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 간호진단(1)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RNSONG 2023. 3. 24.
반응형

지역사회 간호사정은 생략한 지역사회 간호진단입니다. 과제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지역사회간호진단

□□1동 전체 인구집단의 낮은 의료기관 접근성

인구집단과 위험상황 관련요인 증거
□□1동 전체 인구집단의
낮은 의료기관 접근성


(a) ◌◌ 구 내에서 □□1동의 낮은 병원 및 의료종사자 수


(b) □□1동 주민의 응급의료시설/종합병원과의 먼 거리


(c) □□1동 주민센터의 위치적 불편함


(d) ◌◌구 평균보다 높은 인구밀도


(a) 550여 개의 ◌◌구 의료기관 중 □□1동의 의료기관 수는 17개이다. 1동에는 종합병원 및 병원이 없고 의원이 12, 병상이 19병상이다. 동선동은 의원이 51, 103병상이고, XX동의 의원이 16, 병원과 종합병원이 1개씩 있는 것에 비해 의료기관의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2015◌◌구의 의료기관 종사 의료인력 수는 4,365명이지만 □□1동의 의료인력 종사자수는 불과 79명이다.
2015◌◌구의 약국 개수는 211개이고, □□1동의 약국 개수는 불과 8개이다.


(b) □□1동에는 응급의료시설 및 종합병원이 없고 가장 가까운 곳은 종암동의 ◌◌중앙병원과 XX동의 OO대학교병원이다. □□1동 주택가 지역과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시설인 ◌◌중앙병원과의 거리는 2km, 자동차로는 5, 대중교통으로는 15분 이상이 소요된다. 상급종합병원인 OO대학교 XX병원과의 거리는 약 3km로 자동차로는 10, 대중교통으로는 25분 이상이 소요된다.



(c) ‘찾아가는 동서비스를 제공하는 □□1동 주민센터의 위치는 취약계층이 주로 살고 있는 주택가나 임대아파트와 거리가 멀어 서비스를 받기에 불편함이 있다.


(d) 2016◌◌구 전체 인구밀도는 18,781/km² 이고, □□1동 인구밀도는 34,708km² 이다. 이는 ◌◌구 내 20개의 동 중 5번째로 높은 인구밀도 순위이다.

□□1동 성인 인구집단의 높은 만성질환 취약성

인구집단과
위험상황
관련요인 증거
□□1동 성인 인구집단의 높은 만성질환 취약성 (a)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


(b) 높은 흡연율과 낮은 금연 시도율


(c) 낮은 중증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d) 높은 비만율


(e) 지역 내 대사증후군 사업소 부재


(a)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질환, 만성 신부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 골다공증 등의 만성질환에 있어서 □□1동에서 서울시 평균보다 높은 유병률을 나타낸다.


(b) 전체 흡연율은 서울시 평균보다 높고, 특히 남성의 흡연율이 서울시와 전국 평균 흡연율에 비해 높다. 흡연자들의 금연 시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에 비해 낮고, 특히 전국 평균에 비해 많이 낮은 수준이다.

(c) 2015년도 중증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어서 서울시 전체의 평균보다 낮다.


(d) 2015년도 서울시 전체의 평균 비만율 보다 ◌◌구의 비만율이 높다. 특히 여성의 비만율이 높다.



(e)
□□동 내에 대사증후군 사업소가 없다. ◌◌구 내에는 장위동, 정릉2, ◌◌구 보건소, 동선보거지소 내에만 사업소가 있다.




□□1 65세이상 주민들의 높은 우울감 경험률과 자살률

인구집단과 위험상황 관련요인 증거
□□165세이상 주민들의 높은 우울감 경험률과 자살률 (a) 70세 이후 높은 우울감 경험률
















(b) 높은 자살률
(a) 우울감 경험률
: ◌◌구 전체 기준 6.9%
 
우울감 경험률은 2016년 전체 6.9%로 서울시 7.0%에 비해 큰 차이는 없었다. 성별로는 남자 7.9%,여자 6.0%로 남자에서 높았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가장 낮았다.

추가 설문조사결과(50)
- □□1동 방문간호시 한국형 노인 우울척도 GDSSF-K로 평가한 결과
중등도의 우울과 우울증세로 보이고 있던 것을 볼 수 있었다.
- □□1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65세이상 주민 40명 중 24명이 최근 1년간 우울증세를 겪은 적이 있었다.
 


(b) 자살률

- 2016년 지역사회 건강통계에 의하면, ◌◌구의 자살 사망자수는 104, 10만명당 자살률은 23.3명로 서울시 평균 23명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구 동별 자살률 현황에 따르면 □□1동이 자살률이 가장 높았다.


- 2014년 기준 ◌◌구 자살률은 10만명당 19.4명이었지만, 2016년 현재 기준 23.3명으로 자살률이 증가하였다.

자살집중동은 □□1, 길음2, 동선동, 월곡1동으로 자살 취약지역으로 파악된다.


추가 설문조사결과(50)
- □□1동 방문간호시 M.I.N.I 자살 경향성 평가지를 통해 설문한 결과 중간 및 높음이 70%로 자살의 위험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동 주민들의 안전 취약성

인구집단과 위험상황 관련요인 증거
□□1동 주민들의 안전 취약성 (a) 가파른 언덕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 아리랑고개와 미아리고개 일대의 고지대에 위치하며 동쪽의 종암동, XX, 서쪽의 ◌◌, 남쪽의 동소문동, 동선동, 북쪽의 정릉동, 길음동, 하월곡동과 접해있다.


노령화지수

65세 이상 고령집단에서 낙상 위험성이 높음.
(b) 도로교통 안전시설 미비로 인한 사고 위험성



교통사고율: 1,618(◌◌구 기준)

문제별 우선순위 선정 및 적용 

지역 순위 간호문제 건강문제의 크기(A) 문제의 심각도(B) 보건프로그램 효과(C) (A+2B)XC/3
□□ 1 1 □□165세이상 주민들의 높은 우울감 경험률과 자살률 10 9 8 74.3
2 □□1동 성인 인구집단의 높은 만성질환 취약성 10 8 8 69.3
3 □□1동 전체 인구집단의 낮은 의료기관 접근성 10 6 7 51.3
4 □□1동 주민들의
안전 취약성
10 6 6 44

 

참고문헌

- 유호신 외, 지역사회간호학, Ⅱ」, 수문사, 2017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 서울통계 http://stat.seoul.go.kr/jsp3/index.jsp

-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s://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 네이버 지도 http://map.naver.com/

- ◌◌구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 ◌◌구 동별 구민 건강격차 비교분석(2014)

- ◌◌구 통계정보조회 http://stat.seoul.go.kr/host/seongbuk/WWSDS8600.jsp

- 송희승 (2016),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디지털융복합연구,14(8),515-525

- 이동환 (2007), 건강걷기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에서 우울정도 변화,계명대학교 대학원,

- 허정이 외 (2013),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노인의 건강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ealth Characteristics on Depression of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cheme,한국보건간호학회, 27(2),327-337

- 류정자 외 (2000),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및 우울 정서에 미치는 효과,한국미술치료학회,제7차,112-129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