200ml의 saline양을 추가로 제거해주도록 설정하고, heparin을 쓰지 않는다면 투석 중에 쓰이는 saline 800ml를 추가 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5) 투석관을 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잘 고정시켜준다.


(6) 투석 중에는 환자의 상태를 monitoring하고 저혈압에 빠지지 않는지 관찰한다.

(7) 투석이 끝나면 200ml의 saline을 동원하여 dialyzer와 관 내에 있는 혈액을 환자의 몸 으로 넣어준 다. 환자의 몸무게를 재고 post chest X-ray를 찍는다.

 

4) Hemodialysis시 일반적인 간호 (인공신장실 간호사의 역할)

- Hemodialysis Vascular Access: fistula/graft 팔을 투석 전후로 사정한다. 혈관이 제대로 뛰고있는지 만져보고 청진기로 들어본다. 혈관에 clotting이 많이 생겨 혈관이 딱딱해지면 투석의 효율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 Hemodialysis adequacy: 환자의 건체중에 맞게 체중이 조절되는지, 환자의 폐에 물이 차있진 않은지, 최근 들어 건체중 수치가 바뀌진 않았는지 그럼으로써 혈액 투석이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 Hemodialysis treatment and complications: 환자가 혈액 투석 중후로 저혈압이 생기진 않는지, 저체 온이 나타나진 않는지 관찰한다.

- Infection: 피부 발적이나 열감등이 일어나는지 관찰한다.

- 혈액 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평생 혈액투석을 하기 때문에 우울한 환자가 많다. 환자가 우울하지 않 게 간호사가 친근하고 친절하게 대해주고 환자를 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간혹 혈액 투석을 하지 않고 죽음을 시도하는 환자도 있으므로 혈액투석 교육을 하도록 한다.

- 혈액 투석에 있어 간호사의 조그만 실수는 환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고, 환자와의 신뢰관계가 깨 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인공신장실 간호사는 해박한 지식과 숙련된 혈액투석 기술이 필요하다.

 

5) Hemodialysis 환자의 음식과 수분관리

혈액투석 환자에서 체중 조절, 혈압조절, 적당한 영양 섭취를 통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투석 생활 및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이 매우 중요하다. 매달 혈액검사를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는 식이와 영양관리를 계획하고 실천해야 한다.

 

(1) 열량

하루에 필요한 열량은 환자의 활동 정도에따라 체중 1 kg당 30∼35kca1정도가 필요하며, 필요한 열량 을 어떤 식품에서 얼마만큼 섭취하는가는환자의 나이, 활동량, 당뇨병 유무등에 따라 개인에 맞는 열 량 섭취를 영양사와 상담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2) 염분 Sodium

지나친 염분 섭취는 부종, 고혈압, 심부전증, 폐부종 등을 유발한다. 1일 염분 허용량은 소금 4g-5g 정 도이며, 식품 자체내 염분이 많이 들어있는 염장어육류, 훈제품 건어물, 젓갈, 김치, 간장, 된장, 고추 장, 화학조미료, 라면 등은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한국인의 식사에는 15-25g의 소금이 사용 되고 있다.- 염분이 들어 있는 양념이나 조미료를 피한다. 모든 반찬은 싱겁게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 고, 음 식의 간은 짠맛 대신 신맛, 매운맛, 단맛을 이용하기

-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튀기거나 볶아서, 고소한 맛과 함께 열량 을 보충하도록 하기
- 같은 양의 염분이라도 식사하기 직전에 첨가하는 것이 짠맛을 더 느낄 수 있다. 또한 조리시에는 염 분을 가급적 사용하지 말고 따로 양념장을 만들어서 식사 때 먹기
- 음식을 준비할 때 먼저 싱겁게 하여 환자가 먹을 음식을 덜어낸 후, 식구들을 위하여 다 시간을 맞 추기
- 좋아하는 음식 한 가지만 간을 맞추어서 조리를 하고, 나머지 음식들에는 소금 넣지 않기

 

(3) 칼륨 Potassium

칼륨은 근육, 신경세포자극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해질로 정상치보다 너무 높으면 심장마비를 일으 키므로 매우 위험하다. 혈액투석 환자는 대개 고칼륨혈증이 흔한 문제이므로 칼륨이 많이 함유된 음식 의 섭취를 제한하여야 한다. 포타슘은 주로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소변량에 따라 포타슘의 섭취량을 조 절한다. 포타슘은 주로 육류, 야채류, 과일류, 우유류등 거의 대부분의 식품에 포함되어 있어 실제로는 제한이 어렵다. 그래서 포타슘이 많이 들어 있는 푸른잎 채소 및 과일의 섭취량을 줄이고, 조리할 때 물에 야채를 2시간 이상 담가놓은 후 쓰거나, 더운 물에 살짝 데친 후 먹는 방법이 좋다. 보통 하루 섭취량은 2,000mg(2g)정도로 제한한다.

-푸른 잎 채소와 과일의 섭취를 줄이기
-칼륨은 수용성이므로 물에 오랫동안 담그거나, 삶거나 데치면 식품에서 빠져 나오니 이러한 조리법 을 이용하기
-식물의 껍질이나 줄기에는 포타슘이 많으므로 껍질과 줄기를 제거하고 잎만을 사용하기

-식품을 충분한 양의 물(재료의 10배 정도)에 최소한 2시간 이상 담가 두기

-식품을 건져 따뜻한 물에 몇 번 헹구기

-식품을 데칠 때는 충분한 물(재료의 5배 정도)을 사용하기


-데쳐낸 물은 버리고 필요한 경우 다시 물을 넣어 조리하기

 

(4) 단백질

단백질은 신체성장, 근육의 생성 및 조직의 재생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체내에서 이용된 단백질은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등의 노폐물로 바뀌어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혈액투석 환자에서 지나 치게 많은 단백질 섭취는 요독증을 심하게 하여 좋지 않으며, 지나치게 적은 단백질 섭취는 영양 실조 로 환자 상태를 나쁘게 만든다 .적당한 하루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 1 kg 당 1.0∼1.4 mg이 적당하며 채소나 곡류보다는 달걀, 생선, 닭고기, 돼지고기, 고기 등 필수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된 질이 좋은 단 백질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매일 적당량을 매끼마다 나누어 섭취한다.

 

(5) 칼슘과 인

칼슘과 인은 뼈를 구성하는 주요 무기질이다. 인의 혈중농도가 높아지면 칼슘과 인의 균형을 맞추고자 뼈의 칼슘이 혈중으로 빠져 나와 뼈가 약화되어 쉽게 골절되거나 통증과 신성 골이영양증이 유발되므 로 이를 예방하려면 인의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인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우유, 아이스크림, 요구 르트, 치즈 등의 유제품과 현미, 잡곡, 콩류, 녹두, 코코아, 땅콩, 쵸코렛, 호박씨, 해바라기씨, 콜라, 어 육류 등이다. 우유의 하루 권장량은120cc∼200cc (반컵 ~ 한컵) 정도이며 식이요법만으로 인의 조절이 어려우므로 처방에 따라 식사 후반부에 인 결합제를 복용한다.

 

(6) 수분

수분의 과잉섭취는 심장부담, 체중증가, 혈압상승 및 폐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을 유발하므로 염분과 함께 수분의 섭취량을 제한하여야 한다. 투석과 투석사이의 체중증가가 2∼3kg보다클때에는 여러 합 병증이 발생 할 위험이 커지므로 1일 1kg이상 늘지 않도록 한다. 일정한 용기나 컵 으로 섭취하는 수 분량을 정확히 측정해야하며 하루 수분 섭취량은 전날 소변량에다가 300-500cc 정도를 더한 양이다. 수분을 제한 할 때에는 상온에서 액체인 식품 과 음료(국, 음료수, 우유, 차, 얼음, 아이스크림등)의 제 한이 필요하다.

 

6)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의 비교

가장 기초적인 차이로는 원리의 차이가 있다. 복막 투석은 투석액을 복막에 넣어 혈액과 직접 접촉 이 없고 삼투압으로 이루어진다. 혈액 투석은 혈액을 밖으로 꺼내어 직접 투석액과 확산작용을 통해 투석을 한다. 또한 복막투석은 초기 잔여신기능 보존에 있어서 혈액투석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연구 결 과가 나와있다. 복막투석은 기본적으로 가정에서 치료하고 반복적으로 투석센터나 병원을 방문할 필요 가 없어서 사회 복귀나 직장생활을 계속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여행이나, 여가시간의 활용에 있 어서 유리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삶의 질이 우수하다고 한다. 복막 투석환자에서 혈압의 조절이 더 용 이하고, 투석간 체액양의 변동이 없이 체액량을 거의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므로, 심장에 부하가 적다. 복막투석에 비해 혈액투석이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이식신기능 소실의 위험도가 높다.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의 비교표 

  혈액투석 복막투석
장점 • 환자를 위한 투석치료를 의료진이 한다.
• 투석실 내에서의 안전한 간호가 주어진다.
• 다른 투석동료, 의료진을 투석할 때마다 만날 수 있다.
• 자가치료가 가능하다.
• 식이요법이 자유롭다.
• 투석 과정이 편안하다.
• 1회 교환시간이 30분정도 소요되므로 시간적 제약을 덜 받는다.
• 혈액 손실이 적고 주사 공포가 없다.
• 혈압 조절과 혈당 조절이 용이하다.
단점 • 투석 스케줄이 고정된다.
• 주 2~3회 병원에 와야 하므로 시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다.
• 투석시마다 두 개의 바늘을 꽂아야 한다.
• 식이제한을 많이 받는다.
• 1일 4회 교환이 매일 필요하다.
• 영구적인 카테터를 몸에 지니고 다닌다.
• 복막염이 발생하기 쉽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 00병원 투석환자 가이드북

- 성인간호학 1 제6판 정담미디어 Priscilla LeMone 외 임상적 추론의 적용(2017, 정담미디어)

- 성인간호학 비뇨기계 워크북, (2016, 박수경)

 

 

 

반응형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염환자 간호 및 관리 방법  (0) 2023.02.21
중환자 간호(Critical Care Nursing)  (1) 2022.12.04
상처 관리  (0) 2018.09.17
정맥주입 간호  (3) 2018.09.16
항생제의 이해  (2) 2018.09.15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