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조현병 문헌고찰
조현병 간호진단
간호계획에서 조현병을 위한 목표는 조현병을 인지하고 양성 및 음성 증상을 평가하며 신뢰와 유대감을 확립하고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또한 의사소통을 개선하고 기능 수준을 극대화 및 사회 기능을 향상시켜 대처 전략을 개발하며, 규칙적인 약물 복용을 장려하여 지원체계을 평가합니다..
다음은 조현병을 위한 6가지 간호진단(Nursing Diagnoses)입니다: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조현병 환자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 간호진단은 언어적인 표현, 이해, 발화 능력의 손상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의사를 이해하고, 환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Impaired Social Interaction)
: 조현병 환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 간호진단은 환자가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사회적인 관계를 재구축하도록 도와주며, 사회적 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키는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상해의 위험 (Risk for Injury)
조현병 환자는 신체적인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간호진단은 자해 또는 타해, 혼란, 무지갯빛 현상 등으로 인해 환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위험 상황을 평가하고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사고과정 장애 (Disturbed Thought Process)
조현병 환자는 사고과정에 이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간호진단은 환자의 사고, 인지, 판단, 현실 인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사고과정을 평가하고, 현실과의 연결을 돕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방어적 대처 (Defensive Coping):
조현병 환자는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방어적인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간호진단은 환자가 적절하지 않은 방어적 대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현실과의 조화를 어려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호사는 환자가 적절한 대처 전략을 개발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도록 돕는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가족 과정 중단 (Interrupted Family Process):
조현병 환자의 가족은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의 조현병으로 인해 가족적인 기능과 상호작용에 중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간호진단은 조현병 환자를 가진 가족이 가족 시스템의 일상적인 동작, 상호작용,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호사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 개선, 지원 시스템 활용,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재구축을 지원하여 가족적인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간호진단을 사용하여 조현병을 관리하기 위한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정의
기호(symbols) 체계를 받고, 처리하고, 전달하고 사용하는 능력이 감 소되거나 지연되거나 없는 것
정의적 특성
■ 눈 맞춤이 없음
■ 의사소통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예: 언어상실증(실어증), 언어장애증, 실행증, 읽기장애
■ 문장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단어를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예: 발성불능, 발어장애, 구 음장애)
■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몸짓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얼굴표정을짓는데어려움이있음
■ 일상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데 어려움이 있음
■ 말로 표현하지 못함
■ 사람에 대한 지남력 상실
■ 장소에 대한 지남력 상실
■ 시간에 대한 지남력 상실
■ 말을 하지 않음
■ 호흡곤란
■ 말을할수없음
■ 돌봄제공자에게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없음
■ 몸짓으로 표현하지 못함
■ 얼굴 표정을 짓지 못함
■ 말로 부적절하게 표현함
■ 부분적 시각장애
■ 말하는 것을 거부함
■ 불명료한 언어
■ 말을 더듬는 것
■ 완전한 시각장애
■ 말을 따라하지 못함
관련 요인
■ 중요한 사람이 없는 것
■ 발달 변화
■ 지각 변화
■ 자아개념의 변화
■ 중추신경계 손상
■ 문화적으로 맞지 않음
■ 정서 혼란
■ 환경적 장애물
■ 불충분한 정보
■ 불충분한 자극
■ 낮은 자존감
■ 구강인두 결손
■ 신체적 장애물(예: 기관절개술, 기관내삽관)
■ 생리학적 상태(예: 뇌종양, 뇌순환 저하, 약화된 근골격계)
■ 정신병 질환
■ 치료요법
■ 취약성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 ||
간호계획 및 중재 (Planning & Implementation) |
중재계획(Nursing Planning) | 이론적 근거(Rationales) | |
1. 환자의 지리멸렬한 말들이 만성적인지, 증상 악화로 인해 급성으로 나타난 것인지 평가한다. 2. - 환자와 의사소통 시 목소리를 낮게 유지하고 최대한 천천히 말하며,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을 사용하여 지시한다. -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문자 그대로의 설명을 사용한다. 3. 가능한 한 환자에게 조용하고 자극이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4. 환자와 의사소통시, 환자가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경우, 환자에게 이해의 어려움을 표현한다. - 불분명한 의사소통 패턴을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당신이 의미하시는 건 ... 맞나요?" 또는 "그게 무슨 의미인지 이해하지 못했어요. 좀 더 명확히 설명해 주시겠어요?"라고 말함으로써 확인과 명확화를 요청하세요. 5. 환자와 라포형성을 하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한다. 6. 환자와 의사소통시 가족을 참여하게 한다. 7. 환자에게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제공한다 - 일상 생활의 중요한 활동과 의미 있는 작업에 집중하기 - 비합리적인 생각을 합리적인 생각으로 대체하기 - 심호읍 운동 수행하기 - 진정을 도와주는 상상 및 음악 듣기 - 의료진, 간병인, 가족 또는 다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
1. 기준선을 수립하는 것은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기초가 됩니다. 지리멸렬한 말을 측정 할 때는 기본적으로 의사 결정 장애에 초점을 두지 않고 의사소통 장애에 초점을 맞춘다. 의사소통 장애는 신뢰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평가 할 수 있으며, 조현병을 가진 직계 가족들에서 높게 나타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Merrill 등, 2017) * (Merrill 등 2017) 이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직계 가족들에서 의사소통 장애가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조현병과 관련된 유전적 요인이 의사소통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의 가족들의 의사소통 장애를 평가함으로써, 조현병과 관련된 유전적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 고음/시끄러운 목소리 톤은 불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천천히 말하는 것은 이해를 돕는다. - 조현병 환자는 간단한 문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질문에 답하기 전에 사고 정지를 보일 수도 있다. - 조현병 환자는 추상적인 사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속담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에 특이한 해석을 할수 있다. (Frankenburg & Xiong, 2021). 3. 조용하고 차분환 환경은 환자의 불안이 고조되고 혼란과 환각/환청이 심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레스와 불안은 환청, 환각, 그리고 다른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 이로 인해 통증이나 장애를 유발 할 수 있다. 조용하고 차분한 환경을 통해 감각 과부화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분위기를 제공 할 수 있다. 4. 이해하는 척은 환자의 신뢰 형성을 제한하고 신뢰를 줄입니다. 환각이나 망상한 관찰에 대해 논쟁하는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대신 편견을 갖지 않고 환자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Smith & Bressler, 2022). -이러한 기술은 간호사가 환자를 이해하지 못한 책임을 받아들이는 동안 환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5. 간호사와 환자 간에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신뢰가 필요합니다. 신뢰는 치료적 의사소통의 구현에서 발생합니다. 시작부터 구축된 신뢰는 안락감을 조성하고 치료적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신뢰 관계를 구축하면 환자와 간호사는 마주치는 문제에 대해 보다 열린 태도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Siregar et al., 2021) 6. 가족은 종종 환자와 가장 잘 소통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환자가 말하려는 내용을 간호사에게 가르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항상 환자에게 직접 말해야 하지만 정보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가족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7. 점차적으로 환자가 효과적인 인지적 사고와 기능적 언어를 달성하도록 돕습니다. 조현병 환자에게 나타나는 부정적인 생각의 왜곡은 정신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불안, 우울 및 심지어 자살 충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Siregar 등, 2021). |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Impaired Social Interaction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정의
사회적 교류의 양이 불충분하거나, 지나치거나 또는 질이 비효과적 인 것
정의적 특성
▪ 사회적 상황에서 불편감
▪ 사회적으로 약속된 업무에 대한 불만족(예: 소속, 돌봄, 흥미, 역사의 공유)
▪ 타인과의 비기능적 상호작용
▪ 가족 내 상호작용 변화를 표현함(예: 유형, 양상)
▪ 사회적 기능 장애
관련 요인
■ 중요한 타인이 없음
■ 의사소통 장애물
■ 자아개념 장애
■ 사고과정 장애
■ 환경적 장애물
■ 기동성 장애
■ 상호성을 향상하는 방법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
■ 상호성을 향상하기 위한 불충분한 기술
■ 사회문화적 부조화
■ 치료적 고립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Impaied social interaction | ||
간호계획 및 중재 (Planning & Implementation) |
중재계획(Nursing Planning) | 이론적 근거(Rationales) | |
1.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한다. - 개인의 현재 사회적 기능 수준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특정한 장애 영역을 파악합니다. - 개인의 사회 기술, 의사소통 및 관계에 대한 강점과 한계를 확인합니다. 2. 환자와 치료적인 관계 형성한다. - 안전하고 지원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개인과 신뢰와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 개인의 경험과 요구를 이해하기 위해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적극적인 청취를 장려합니다. 3. 환자에게 조현병 관련하여 교육 및 정보를 제공한다. - 개인과 가족 구성원에게 정신분열증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 정신분열증 증상, 질병의 경과 및 가능한 치료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정신분열증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나 편견에 대해 해소한다. 4. 환자에게 사회 기술 훈련을 교육하고 중재한다. - 개인의 타인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 기술 훈련을 시작합니다. - 대화 시작 및 유지, 적극적인 청취, 비언어적 의사소통, 갈등 해결 등의 기술을 가르칩니다. - 롤플레이 연습, 모델링 및 피드백을 활용하여 사회 기술을 연습하고 강화합니다. 5. 환자에게 그룹 치료를 참여하도록 한다. - 사회 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특화된 그룹 치료 세션에 참여를 장려합니다. - 지원적이고 구조화된 환경에서 개인이 사회화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동료 지원 및 피드백을 강화하여 사회적 학습을 촉진하고 소속감을 제공합니다. 6. 인지-행동 치료 (CBT): - 인지적 왜곡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사고 패턴을 다루기 위해 CBT 기법을 활용합니다. - 개인이 스스로와 타인에 대한 비도움적인 신념이나 가정을 인식하고 도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상호작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사회 불안이나 편집 생각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합니다. 7. 의사 처방에 따라 약물 투여. - 정신과 전문의와 협력하여 개인의 약물 처방이 적절하고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 -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 복용 준수도와 부작용을 모니터링합니다. - 증상 관리를 최적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약물을 조정합니다. 8 .사회적 지원과 지역 사회 통합: - 가족, 친구 또는 동료들이 그들의 상태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합니다. - 사회적 참여와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사회 활동, 지원 그룹 또는 직업 프로그램 참여를 장려합니다. -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자원봉사 또는 사회 클럽 참여 기회를 탐색합니다. 9. 가족 참여 및 지원: - 가족 구성원들을 개인의 치료 과정에 참여시켜 지원을 제공하고 그들의 도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전략과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가족 구성원에게 교육을 제공합니다. - 가족 치료 또는 지원 그룹을 제공하여 가족의 역동성을 다루고 대처 기술을 강화합니다. 10. 정기적인 추적 및 모니터링: -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우려 사항을 해결하며 치료 계획을 필요에 따라 조정하기 위해 정기적인 추적 약속을 예약합니다. - 개인의 사회적 기능, 증상 심각도 및 전반적인 웰빙을 모니터링합니다. - 개인의 치료에 관여하는 다른 의료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조정되고 종합적인 접근을 보장합니다. |
1. 환자와 주변 중요 인물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합니다 (Wand, 2010) 2. 조현병 환자는 타인을 믿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생각을 인정하고 경청함으로써 간호사는 유대감을 형성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3. -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지지체계 특성으로 가족지지 등을 들 수 있다. 회복과정에서 조현병 환자에게 가족이란 존재 자체만으로 든든한 지지체계 이며, 편견의 벽을 넘어 사회생활을 하도록 격려해 주는 사회 적응에 있어서의 중요한 요소이다(Byun & Jun, 2009).
4 -사회 기술 훈련은 환자가 사회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적응하고 기능을 발휘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사회적 과정과 관련된 능력은 사회 인지라고 불리며, 사회적 신호를 인식하고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공유하며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추론하는 등의 과정을 포함합니다. 사회 인지는 사회적 장애와 강한 연관성을 가지며, 사회 인지 능력은 대인 상호작용과 생산적 활동을 위한 기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Green et al., 2018).. - 사회 인지 훈련은 정신병이나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사회 기능을 개선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Henderson, 2013). 5. - 적극적인 사회 지원 프로그램은 가족, 친구 및 지인들 사이의 유대 관계를 회복하거나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empier 등, 2012). 7. - 조현병의 양성 증상 중 많은 부분(환각, 망상, 급속사고 등)은 약물 복용으로 인해 완화되며, 이는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합니다. 연구 데이터는 지속 투여형 주사제(risperidone LAI)가 경구용 risperidone에 비해 재발 및 증상 통제 측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환각과 망상을 더 잘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rankenburg & Xiong, 2021). -조현병 환자들의 약물이행 정도는 대체로 낮게 보고되고 있으며 조현병 환자의 75% 이상은 18개월 내 치료를 중단하며 이 중 30%가 약 물 중단을 스스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고(Liberman et. al, 2005), 약물이행을 중단했을 경우 1년 이내 78%, 2년 이내 96%의 환자가 재발과 악화를 경험한 것 으로 보고된 바 있다(Gitlin et al., 2001). 이러한 조현병 환자의 약물 불이행은 정신질환의 재발과 증상의 악화, 재입원율의 증가의 부정적 치료예후와 연관이 되므로(홍미나, 2004) 안정적인 항정신병약물의 꾸준한 복용이 필요하다(왕희령 외, 2010) 8. SCIT와 사회적 멘토링을 사용한 무작위 대조 연구는 사회 인지 및 사회 기능이 향상된 것을 입증했습니다. 이 연구는 사회적인 심각한 정신질환을 가진 개인들이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사회 인지와 사회 기능이 개선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Hasson-Ohayon et al., 2014). 9. 직접적인 지원과 자원을 받은 환자들은 정신적 증상, 사회 기능 및 자기 효능감의 개선과 함께 더 나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Sono 등, 2012). |
사고과정 장애 Disturbed Thought Process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간호진단 : 사고과정 장애 기대되는 결과 : 가능한 한 최적의 기능 수준에서 살고 배우며 일할 수 있을 것이다. |
||
단기목표 | 간호중재 | 이론적 근거 |
환자는 구체적으로 계획된 시간에 간호사와 만남에 참여할 것이다. | - 간호사와 환자의 관계는 상호 합의 하에 접촉이 시작된다. - 환자와의 접촉은 짧게(5~10분) 자주 만나고 점차적으로 만남의 기간을 늘린다. |
신뢰관계의 형성은 개방적인 의사소통에 기본이 된다. 사고과정 장애가 있는 환자는 긴 상호작용을 견딜 수가 없으며 구조화된 환경에서 잘 기능할 수 있다. |
환자는 망상과 기타 변화된 사고 과정을 이야기 할 것이다. | - 돌봄과 관심의 태도를 보여야한다. - 환자와 함께 의사소통의 의미를 확인한다. - 현실과 내적 사고과정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돕는다. |
환자는 증상에 대한 타인의 반응에 아주 민감하다. 존중하고 관심을 기울이는 접근은 환자가 자신의 무서운 사고, 괴이한 사고를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믿을 수 있는 사람이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환자는 뇌의 질환이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이야기 할 것이다. | - 조현병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환자의 행동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토의한다. - 교육적인 모임에 중요한 타인으로 참여한다. |
사고과정 장애에 대한 생리적 근거의 이해는 증상을 인식하고 질병을 조절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할 수 있다. 중요한 타인이 질병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면 낙인을 덜 경험할 것이다. |
환자는 재발의 경고신호를 인식하고 재발 예방을 위한 행위를 취할 것이다. | - 환자와 중요한 타인이 재발을 위협하는 사고과정 장애와 관련된 행동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 지역사회 자원을 인식하고 재발 예방에 대한 행위를 계획한다. |
환자와 가족이 경고신고에 민감하다면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조기 중재로 환자는 질병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 가족은 증상을 인식하도록 돕고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지지자로 도움을 줄 수 있다. |
참고 문헌
- https://www.thenursepage.com/nursing-care-plan-for-schizophrenia/
- https://nurseslabs.com/schizophrenia-nursing-care-plans/2/
-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 Classification, 2021-2023
- Nursing Diagnosis Handbook_ An Evidence-Based Guide to Planning Care
- 김덕진 and 유석분. (2022). 조현병 대상자에게 적용된 국내 간호중재 연구의 분석적 고찰. 보건과 복지, 24(3), 279-301.
- 김미영 and 전성숙. (2012).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1(2), 108-117.
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
간호정보 더보기
'케이스스터디 > 정신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장애 정의 및 종류 [정신간호학] (1) | 2023.06.21 |
---|---|
불안장애 환자 사례 발표 보고서 [정신간호학] (0) | 2023.06.11 |
우울증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0) | 2023.05.24 |
환경요법 (Milieu Therapy) [정신간호학] (0) | 2023.05.05 |
대상자 대화진행 기록표(4) [정신간호학 실습] (0) | 2023.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