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감염환자 간호 및 관리 방법

RNSONG 2023. 2. 21.
반응형

감염환자 간호 및 관리 방법

1. 표준 주의 (standard precaution)

< 손씻기 >

1. 손씻기의 목적

외과적 손씻기: 손의 오물과 일시적인 정착균을 제거 한다.

내과적 손씻기: 손의 일시적인 정착균을 제거하거나 파괴하며 상재균을 감소시킨다.

 

2. 손을 씻어야 하는 경우

*일반 비누와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

(1) 눈에 보이는 단백질 류 오염이나 혈액, 기타 체액에 오염 시

(2) 환자와 직접 접촉하기 전

(3) 중심 정맥관 삽입 시 멸균 장갑 착용 전

(4) 유치 도뇨관, 말초 혈관 삽입 전이나 외과적인 시술이 요구되지 않는 침습적 처치시

(5) 환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 한 후

(6) 환자의 체액이나 분비물, 점막과 접촉 시

(7) 동일한 환자라도 오염 부위에서 청결부위로 이동시

(8) 환자의 직접 근접한 무생물 환경을 접촉한 후

(9) 장갑을 벗은 후

(10) 식사 전, 화장실 사용 후

 

*물 없이 사용하는 알코올제제를 이용한 손씻기

눈이 보이는 오염이 없을 경우에는 피부 세균수 감소를 위해서 정규적으로 물 없이 문질러 사용하는 알코올 제제로 손을 닦는다.

 

*손씻기 방법

1) 물 없이 사용하는 알코올 제제를 이용한 손씻기

한 손바닥에 소독제를 덜은 후 양손으로 소독제가 마를 때까지 손과 손가락 표면을 모두 문지른다.

2)비누와 물을 이용한 손씻기

(1) 시계, 반지 등을 제거한다.

(2)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찰 하면서 닦는다.

(3) 손바닥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문지른다.

(4) 손바닥을 마주대고 손가락 사이를 닦는다.

(5) 손가락 끝으로 다른 손의 바닥을 비빈다.

(6) 한손에 엄지를 거머지듯이 쥐고 회전 하면서 문지른다.

(7) 손톱을 다른 손바닥에 마찰 하듯이 문지른다.

(8) 흐르는 물로 헹구고 손을 밑으로 늘어트려 손가락 끝으로 물이 흐르도록 한다.

(9) 종이 타올로 물을 닦고 자동이나 발로 잠그는 수도꼭지가 아니면 닦은 종이타월로

수도꼭지를 잠근다.

 

<장갑 착용>

접촉하는 혈액, 체액, 배설물, 점막, 손상된 피부에 접촉할 때 눈에 보이는 오염 예방과 보호막을

제공 하고 의료진 손의 미생물이 침습적 시술을 하는 동안 환자에게 전파되는 기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환자배치>

독방은 환자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거나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고 미생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감염관리 지침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직접, 간적 접촉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감염된 환자 이송>

전파 가능성이 높고 유행 발생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에 감염된 환자는 되도록 환자의 방에서 나오지 않도록 하며 미생물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한 후에만 병실을 나올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마스크, 보안경, 안면 가리개의 사용>

마스크는 코와 입을 덮을 수 있어야 하고 보안경이나 안면 가리개는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등이 튈 수 있는 환자 치료와 간호 중 의료인의 눈이나 코, 입의 점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보안경은 한번 사용 후 적절한 소독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스크와 안면 보호기가 함께 부착되어 있는 1회용 물품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다.

 

<가운 착용>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등이 의료인의 피부나 의복에 묻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운을 입게 되며 가운은 방수성이어야 하고 다리를 덮어야 하며 신발은 보호 할 수 있는 신발 덮개를 포함한다.

 

<환자에게 사용한 의료 물품>

(1) 환자의 혈액, 체액이나 분비물로 오염된 기구는 피부과 점막 노출, 의복 오염 다른 환자나 환경으로의 미생물 전파하지 않도록 주의 한다.

(2) 재사용하는 물품은 반드시 적절한 방법으로 소독, 멸균한 후 다음 환자에게 사용한다.

(3) 1회 사용하는 물품은 분리수거한다.

 

<린넨 관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오염 세탁물은 환자, 직원, 환경으로 미생물 전파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운반, 세탁되도록 다루어져야 한다.

 

<환경 관리>

일반적인 병실의 청소는 소독제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그보다 중용한 것은 청결을 유지하는 것일 것이다. 환자의 가까운 거리에 있고 접촉이 많은 침상, 침대 난가, 침상 주변의 기구들은 바닥이나 벽보다는 좀 더 빈번하게 적절한 방법으로 청소되어야 한다. 병원 환경 청소에 사용할 수 있는 소독제는 약한 수준의 소독제들로서 4급 암모늄제제나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같은 염소계 소독제 등이다.

 

 

2.격리대상 질환

<역격리>

1) 역격리가 필요한 경우

(1)ANC (Absolute Neutrophil Count)가 500 이하인 경우

(2)항암제 또는 면역 억제제 투여로 ANC가 500 이하로 감소된 경우

(3)조혈모세포이식 등 이식 환자에게 ANC가 500 이하로 감소되거나 급, 만성 이식 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경우

(4)감염 등 합병증이 있음 HIV(+)환자

 

2) VRE(+)환자 격리

*격리 지침

(1) VRE 감염 내지 집락 환자는 1인실 격리한다.

(2) 환자 접촉 시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3) VRE 감염 내지 보균 환자가 있는 병실에 들어갈 때, 환자와의 접촉, 또는 주위 환경에 접촉할 것이 예상되거나 환자가 설사를 하거나 실금이 있거나 인공 항문을 가지고 있거나 드레싱 하지 않은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가운을 착용한다.

(4) 병실에서 나오기 전에 가운과 장갑을 벗고 소독제가 포함된 비누로 즉시 손을 씻는다.

(5) 장갑과 가운을 벗고 손을 씻은 후에 오염된 환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6) 청진기, 혈압계, 체온계 등은 따로 사용하고 다른 환자에게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소독을 한 후에 사용 한다.

(7) 새로이 VRE 환자가 발생되었을 때 같은 방을 사용하고 있던 사름의 대변 또는 직장 도말 검사를 하여 정착되었는지 확인한다.

(8) 격리 해제는 1~2주 간격으로 3번 이상 신체 여러부위에서 실시한 미생물 검사 상 음성이면 가능하다.

(9) 환자의 의무기록에 표시를 해 두어 재입원 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전원시 VRE 분리 환자라는 것을 알리도록 한다.

(10) 환자 퇴원 후에는 환자가 접촉했던 모든 환경을 환경소독제를 이용하여 닦는다.

 

3)MRSA 감염환자

(1)손씻기: 주요 전파 수단은 손이무로 환자와 접촉 전, 후에는 반드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손가락사이 손톱 밑 등을 15이상 마찰하여 씻는다. 보호자와 간병인, 환자에게도 손씻기를 교육한다.

(2)장갑: 환자의 체액 접촉시 장갑을 착용하고 벗은 후에도 반드시 손을 씻는다.

(3)코호트: 가능하면 일 인실 격리 하고 불가피한 경우는 다 인실을 사용하되 병실의 한쪽에 동일한 미생물에 의한 환자끼리 배치하도록 한다.

(4)체온계, 청진기, 혈압계, iv pole대, 휠체어, 변기 등은 별도로 사용하고 환자가 퇴원 한 후에는 소독한다.

->체온계는 70% 알코올에 10분 이상 담근다.

->혈압계의 계기와 튜브는 소독제로 닦고 겉 부분의 헝겊은 소독제에 담궜다가 세척한다.

(5)환자이동은 가능한 최소화하여 다른 환자나 병원 물품과의 접촉을 최소화 한다.

(6)소독제를 사용하여 병실을 매일 청소한다. 환자 퇴원 후에는 환자가 접촉했던 모든 환경을 소독제를 묻힌 헝겊으로 닦아야 하며 소독제를 분무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

->락스: 물 1L에 4% 락스 2.5cc

HBV Quat: 1:100으로 희석해서 사용

(7)일주일 간격으로 2번 이상 미생물 배양검사 음성이면 격리를 해제한다.

 

4)법정 전염병

법정 전염병(콜레라,페스트,장티푸스,파리티푸스,세균성이질,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는 격리 병실 입원료를 인정받을 수 있다.

 

5)결핵환자

*환자의 병실 배치

독방에 격리 한다.

환자의 결핵균의 전파 기전과 격리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교육 받아야 한다.

격리실에 있는 동안에도 환자는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할 경우 화장지로 코와 입을 막아야 한다.

격리문은 항상 닫아야 한다.

*병실 물품과 병실 소독.

(1) 환자가 사용한 기궁에 대한 특별한 조치는 불필요하며 일반적인 소독 지침을 따른다.

(2) 린넨, 식기도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다.

(3) 환자 입원 기간 중 병실 청소는 일반적인 청소방법을 따르며 청소자는 격리방법을 따른다.

(4) 환자 퇴원 후 병실소독은 환자 호흡기 분비물로 오염 가능성이 높은 환자 주위에 인접한 침대, 침상 등은 환경 소독제를 사용하여 닦고 복도 쪽 병실문은 닥고 창문은 열어 두어 최소한 2시간 이상 환기 시킨다. 소독제를 분무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

(5) 소아과 환자도 성인과 동일한 범주로 진료하여 필요시에 격리한다. 소아환자의 보호자도 진찰할 것을 고려한다.

(6) 재입원하거나 치료가 종결되지 않은 결핵환자는 비감염성이라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는 격리지침을 적용한다.

*격리해제

(1) 결핵이 아니라는 진단이 확정되거나 비감염성이라고 판명되면 격리를 해제한다.

(2) 격리 기간은 다를 수 있지만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제를 투약하고 있고 임상적으로 회복되고 있으며 각각 다른 날 실시한 NO AFB 3회 연속적으로 나올 때 해제한다.

(3) 다제 내성 결핵균에 감염된 환자는 입원기간 중 계속 격리한다.

 

6)HIV(+)환자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일 인실에 격리하며 환자의 비밀유지를 위한 조치를 철저히 한다.

*손씻기 및 장갑 착용

(1) 감염자와 접촉 전,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다.

->특히 감염자와 접촉 시 상처가 있는 의료인은 필히 장갑을 착용한다.

(2) 감염자의 혈액 및 분비물 등에 오염된 기구 또는 기타의 물품을 청소할 때에도 장갑을 착용한다.

(3) 장갑을 벗은 후에도 반드시 손을 씻는다.

(4) 감염자의 혈액 또는 체액이 피부에 묻었을 때에는 즉시 물과 비누로 닦는다. 눈과 코 또는 구강의 점막에 묻었을 경우에는 즉시 깨끗한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헹궈준다.

 

*보호 장비 착용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얼굴에 튀거나 묻을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안면가리개를 착용한다.

폐결핵이 합병된 감염자의 방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노출된 피부나 옷이 감염자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을 때는 가운을 입는다.

 

*주사침 찔림 및 자상 예방

(1) 처치 시 주사바늘, 수술 칼, 예리한 기구 등으로 상처를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바늘을 뚜껑으로 덮거나 구부리지 않는다.

(3) 주사침, 주사기, 주사침 뚜껑 등은 병실 내에 있는 표면이 견고한 용기에 버린다.

(4) 용기는 2/3 또는 3/4정도 차면 폐기한다.

(5) 의식이 없거나 혼자 행동의 제어가 힘들면 혼자 채혈하지 않는다.

(6) 감염자의 감각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핀 또는 바늘은 오직 1회만 사용한다.

 

*응급소생술

응급소생술이 필요하리라 예상되는 감염자에게 응급 상황시 구강 대 구강 인공호흡법을 피하기

위해 ambu bag을 환자 가까이에 준비시켜 둔다.

 

*검체 채취 및 운반

(1) 감염자의 모든 가검물은 장갑을 착용 후 다룬다.

(2) 검체가 주위 환경이나 검사자에게 튀거나 흘리지 않도록 주의 한다.

(3) 검체는 반드시 이중으로 포장 하고 새거나 검체용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 후 “H"스티커를 부착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사용한 린넨

오염된 세탁물은 직원들이 감염위험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방수 처리된 용기에 담아서 운반한다.

린넨 수거와 교환 시 장갑과 앞치마를 사용한다.

 

*혈액이나 체액을 흘리거나 쏟았을 경우

(1) 장갑을 끼고 가운을 입는다.

(2) 흘린 액체에 깨진 유리나 다른 물건이 섞여 있으면 그것들을 손으로 직접 만지지 말고 딱딱한 종이를 이용해서 처리한다.

(3) 소독한 평면바닥의 경우1:100으로 희석한 락스를 사용하여 홈 등이 있는 바닥의 경우는 1:10으로 희석한 락스를 사용한다. 락스는 희석 후 24시간 이내의 것을 사용하며 소독제의 접촉시간은 최소 2분이다.

(4) 많은 양의 혈액을 쏟았을 경우에는 1:5로 희석한 락스를 충분히 뿌린 후 최소 20분이 지난 다음 종이 타월이나 천으로 닦는다.

(5) 오염제거에 사용한 모든 물건은 방수가 되는 용기에 버린다.

 

 

 

 
반응형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관리 - 2 -  (0) 2023.02.28
당뇨병 관리 -1-  (0) 2023.02.27
중환자 간호(Critical Care Nursing)  (1) 2022.12.04
혈액투석 간호 [성인간호학]  (0) 2022.11.26
상처 관리  (0) 2018.09.17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