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성인간호학

화상 Burn injury 간호중재 및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RNSONG 2023. 6. 7.
반응형

화상 간호진단

화상을 다룰 때 간호진단은 환자의 특정 상태와 화상의 범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해당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간호진단 몇 가지입니다:

 

피부 통합성 장애(Impaired skin integrity)

: 이 진단은 화상으로 인해 피부의 보호 기능이 손상되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화상의 깊이와 범위를 평가하고 감염의 징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피부통합성 장애 : Impaired Skin Integrity [간호진단에 따른 케이스스터디]

피부통합성 장애(Impaired Skin Integrity) 간호진단 피부통합성 장애 정의 표피와 진피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 변화된 것. 피부통합성 장애 관련요인 외재적 화학물질 연령(신생아 또는 노인) 습도 고

songnurse.tistory.com

급성 통증(Acute pain)

: 화상은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진단은 환자의 통증 수준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통증 관리 전략에는 약물 투여, 상처 관리 기술 및 위치 조절 및 주의 전환과 같은 비약물적 개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감염 위험성(Risk for infeciton)

: 손상된 피부로 인해 화상 부위는 감염에 더 취약해집니다. 이 진단은 감염 징후 (예: 발적, 부어오름, 통증 증가, 열)를 모니터링하고 상처 관리 및 예방적 항생제 투여와 같은 감염 예방 조치를 시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감염 위험성 : Risk for infection [간호진단에 따른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중 감염위험성 간호진단에 따른 케이스 스터디 모음입니다. 학생 때 작성 하던거라 참고만 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증상 및 징후 (Sign & Symptoms)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없음. 객관적

songnurse.tistory.com

신체 기동성 장애

: 화상 부상의 위치와 심도에 따라 환자는 신체 기동성 장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진단은 환자의 관절 가동 범위를 평가하고 적절한 위치 조절과 고정을 제공하며 수축 및 근위축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척수손상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척수손상 케이스스터디 척수손상 척수손상(SCI)은 척수 또는 척수 관의 끝에서 발생하는 신경 손상을 말합니다. 이 상태는 종종 손상 부위 아래의 근력, 감각 및 기타 신체 기능에 영구적인 변화

songnurse.tistory.com

체액 불균형의 위험(Risk for imbalanced fluid volume) or 체액 부족(Deficient fluid volume)

: 화상 부상은 손상된 피부를 통해 상당한 체액 손실을 유발하여 체액량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진단은 환자의 체액 섭취와 배설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의사 지시에 따라 정맥 내 수액을 투여하며 체액 과부하 또는 탈수의 징후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신체상 혼란(Disturbed body image)

: 화상 부상은 환자의 자존감과 신체 이미지에 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진단은 환자의 심리적 안녕을 평가하고 감정적 지원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상담이나 지원 그룹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간호진단은 일반적인 예시이며, 구체적인 간호진단과 개입은 개별 환자의 상태와 화상 부상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간호 계획은 환자의 독특한 요구에 맞게 조정되어야 합니다.

 

 

신체 기동성 장애 Impaired Physical Mobility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 신체 기동성장애 간호진단은 척수손상에도 다뤘던 내용이지만 화상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다룹니다. 

화상 부상을 입은 환자들은 신경근 이상, 통증/불편감 및 근력 및 지구력의 감소로 인해 신체 활동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국소 치료, 사지 고정 및 구축은 관절 가동 범위를 제한하고 근위축을 유발하여 신체 활동의 제한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환자들이 일상 활동을 수행하고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회복을 지연시키고 장기적인 합병증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화상으로 인한 신체적 상태 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Impaired Physical Mobility)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
환자는 자신의 최적 신체 기동성을 달성 할 수 있다. 
환자는 독립적 똑는 최소한의 도움을 받아 일상생활 활동(ADL)을 수행 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중재
(Planning & Implementation)
중재계획(Nursing Planning) 이론적 근거(Rationales)
1. 환자의 손가락 순환 및 운동, 감각을 주기적을 사정한다. 

2. 환자 체위를 주기적으로 변경한다 
-  근위축과 욕창 및 관철 구축의 예방을 위해 환자를 적절한 자세로 체위 변경 한다. 
- 베게, 쿠션 또는 장비를 사용하여 화상부위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 혈액 순환 및 욕창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주지적으로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 관절 부위의 화상에 대해 적절한 체위를 조절하고 유지한다. 

3. 환자의 기동성과 일상생활 활동(ADL) 수행 능력을 평가한다. 
 - 화상 부상이나 부종이 완화됨에 따라 운동기능을 지속적으로 평가한다. 

4 .화상 부상에 대해 허용되는 범위에서 안전한 이동 및 이송을 지원한다. 
- 필요시 보조기구(보행기)를 사용한다.
- 이동 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4. 장기간의 신체 활동 불가로 인한 피부 손상 및 혈전 정맥염 예방 조치를 시행한다. 
- 필요시,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보습한다. 
- 압력 완화 장치(젤 메트리스) 사용한다.
- 압박스타킹 및 DVT 적용한다. 

5. 수동적 또는 능동적 보조 ROM 운동을 수행한다. 
- 관절 가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능동적 또는 수동적인 ROM 운동을 수행합니다. 환자의 가능한 경우 능동적인 참여를 장려합니다. 환자가 허용하는 한 운동의 강도와 빈도를 서서히 증가시킵니다.

6. 환자의 통증 수준을 평가하고 통증 관리의 효과를 평가한다. 
- 활동 전에 통증 유무를 사정하고 통증이 있을 경우, 처방된 통증 약물 투여한다. 
- 자세 조절, 주의 전환 및 이완 기법 같은 비약물적 통증 관리 중재를 활용 한다. 

7. 환자의 재활간호 계획의 수립하고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통해 환자의 근력을 회복시킨다. 

1.
화상 환자들에서는 손가락의 순환, 운동 및 감각을 자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상 부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종은 말단 부위의 순환을 저해할 수 있으며 조직 사멸 및 구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의 순환, 운동 및 감각을 정기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순환 저하의 조기 증상을 감지하고 손가락이나 사지의 손실과 같은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화상 환자의 간호 계획에 손가락의 평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화상 환자에게는 특히 관절 부위에서 적절한 체위 조절이 중요합니다. 이는 사지의 기능적인 위치 조정을 촉진하고 손상 및 일상 활동에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구축을 예방합니다. 최적의 결과를 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3. 개별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여 화상 부상 수준에 따른 간호중재 계획을 세울 수 있다. 


4.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며,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5
- 운동은 정맥 환류를 증가시키고 경직을 예방하며, 근력과 체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보조기구 사용을 방해 할 수 있는 근위축을 방지한다.
- 화상 후 초기에 가능한 일찍 관절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다. 가능한 활동범위가 넓어질수록 운동의 자율성이 확대되어 외상으로 인한 기능상실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이 줄어든다. (김지현, 2008)


 6.
- 통증 관리는 환자의 물리 치료를 용이하게 하고 기동성을 촉진하는데 필수적이다. 

- 통증은 환자의 기동성을 제한하며, 특정 동작으로 통증이 악화된다면 일시적으로 피해야한다. (ACSM, 2014)

3. 경추 척수손상의 경우 높은 비율로  말초 순환의 변화, 이동력 저하 및 근이완성 마비로 인해 혈전이 발생한다. 손상 후 2주 동안 위험이 가장 커지며 3개월간 지속된다. 

4.
- 피부손상을 방지하며, 압박 장치는 정맥 환류를 촉진하여 정맥 정체를 방지하고 다리 혈전 정맥염을 예방한다.
- 하지 또는 복부에 혈액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며, 혈관 순환을 개선하여 혈전 형성 및 폐색전증 발생률을 감소 시킨다.  

5,
- 운동은 정맥 환류를 증가시키고 경직을 예방하며, 근력과 체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보조기구 사용을 방해 할 수 있는 근육의 수축 변형을 방지한다. 근육의 수축변형은 빠르게 발생 할 수 있으며, 보조기구 사용을 방해 할 수 있다.



 6. 통증 관리는 환자의 물리 치료를 용이하게 하고 기동성을 촉진하는데 필수적이다. 
- 통증은 환자의 기동성을 제한하며, 특정 동작으로 통증이 악화된다면 일시적으로 피해야한다. (ACSM, 2014)

7.
- 화상환자의 재활간호는 신체적으로 흉터에 대한 후유증을 최소화하여 독립적인 일상생활 유지를 위한 능력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존감 저하와 같은 심리적 정서적 문제에 적절히 대처하여 일상생활 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Dodd, Fletchall, Starnes, & Jacobson, 2017). 
간호평가(Evaluation)  

 

** 재활간호 : 질병이나 외상 후 장애로 인해 신체의 일부 또는 그 기능의 일부를 상실한 대상자에게 직ㆍ간접 간호를 제공하여 현존 능력을 유지하며, 더 이상의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상실된 능력을 회복하여 대상자가 가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교육적, 직업적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독립성을 가지고 최고 수준의 질적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든 과정이다(소희영, 2007).

 

체액 부족 (Deficient fluid volume)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화상 손상으로 인한 염증 반응은 모세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체액이 주변 조직으로 누출되도록 하여 체액량 부족의 위험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체액 부족 (Deficient fluid volume)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
환자는 체액량이 정상이며 체액 부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환자는 체액 부족을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인 행동 및 조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중재
(Planning & Implementation)
중재계획(Nursing Planning) 이론적 근거(Rationales)
1. 체액 상태 평가 및 모니터링:
  - 혈압, 심박수, 호흡수 등 V/S을 주기적 모니터링하여 체액 부족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 피부의 탄력, 점막, 소변 배출량을 평가하여 수분 상태를 평가합니다.
  - 섭취량과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체액 균형을 평가합니다.
- 환자 체중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2. 처방에 따라 환자 수액치료. 
   - 환자의 체중, 화상 크기 및 전반적인 상태에 따라 적절한 유형과 속도의 체액 보충을 결정한다. 
  - 상실된 체액을 보충하고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등이온 결정질 (예: 생리식염수)과 같은 정맥 내액을 투여합니다.
   - 지속적인 평가와 모니터링에 따라 체액 보충 속도를 조정합니다.

3. 환자의 전해질 수준 모니터링:
   - 정기적으로 전해질 수준 (예: 나트륨, 칼륨)을 확인하고 체액 보충을 조정합니다.
  -  처방에 따라 전해질 보충제를 투여하여 전해질 균형을 유지합니다.

4. 환자의 통증 수준을 평가하고 통증 관리의 효과를 평가한다. 
- 통증 유무를 사정하고 통증이 있을 경우, 처방된 통증 약물 투여한다. 
- 자세 조절, 주의 전환 및 이완 기법 같은 비약물적 통증 관리 중재를 활용 한다. 
    
5. 환자의 상처 치료와 보호:
    - 감염과 추가적인 체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화상 상처를 적절하게 드레싱하고 붕대로 보호합니다.
    -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처 관리 중 무균 기법을 사용합니다.

6. 환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고열량 식이를 제공한다. 
  -  구강 섭취가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경장영양 또는 경정맥 영양을 투여합니다.

7. 환자와 가족 교육:
  - 체액 균형의 중요성과 체액 부족의 증상에 대해 교육합니다.
  -  환자와 가족이 섭취량과 배출량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 상처 치유를 지원하기 위해 영양과 위생을 유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8. 후속 조치 및 평가: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한 반응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필요한 간호중재를 수행합니다.
   - 감염, 상처 치유 부진, 전해질 불균형과 같은 합병증을 모니터링합니다.
1.
- 체액부족으로 인한 V/S의 변화로는 빈맥, 빈호흡, 처음에는 맥박압의 감소, 이후 저혈압, 맥박 볼륨(pulse volume)의 감소, 체온의 증가 또는 감소 등이 있습니다 (Wagner & Hardin-Pierce, 2014).
-
섭취량과 배설량(Intake and Output)의 기록은 24시간의 모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함으로써 대상자의 수분균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손정태 외, 2010), 진단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 수분 전해질 불균형이 유발 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을 가진 대상자들의 수분 균형 상태를 정확하 게 사정하는 것은 비록 간단하더라도 체온이나 혈압을 측정하는 것만큼 중요하다(신 숙희 외, 1998).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특히 소변 배출량이 감소하거나 활동적인 체액 손실이 있는 경우 갑작스런 체중 감소에 주의해야 합니다. 체중 변화 1kg(2.2 lb)는 1L의 체액 손실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Wagner & Hardin-Pierce, 2014)
-체중에 대한 사정은 수분 균형의 자료로 제공되며 체중의 급격한 변화는 체액의 변 화를 나타낸다. 1kg(2.2lb)의 체중증가나 감소는 각각 1L 수분의 축적과 소실과 같 다. 전체 체중의 5~8%의 빠른 증감은 중등도 내지 중증의 체액부족 또는 과다를 나타 난다(손정태 외, 2010).

-체액 균형 상 태를 사정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즉, 혈청, 소변의 삼투질 농도, 혈청 나트륨 농축도 및 나트륨이뇨 펩티드 (natriuretic peptide) 등의 임상검사, 그리고 체중, 섭취량과 배 설량(intake & output, I&O), 배변 횟수 등의 객관적이고 비침 습적인 사정 방법, 마지막으로 피부탄력이나 갈증, 점막 습도 등의 주관적인 관찰방법이 있다(Kim, 2011; Popowski et al., 2001; Shirreffs, 2003). 최근에는 더 정확도가 높은 비침습적 방법으로 생체 임피던스 분석(bioimpedance analysis) 검사가 이용되고 있다(Kim, 2011; Yamaguchi, Yamauchi, Hazama, & Hamamoto, 2000).

2. 
Fluid replacement therapy ; 총 체표면적의 15% 이상의 화상 환자에게 사용 화상 크기, 깊이, 연령, 탈수상태, 기저질환 등 고려
 Brooke’s formula
- lactated ringer’s solution ; 2.0mL/Kg/%.(처음 24시간 동안 총 수액 요구량) 처음 8시간 동안 1/2, 그 후 16시간 동안 1/2 투여
- colloid solution(albumin) ; 0.3~0.5mL/kg/%,
Parkland(Baxter)
- lactated ringer’s solution ; 4.0mL/Kg/%(처음 24시간 동안 총 수액 요구량)

- 처음 8시간 동안 1/2 투여, 그 후 8시간 마다 1/4씩 투여
3.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에는 Ladwig(2013)의 Nursing Diagnosis Handbook: An Evidence-Based Guide to Planning Care와 차영남 외, (2013)의 NANDA 간호진단과 중 재 가이드 중 체액 불균형의 위험성,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성, 체액 과다, 체액부족 이 있다. 이는 체액상실, 증가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의미 할 수 있는 혈관 내, 간질, 세포 내액의 감소, 증가 혹은 급속한 변화를 일으킬 위험성, 혈청전해질 수준의 변화 가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4. 통증 관리를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감소시키고 대사 요구 증가로 인한 체액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5.
Dressing on burn wound

1)  Open Method ; 항생제 연고 도포 후 화상부위를 공기에 노출
- 삼출물 건조, 딱딱한 가피 형성 → 상처 자체를 보호
- 장점: No painful dressing changes. 상처부위 직접 관찰 가능
- 단점 : 손과 발 화상에는 부적합. 체온 유지가 어려움. 환자 이동 시 주의

2) Closed Method ; 항생제 연고를 도포 후 멸균된 거즈, 붕대 등 사용하여 차단 - 관절 및 사지 고정, 상처로부터 배농 증진, 오염 방지
- 장점 ; 상처의 보호. 외부 미생물 침입 차단. 손, 발 등 적용 가능
- 단점 ; 교체 시 이차적 상처 및 통증 유발 가능, 직접적인 관찰 불가능

6. 증발된 열과 수분은 대사율과 이화작용의 비율을 증가시켜 칼로리 소비를 증가 시킴
→ 상처의 크기에 비례하여 대사항진상태 발생 → 화상 손상 수시간 내 공격적인 영양 보충
→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감소

7. 
체액 부족의 징후와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장기간의 부족한 체액량은 인지 기능 저하, 쇠약, 빈맥, 혈역학 불안정 및 신장 손상을 포함한 합병증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Popkin et al, 2010).




간호평가(Evaluation)  

 

참고문헌

-오다나. "화상전문 병원 간호사의 급성기 화상환자간호 직무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8. 서울

-김영민. "화상환자가 인식한 치료시기별 재활간호 요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1. 서울

- 김진희.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 중환자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2017.서울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