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 및 약품관리 1) 경구투약 2) 정맥주사 3) 피내주사 4) 피하주사 5) 근육주사 6) 인슐린 1. 경구투약 (Oral Medication) 5R 투약 원칙의 준수 ⓵바른약물(Right Drug) ⓶정확한용량(Right Dose) ⓷바른투여방법(Right Route) ⓸바른투여시간(Right Time) ⓹정확한 환자 (Right Patient) 2.정맥주사 (Intra-Venous Injection) 적응: 구강섭취가 불가능한 경우,신속한 약물 효과를 기대할 경우,약물이 조 직괴사를 일으킬 경우 합병증: 염증,침윤,정맥염,혈전,색전,전신적 감염 교환시기 : 48-72시간마다 교환 정맥염(phlebitis)관찰 ①발적,부종,궤양 부위에 주사를 금한다. ②약물 투여전 정맥 개방상태를 확인한다. 삽입및..
검사간호 [1] 초음파 [2] CT (COMPUTER TOMOGRAPHY) [3] 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 ) [4] Barium Enema [5] IVP (Intravaneous Pyelogarpy) [6] Bone Scan [7]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8] 위 내시경 (G-fiber) [9] 대장 내시경 (C-fiber) [10] 기관지내시경 (Bronchoscopy) [11]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tography) [12] 흉곽천자 (Thracentesis) [13] 복막천자(Paracentesis) [14] 요추천자(Lumbar puncture) [15] 골수천자(Bo..
항암제 안전관리 1. 항암제의 특성 -독성 화합물, 발암성, 변이 유발성, 기형 작용 2.안전 관리의 목적 (1) 병원 직원, 환자, 환경 등이 잠재적으로 위험한 요소들이나 불필요한 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함 이다. (2) 병원직원들이 항암제 폐기물을 취급하거나 처리 할 때 바르고 안전한 방법을 시행 하도록 지침을 제공해 주기 위함이다. (3) 무균상태로 조제된 항암제가 안전하게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함이다. 3. 항암제 취급 시 안전관리 지침 (1) 목적 ⓐ항암제 독성 물질의 고유한 성질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절차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독성 물질의 안정한 사용과 제조, 투약의 안전한 절차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2)항암제 준비 ⓐ항암제 준비는 biologic safety c..
제2형 당뇨병 치료 알고리즘 경구할당강하제와 GLP-1 수용체 1. 경구혈당강하제와 GLP-1 수용체 유사체(주사제) 작용기전 용법 체중증가 저혈당 A1c감소 부작용 주의점 Sulfonyurea Amaryl, Diamicron, Diamicron MR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증가 식사 30분전 복용 (1~2회/일 복용) 있음 있음 1~2% 관절통, 관절염, 요통, 기관지염 중증 간, 신장애, 이차실패 Biguanide Glucophage, Metgreen, Diabex 간 당생성 감소, 말초인슐린감수성 개선 식사와 함께 복용 소량부터 시작 없음 없음 1.0-1.5% 소화기 장애(식욕감퇴/오심/구토/설사) 젖산증, 비타민 B12결핍 중증 간, 신장애, 중증감염, 탈수, 심폐부전시 금기 (Cr 남자 ..
당뇨병의 정의 포도당 대사 이상에 의해 일어나는 대사질환 고혈당이 장기간 지속되면 눈, 신장, 신경, 뇌혈관, 심혈관, 말초혈관 등에 장애가 발생되는 만성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인슐린 생산 장애, 베타세포의 파괴, 자가면역 등의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작용의 장애인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발생한다.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 •과체중 (체질량지수 23kg/㎡ 이상) •직계가족(부모, 형제자매)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력 •임신성당뇨병이나 4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고혈압(140/90mmHg 이상, 또는 약제복용 •HDL 콜레스테롤 35mg/dL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mg/dL 이상 •인슐린 저항성 (다낭성난소증후군, 흑색가지세포증 등) •심혈관질환 (뇌졸중, 관상동맥질..
감염환자 간호 및 관리 방법 1. 표준 주의 (standard precaution) 1. 손씻기의 목적 외과적 손씻기: 손의 오물과 일시적인 정착균을 제거 한다. 내과적 손씻기: 손의 일시적인 정착균을 제거하거나 파괴하며 상재균을 감소시킨다. 2. 손을 씻어야 하는 경우 *일반 비누와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 (1) 눈에 보이는 단백질 류 오염이나 혈액, 기타 체액에 오염 시 (2) 환자와 직접 접촉하기 전 (3) 중심 정맥관 삽입 시 멸균 장갑 착용 전 (4) 유치 도뇨관, 말초 혈관 삽입 전이나 외과적인 시술이 요구되지 않는 침습적 처치시 (5) 환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 한 후 (6) 환자의 체액이나 분비물, 점막과 접촉 시 (7) 동일한 환자라도 오염 부위에서 청결부위로 이동시 (8)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