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환자 간호의 개념 - 중환자 간호는 생명을 위협하는 건강문제에 대한 인간 반응을 다루는 특수화된 간호영역임(미국중환자간호사회, AACN) - 중환자란 실제적 혹은 잠재적인 건강문제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성이 큰 환자를 의미함 → 중증도가 높을수록 환자는 더 불안정해지고 위험해지므로, 24시간 집중적인 간호가 요구됨 - 과거에는 중환자 간호가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는 간호의 의미로만 사용됨 → 최근의 중환자 간호는 위기상황을 맞는 환자가 있는 모든 곳에서 요구되는 간호로 확대됨 - 성인내외과중환자실(MICU, SICU), 소아중환자실(PICU), 신생아중환자실(NICU), 관상동맥집중치료실(CCU), 준중환자실(subICU) - 중환자 간호의 대상 : 급∙만성 문제를 가진 중환자가 주요 대상자이..
인공신장실에 대한 소개 1. 병동에 대한 구조 및 기능 인공 신장실은 외래환자 및 입원환자를 위한 혈액 투석시설을 갖추고 있다. 혈액투석실 병상과 격리실 병상으로 나누어 있었으며, 혈액투석실 병상은 3구역으로 나누어있었다. 그리고 투석시간이 지루하지 않도록 각 베드마다 천장에 TV를 설치해 놓여저 있었다. OO병원 인공신장실에서는 혈액투석만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신대체요법 중 복막투석 및 신장 이식은 각 각의 분야별로 복막 투석실 및 신장이식센터로 나누어 환자들 처치가 이루어져 있었다. 투석은 오전 7:00~11:00 , 오후 13:00~17:00 이렇게 오전 오후 나누어서 진행되며 아래의 병상 사진은이해를 위해 OO병원 인공신장실 사진을 첨부하였다. 2. 투석 시 필요한 물품의 관리와 보관 투석에 필요..
피부의 구조- 피부는 신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 사람 몸무게의 2.5~3.5kg 정도의 무게와 약 1.8m^2 이상의 면적을 가짐- 표피,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 피부 내 살아있는 세포들은 피부의 작은 혈관들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음. 피부의 구조 - 표피(Epidermis) - 피부의 가장 바깥층 - 혈관이 분포 되지 않아서 진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 받음 - 4~5개 하위층으로 구성 :각질층 : 측은(keratainocyte)세포로 채워져 있음피부의 pH와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 투명층과립층 : keratinocyte라고 알려진 미립이 존재가시층기처층(배아층) : 표피와 진피 연결. 랑게르한스 세포 존재 * 랑게르한스 세포 (Langerhans'cell) : 면역기능 담당- 지..
정맥주입의 목적-Fluid와 electrolyte의 유지 및 교정-Hemodynamic status의 유지 및 교정-Nurtitional balance의 유지 및 교정-약물 전달 통로-채혈-심혈관계 압력 층정의 경로 정맥주입과 관련된 해부 및 생리 (1) 혈관의 구조와 기능1) 동맥 : 밝은 붉은색의 혈액이 흐르며 맥박 존재 구조- 내막 : 내피세포의 부드러운 층으로 구성된 탄력있는 안쪽 층- 중막 : 근육의 탄력 조직으로 구성 혈관의 압력을 견디고 수축을 예방하는 강한 층혈관을 수축/이완 시키는 신경 섬유가 있음- 외막 : 성긴 결합조직을 구성되어 보호역할을 하는 두꺼운 바깥쪽 층 기능 - 산화된 혈액을 심장으로 부터 신체 각 부위로 전달 2) 정맥 구조- 내막 : 탄력 내피층, 내피의 반달주름이 판막..
항생제 사용의 일반적인 원칙 "가능한 한 의심되는 원인균을 목표로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항생제를 사용" 항생제 기전 1. 세포벽 합성 억제 - beta-lactam, glycopeptide 2. 단백질 합성억제 - Macrolide, Clindamycin, tetracycline aminoglycoside, linezolid 3. 핵산 (DNA) 합성 억제 - Quinolone, Rifampin, Metronidazole 각 항균제의 작용범위 - 페니실린은 그람 양성균 치료 목적으로 개발됨 - 새로 되어진 페니실린 항균범위가 넓어져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균까지 항균이 가능함. - 페니실린 V,G : 현재로서 매독, 감염성 심내막에서만 국한적으로 사용 - 아미노 페니실린 : 그람양성균 ..
Normal Plasma Glucose Values Fasting plasma glucose 둔부 올바른 주사방법 (pinch-up)- 45~90도 각도로 정확히 피하지방에 주사- Pinch-up(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만 사용해서 )- No pinch-up시는 45도 각도로 주사참고 : https://www.dafneonline.co.uk/forums/1/topics/2155 저혈당- 40~50 mg/dl 이하- 당뇨환자: 70mg/dl 미만짧은 시간 내에 혈당이 전 혈당보다 50%이하로 떨어진 경우 저혈당의 증상- 공복감- 현기증, 피곤함 ,두통- 식은땀- 심장박동 증가, 안절부절- 의식의 변화- 혼수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