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

고체온 : Hyperthemia [간호진단에 따른 케이스스터디]

RNSONG 2023. 6. 17.
반응형

고체온 : Hyperthemia 간호진단

정의

체온조절의 실패로 중심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것

 

정의적 특성

■비정상적 자세
■무호흡
■혼수
■홍조를 띤 피부
■저혈압
■신생아가 젖을 빨지 못함
■안절부절못함
■기면
■발작
■피부 촉진 시 따뜻함
■혼미
■빈맥
■빈호흡
■혈관 확장

 

관련 요인

■발한의 감소
■탈수
■뜨거운 환경에 노출
■질병
■부적절한 옷차림
■대사율의 증가
■허혈
■약물
■패혈증
■외상
■격렬한 활동

 

고체온(Hyperthemia)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고체온(Hyperthemia)
간호계획 및 중재
(Planning & Implementation)
중재계획(Nursing Planning) 이론적 근거(Rationales)
1. 평가 및 모니터링
- 환자의 체온, 맥박, 호흡수, 혈압 등 V/S 주기적인 측정 및 모니터링한다. 
- 환자의 체온을 측정할 때믄 동일한 부위와 방법(장치)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평가하고 체온 측정 부위를 기록한다. 
피부 홍조, 과다한 땀, 어지러움, 혼동, 체온 상승과 같은 고체온의 증상을 주시하고 환자를 모니터링 한다. 


2 . 환경 조정
- 환자를 위한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환경을 만들며, 방의 온도가 높다면 에어컨 또는 선풍기를 사용하여 주변 온도를 낮춘다. 
- 야외 활동 시 환자를 과도한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늘을 제공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3. 환자에게 충분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의사처방에 따라 수액을 투여한다. 
 - 환자가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원한 물플 포함한 층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 환자의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링한다. 

4. 환자에게 전신적인 냉요법을 적용한다. 
-  환자의 이마, 목, 겨드랑이 및 고관절에 시원한 아이스팩을 적용하여 열을 분산시킨다.
- 필요한 경우 냉습포나 저온 담요 등을 사용하여 체온을 낮춤
- 극도로 찬 물이나 얼음 목욕은 오한과 혈관 수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함

5.  의사 처방에 따라 해열제인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해열제 투여한다 
- 투약지침, 용량 및 투여 빈도 등을 올바르게 준수한다.

6.  환자 및 보호자에게 고체온의 증상, 위험 요인에 대해 교육한다. 
- 높은 열에 노출을 피하고 가벼운 통기성 옷을 입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예방 조치를 가르친다. 
- 환자 및 보호자가 고체온의 초기 증상을 인식하고 의료진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교육한다. 
1. 체온 측정을 수행하는 부위에 따라 체온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위 간의 차이는 0.3°C에서 0.5°C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Bridges & Thomas, 2009; Davie & Amoore, 2010; Dinarello & Porat, 2012; Hooper et al, 2009; Makic et al, 2011; Kenney et al, 2014).

2.
발열이 있는 아동의 방 온도는 18°C가 편안하다(RCN, 2008). 방을 덥게하지 않으며, 온도가 높으면 창문을 열거나 또는 선풍기 등을 사용하여 환기를 하여 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 러나 선풍기를 아동에게 직접 적용하는 것은 떨림을 유발할 수 있고 이는 결국은 체온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금해야 한다. (정용선, 김진선, 2010)

3.
열이 나면 호흡이 빨라지면서 이로 인한 수분손실이 커져 아동은 탈수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탈수는 더욱 열을 높인다. 시원한 물을 마실 것을 격려하고,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는 모유수유를 계속한다.(정용선, 김진선, 2009)
-발열은 과도한 대사항진을 유발하고 수분소실을 증가시켜 탈수의 위험성을 높이며 불편감을 유발하게 된다(Avner, 2009)


4.
- 열을 떨어뜨리기 위한 물리적 치료(physical treatment)는 외부 냉각법(external cooling)으로 미온수 스펀지 목욕(tepid sponge bath), 환경을 시원하게 하는 것, 부채, 선풍기 사용, 옷 을 벗기기 등을 들 수 있다(NICE, 2007).
-체온을 낮추기 위해 과감한 치료가 필요하지만, 환자를 냉각하기 위한 조치가 지나치거나 과하면 환자가 오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오한은 열생산과 산소 소비, 심폐 기능에 노력을 증가시킵니다 (Pryor et al, 2013; Brege, 2009; CDC, 2013; Pitoni et al, 2011).

5.
- 해열제(antipyretics)는 아동의 불편감을 감소시키며 체온을 1-1.5°C 정도 떨어뜨린다(O’Connor, 2002). 또한 투여 후 시 간당 0.24°C씩 열을 감소시키므로 특히 열성경련과 같은 응급 상황에서 열을 떨어뜨리기 위해 해열제를 투여하는 것은 효과가 거의 없다(Purssell, 2002)
- 발열을 조절하는 경우 물리적 감온보다 해열제를 우선적 으로 사용해야 한다. 해열제로 체온조절중추의 발열점을 하 강시키지 않은 채 물리적 감온을 시행하면 인체는 상승된 발열점으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사율 및 산소소모량 을 증가시키고 기저질환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오원섭, 2015)


6.
-대부분의 열은 자기한정적이며 면역자극에 대한 정상 적응적 반응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발열은 위급 한 질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부모에게 의학적 도움을 받아야할 상황에 대해 교육을 해야한다.정용선, 김진선, 2010)
- 환자교육은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그들의 요구에 맞는 맞춤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가 자신의 질환 관리에 참여하려는 인식을 고취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며 나아가 퇴원 후 일상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인 질환관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혜라, 2004)

 

참고문헌

-신용순, 김성렬, 유성희, 김선화, 김정희, 김현정, 나라, 채지선, 이혜진, 안영희 and 김경옥. (2013).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5(3), 250-262.

- 정용선 and 김진선.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문헌고찰.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6(1), 30-40.

- 오원섭. (2015). Essentials of Primary Care: 감염 : 열나는 환자, 어떻게 접근할까? -급성 발열 외래환자를 중심으로-.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5(2), 212-215.

-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 Classification, 2021-2023

- Nursing Diagnosis Handbook_ An Evidence-Based Guide to Planning Care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