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Anxiety) 간호진단 불안 정의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막연하고 편안하지 않은 불편감이나 공포감(원인은 개인에게 불특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음) 예상되는 위험에 의해 유발되는 염려스러움. 곧 닫칠 위험을 경고하고 개인이 그 위험을 해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경고 신호. 정의적 특성 행동적 ■생산성 감소 ■쓸데없는 움직임 ■만지작거림 ■힐끔거림 ■예민함 ■불면증 ■눈맞춤 저하 ■안절부절못함 ■훑어보며 경계하는 행동 ■생활사건에서 변화로 인한 걱정 정서적 ■비통 ■염려 ■디스트레스 ■두려움 ■부적절하다는 느낌 ■무력감 ■경계심의 증가 ■초조함 ■신경과민 ■과도한 흥분 ■말이 빨라짐 ■후회스러워함 ■자신에게 초점을 맞춤 ■불확실성 생리적 ■얼굴의 긴장 ■손 떨림 ■발한 증가 ■긴장 증..
간호진단 중 급성통증 간호진단에 따른 케이스 스터디 모음입니다. 학생 때 작성 하던거라 참고만 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급성통증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이론적근거 보기 (1) 급성 통증 간호진단 :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간호진단] - 송데이미 급성통증 간호진단에 대해서 정의적 특성, 관련 요인 및 간호중재에 따른 이론적 근거에 대한 글입니다. 케이스스터디 참고자료용이며, 환자에 따라 적절한 간호중재 선택 후 이론적 근거를 작 songday.me 증상 및 징후 (Sign & Symptoms)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None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수술 :Stereotactic H/R Rt (5/25) - 수술 후 Face pain rating scale ..
간호과정 간호과정은 위 그림과 같이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까지 총 5단계 로 진행됩니다. 각각의 단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간호사정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규명하고 간호계획을 수립,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정보를 체 계적으로 수집하는 과정으로 간호과정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며 관찰, 신체검진, 진단검사, 면담 등을 통해 주관적, 객관적 자료를 수집합니다.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사정단계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간호사가 대상자의 실재적, 잠재적 건강문 제에 대한 독자적인 임상 판단을 하고 표준화된 용어로 표현하는 것으로 모든 간호사가 의사 소통이 가능한 표준화된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NANDA,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